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가초프’를 대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자세

내가 말하는 모든 것은 사실이 아니라 의견이다

[아시아엔=박현찬 스토리로직 대표, <경청>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저자] 1775년 정월의 제정 러시아. 매서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수만을 헤아리는 인파가 모스크바의 광장을 가득 메웠다. 농민봉기를 일으켜 러시아 전역을 혼란에 빠뜨렸던 푸가초프(Pugachev)라는 인물의 사형집행을 보기 위해서였다.

그는 네 갈래로 찢기는 극형에 처해지게 되어있었다. 사람들이 주시하는 가운데 마침내 형이 집행되었다. 그런데 형 집행의 순서가 달라졌다. 먼저 양 팔을 끊어내고 이어서 양 다리, 마지막으로 머리를 자르라는 예카테리나 여제의 엄명에도 불구하고 집행관이 맨 먼저 머리를 잘라 버린 것이다. 푸가초프는 분명히 죽었다. 하지만 집행 순서의 변경은 커다란 동요를 불러일으켰다. 모스크바는 물론 전체 러시아를 의혹과 논쟁의 소용돌이 속에 몰아넣었다. 그로 인해 수많은 유언비어들이 퍼져나갔고, 그것은 오늘날까지 전해져서 ‘푸가초프의 전설’이 되었다.

사회학자 시미즈 이쿠타로는 당시의 유언비어를 이렇게 정리하고 있다. 1)예카테리나 여제가 사형수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비밀명령을 내렸다. 이 설은 여제를 따르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해석이다. 2)푸가초프의 잔당이 집행관에게 손을 쓴 것이다. 주로 농민 봉기를 두려워하던 귀족들에 의해 유포되었다. 3)푸가초프는 황제 표트르 3세였다. 황제였던 사람을 극형에 처할 수 없어서 목부터 치라는 비밀명령이 내려졌다. 푸가초프의 지지자인 코사크 사이에서 크게 번져나갔다. 4)푸가초프는 역시 표트르 3세였다. 대신 다른 죄수에게 형을 집행하려다, 심하게 반항하는 바람에 재빨리 목을 친 것이다.

‘농민의 이해자’ 표트르 3세가 여전히 살아있다고 믿는 사람들의 해석이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유언비어들이 동시에 발생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무엇보다도 푸가초프의 죽음을 대하는 집단의 이해관계 차이에서 유래했다. 또한 알려진 사실이 곧바로 사건의 진실을 말해주지는 않는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우리가 듣는 모든 것은 사실이 아니라 의견이다. 우리가 보는 모든 것도 관점이지 진실이 아니다.” 로마의 철인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가 남긴 것으로 알려진 경구다. 그의 저술 명상록의 그리스어 필사본 제목은 ‘ta eis heauton’으로 ‘자기 자신에게’라는 뜻이며, 라틴어 제목 역시 ‘Ad se ipsum’로 ‘자기 자신에게’라는 의미다. 이 점을 상기한다면 그가 남긴 모든 구절은 다른 누구에게보다 가장 먼저 자기 자신에게 돌려지는 것이었을 테다.

이해관계의 충돌은 피할 수 없다. 그에 따른 정보의 해석과 자기주장도 강제로 막을 수는 없다. 비록 가짜뉴스일지라도 발신자를 가려 사회에서 추방할 수는 없다. 그래서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라면 푸가초프의 사건을 두고 어떤 태도를 취했을까를 묻게 되는 이유는. 누군가의 가짜 뉴스를 질타하기 이전에 가장 먼저, 사실과 진실에 대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자기성찰을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내가 말하는 모든 것은 사실이 아니라 의견이다. 내가 보여주는 모든 것도 관점이지 진실은 아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