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란 경제제재 재개···미 ‘고사작전’에 이란 ‘전면대응’
[아시아엔=편집국] 미국이 7일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2년7개월만에 재개했다. 지난 5월 이란 핵 협정 탈퇴와 제재 부활을 선언하면서 설정한 유예기간 90일이 지나자 제재를 강행한 것이다.
이번 제재는 1단계로 이란정부의 달러화 구매나 금 귀금속 거래, 그리고 자동차 부문 등이 대상이다.
2015년 미국-이란의 핵 협정으로 이란은 핵무기 포기를 받아들였고, 국제사회는 길게는 40년 가까이 이어진 경제 제재 해제를 약속했다.
이는 중동분쟁의 핵심 당사자인 이란-이스라엘의 ‘중동 핵전쟁’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해법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중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독일이 협정 당사국으로 협정 이행의 모든 과정에 참여해 ‘역사적인 순간’으로 기록됐다.
세계인들과 이란인들은 이란의 세계 진출에 기대를 키워왔다. 세계 1위 천연가스 매장국, 세계 4위 산유국, 8200만명의 인구와 30대 이하 인구 70%. 서구문명의 탯줄이 된 7000년 페르시아문명을 꽃피운 나라, 왕정 폭거를 물리치고 혁명을 성공한 나라가 이란이다.
3년 전 세계는 이같은 이란이 거의 반세기만에 국제무대에 다시 서리라고 기대를 모았다. 이후 이란은 핵무기 폐쇄 절차를 착실히 이행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분명하지 않은 이유로 지난 5월 “미국은 이란 핵협정에서 탈퇴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의 이란 핵협정 탈퇴 이유로 △미국사회를 좌우하는 이스라엘 유대 자본 △연간 100조원에 달하는 사우디 국방비와 관련한 미국 군산업체의 로비 △전임 오바마 대통령의 업적을 깎아내리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계산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압박카드 등이 다양하게 제기됐었다.
미국의 제재 부활로 경제적 어려움과 군부 등 이란 내 강경파들의 득세가 이어지면 이란이 다시 핵개발의 길로 들어설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