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리포트] 터키출신 알파고 기자 묻다 “소설이란 내게 무엇인가?”

인권 변호사이자 시인 지핫 두만의 첫 소설 <사건은 베이오굴루에서 벌어졌다>

매년 이맘때만 되면 때아닌 설렘 속에 ‘맘살’을 앓는 이가 있습니다. 아날로그 시대의 소중한 것들이 사라져가는 중에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신문사 ‘신춘문예’를 준비하는 이들입니다. 이들 가운데 소설 지망생이 특히 더 그렇습니다. <매거진N> 독자께서도 비슷한 경험을 하신 적이 있으신지요?

매거진N 8월호 스페셜리포트는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는 셰익스피어의 고국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 유럽소설, 아라비안 나이트로 대표되는 아랍세계의 소설을 독자들에게 소개합니다. 또 ‘소설은 과연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을 던지며 잊혀져온, 혹은 잃어버린 소설에 대한 꿈을 다시 꾸어봅니다. 영화로 만들어진 소설은 어떤 게 있으며, 그들은 왜 대부분 실패의 길을 갔는지 등을 함께 들여다 봅니다.<편집자>

[아시아엔=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필자는 소설이라는 단어를 들을 때마다 설렌다. 왜냐하면, 내게는 아직도 “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없지만 매번 이 질문의 답변을 찾는 게 늘 유쾌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 와서 필자에게 소설은 더욱 신기한 존재가 되었다. 얼마 전에 필자의 시인 친구인 지핫 두만(Cihat Duman)이 <사건은 베이오굴루에서 벌어졌다>(Olay Beyo?lu’nda Ge?iyor)라는 제목의 소설을 내면서 소설이란 단어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

필자는 그 시인 친구를 터키에서 2013년 여름 발생한 ‘게지공원 시위’로 알게 되었다. 그는 게지공원 시위 당시 민주화운동을 하면서도 계속 시를 썼다. 이미 시집 몇권을 내고 문학상도 받은 이 친구가 뜬금없이 소설을 낸 것이다.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시와 소설은 문학에서 완전히 다른 두개의 장르다. 시인이 좋은 소설을 쓴 적이 거의 없고, 소설가가 좋은 시를 쓴 것도 드문 일이다. 나는 그 친구에게 묻었다. “왜 갑자기 소설을 썼어? 너 시인 아냐?” 나는 내심 친구가 문학적으로 답변해주길 기대했는데 전혀 예상치 못한 대답을 들었다. “알파고 기자, 난 게지 사태에 참여한 사람으로서 그때 거기서 일어난 사건들을 일일이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싶었어.”

그는 역사에 남기고 싶은 현상을 문학기법을 통해 기록물 이상의 작품으로 내려 했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본능적으로 시작한 이 과정이 작가로서의 예술적 감각이 발동해 결국 예술작품을 쓰게 됐다는 것이다.

필자는 그의 답을 통해 이런 깨달음에 이르게 됐다. 분노든 행복이든 혹은 또 다른 감정이든, 소설가는 본능적으로 무엇인가를 기록하고 싶을 때 그 욕구는 문학적 흐름을 타고 소설로 표출된다는 사실 말이다.

많은 학자들이 인류의 첫 소설작품으로 인정하는 <겐지 이야기>를 예로 들자. 이 작품은 11세기 일본 여성작가 무라사키 시키부가 쓴 것이다. 그녀는 아버지 덕분에 궁으로 들어가 고급교육을 받은 후 시인이 되었다. 그녀가 쓴 이 소설은 급이 떨어지는 여성과 사랑에 빠진 황제의 아들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필자 관점에서 보면 무라사키 시키부는 앞에서 언급한 터키의 시인 친구처럼 궁에서 보고 느꼈던 것을 기록하기 위해 시작했고, 시인으로서 쓰려던 그 산문이 상상 과정을 거쳐 소설로 변신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예술가들은 어떤 사회현상이나 심리적 감정이나 종교 혹은 철학적 깨달음을 기록하는 욕망을 느낀다. 바로 이러한 본능이 여러 감정과 합쳐져 한 포인트에 초점이 맞춰지면 그때 비로소 명작이 탄생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 작품들은 때로는 인간에게 정치적으로 도움을 주고, 때로는 심리적으로 위로가 되며, 때로는 철학적으로 큰 빛을 비추곤 한다.

소설 원작으로 히트 한 드라마나 영화 혹은 뮤지컬이나 연극작품의 성공 뒤에는 이러한 원리가 작동하지 않을까 싶다. 정치 풍자의 아이콘이 된 조지 오웰의 <1984>, 한국 영화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며 한국영화를 국제무대에서 등장시킨 백동호의 <실미도> 등이 그렇다.

그뿐 아니다. 동서양 문명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며 터키의 애매모호한 국민성을 섬세히 묘사한 덕택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오르한 파묵의 <내 이름은 빨강> 역시 이 관점에서 다시 보면 “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원초적 질문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 답변을 찾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시인 지핫 두만(Cihat Duman)은 최근에 MBC에서 방송된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터키편에 출연하여 한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2 commen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