문재인 대통령, 박항서 감독 ‘파파리더십’ 벤치마킹을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15일 밤, 베트남축구의 ‘스즈키컵’ 결승실황중계가 한국인을 잠들지 못하게 한 이유는 무엇일까? 2002월드컵 때, 필자 역시 온 가족이 광화문에 나가 얼굴에 태극기를 그리고, 붉은 티셔츠를 입고 목이 터져라하고 응원했다.
베트남에 10년 만에 스즈키컵 우승을 안긴 박항서 베트남 축구대표팀 감독이 또 미담을 추가했다. 이번엔 불우이웃을 위해 ‘우승축하금’ 10만 달러 전액을 베트남 축구협회에 쾌척했다. 그것도 모자라 목에 건 자신의 금메달까지 기증했다.
베트남은 15일 하노이 미딘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18 AFF 스즈키컵 결승 2차전에서 말레이시아를 1-0으로 이겼다. 1차전에서 2-2로 비긴 베트남은 1, 2차전 합계 3-2로 우승을 차지한 것이다. 이로써 2018년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축구선수권대회에서 준우승,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4강에 이어 화룡점정(畵龍點睛)을 이루어냈다.
베트남 전역이 우승의 환희로 들끓었다. 박항서 감독은 우승 이후 “베트남 국민들이 나를 사랑해 주는 것처럼 한국도 사랑해 주면 좋겠다”고 했다. 이미 베트남에서 영웅 대접을 받는 박항서 감독의 미담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8일 베트남 언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로 이륙 후 박 감독은 비즈니스석에서 일어나 이코노미석의 부상당한 선수와 자리를 바꿨다.
언론은 박항서 감독의 리더십은 ‘믿음’에 있다고 분석했다. 감독과 선수들 간의 믿음과 이를 토대로 한 유대감이 승승장구의 원동력이라는 것이다. 베트남 현지에서 박항서 감독의 인기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온라인 게시판에는 베트남을 여행하던 중 ‘박항서의 나라’에서 왔다는 이유만으로 융숭한 대접을 받은 경험담이 넘쳐난다.
식사나 음료를 공짜로 드셨다는 분만 아니라 며칠 숙박비를 면제 받은 분도 있다고 한다. 이 정도면 “한국과 베트남의 심리적 거리를 좁혔다”는 칭찬에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흔히들 박 감독이 베트남 현지에서 성공을 거둔 비결로 ‘파파(papa) 리더십’을 꼽는다. 경기를 끝낸 선수들의 마사지를 직접 해줬다든지, 지고 나서 기 죽은 선수들에게 “고개 숙이지 말라. 너희들은 최선을 다 했다”며 격려한 이야기가 언론을 통해 소개되었다.
흡사 축구선수 아들을 둔 아빠 같은 모습이다. 그 밖에도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베트남 각계각층에서 받은 격려금을 모아뒀다가 모든 선수와 공평하게 나눈 사례도 있다. 이런 지도자 밑에서 뛰는 선수라면 “우리 감독을 위해 죽을 각오로 뛰겠다”고 다짐할 법하지 않은가?
베트남 축구 대표 팀에는 세명의 한국인 지도자가 함께 일하고 있다. 박항서 감독은 대표팀을 총괄 운영하고, 선수단의 팀워크를 유지하는 역할을 맡는다. 박 감독의 곁에는 이영진 코치가 늘 동행한다. 이 코치는 전술과 훈련을 전담한다. 또 다른 한국인 지도자 배명호 코치는 선수들의 컨디션 관리를 맡는다.
이들은 저마다 고유한 업무를 인정하고 존중하되, 의견이 대립할 때는 지위의 높낮이를 따지지 않고 치열하게 토론하는 모습이 마치 삼권분립 시스템을 연상시킨다. 이른바 ‘명장’이라 불리는 지도자들을 살펴보면 코치들에게 저마다 고유의 역할을 부여하고, 그 범위 안에서 독립적인 결정권을 주면서 팀을 합리적으로 이끌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도자는 특정한 집단이나 사회를 앞장서 거느리고 이끄는 사람이다. 지도자가 갖추어야할 덕목을 한비자(韓非子, BC 280~BC 233)는 일곱 가지로 제시했다.
첫째, 마음속에 높낮음을 버려야한다. 지도자는 본인 스스로 현명하지 않아도 현명하고 지혜로운 자를 곁에 두면 된다.
둘째, 마음속에 상아 젓가락을 버려야한다. 상아 젓가락으로 식사를 하게 되면 맛있고 값진 음식을 먹어야 하고, 좋은 식단이 꾸려지려면 좋은 집을 지어야 하며, 좋은 집을 가지려면 많은 돈이 필요하다. 지도자는 그 욕망을 버려야 한다.
셋째, 어리석음과 어진 것을 구별할 줄 아는 지혜를 갖춘다. 백성이 굶주린다고 쌀가마를 갖다 주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진정으로 백성을 생각하는 지도자라면 농사짓는 방법과 수단을 강구해 주는 것이다.
넷째, 한목소리만 듣는 것은 피한다. 지도자의 눈과 귀가 가려져 있으면 한목소리만 들린다. 한목소리에 현혹되면 그 조직의 미래는 없다. 칭찬과 비판 양쪽을 다 경계해야 한다.
다섯째, 만족할 줄 모르면 큰 재앙을 낳는다. 영원한 권력도 영원한 부귀도 존재하지 않는다. 정상에 오를 때부터 하산할 때까지 한마음으로 겸손하게 행동해야 한다.
박항서 감독은 우승 기자회견장 주변에 베트남 선수들이 들어와 신나게 물을 뿌려댄다. 박 감독은 당황하지 않고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운 뒤 한 선수의 볼을 쓰다듬고 안아준다. 평소 선수들과 격의 없이 지내는 박 감독의 성품이 그대로 묻어났다.
아버지 같은 부드러운 파파리더십이 박항서 매직에 열광하는 또 다른 이유다. 언제나 선수들과 스킨십을 나누고 소통을 중요하게 여기는 리더십이다.
지도자에게도 시비(是非)나 증애(憎愛)는 있다. 그러나 오직 공(公)을 표준하여 시비를 가리고, 끌림 없는 마음으로 증애를 하는 것이 지도자의 숙명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