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할머니
-
동아시아
[역사속 1.8 아시아] 일본군위안부 첫 수요집회(1992)·주은래 中 총리 서거(1976)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삶이 아무리 힘들더라도 모든 사람에겐 특별한 성취를 이뤄낼 힘이 있습니다. 발을 내려다보지 말고 별을 올려다보세요.”-스티븐 호킹(1942년 오늘 태어난 영국 이론천체물리학자. 21살 때 불치병으로 말도 못하고 움직일 수도 없는 장애인 됐으나 블랙홀 등 현대 우주론분야에 큰 업적) -1895(조선 고종 32) 동학혁명 지도자 김개남 장군 전주감영에서 참수/육시형 당함 -1932 이봉창…
더 읽기 » -
동아시아
<1001번째 수요일> 최영희 “잘못된 역사 바로잡자”
21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001차 일본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참석한 최영희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은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자”고 말했다. 국회 여성가족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 최고위원은 “20여년 전 여성계에서 정대협을 만들고 이런 항의를 시작했을 때 태어나지도 않았던 우리 고등학교 그리고 초등학교 학생들이 오늘 이 자리를 꽉 메워줘서 너무나 기쁩니다. 잘못된 역사를…
더 읽기 » -
동아시아
<1001번째 수요일> “일본은 사과하라!” 함성 이어져
· <위안부 할머니들이 참가자들과 함께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제100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21일 낮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열렸다. 성탄절을 앞두고 한국기독교사회복지협의회와 한국교회희망봉사단이 주관하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주최한 이번 시위에는 지난 주 열린 1000차 시위보다는 적은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위안부 피해를 입은 길원옥(84) 할머니가 히스토리…
더 읽기 » -
동아시아
<1001번째 수요일> 정세균 “역사 왜곡 일본, 교활하다”
정세균 민주통합당 의원 21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001차 일본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참석한 정세균 민주통합당 의원은 “일본은 교활하게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정 의원의 발언이다. “참으로 참담합니다. 천 번씩이나 이 자리에 모여서 집회를 하고 일본에게 반성해라, 사죄해라, 책임을 다해라, 이렇게 외쳤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천 일 회를 시작해야…
더 읽기 » -
동아시아
<1001번째 수요일> 원혜영 “길가의 돌이 함께 소리쳐 줄 것”
<원혜영 민주통합당 공동대표> 원혜영 민주통합당 공동대표는 21일 1001차 일본군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참석해 “천번의 집회에 쌓인 그 힘과 뜻을 기반으로 새로운 출발을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원 대표의 발언이다. “지난주 1000차 수요집회에 왔었습니다. 그때 미군 기지촌에서 일하시던 할머니가 이렇게 외쳤습니다. ‘다음 번 1001차 집회에도 꼭 나와주세요’ 이렇게 외쳤습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1001번째 수요일> 무릎 꿇은 일본 여성
21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001번째 수요시위에는 한 일본 여성의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자신의 이름을 ‘마리아’라고 밝힌 50세의 이?일본 여성은?위안부 할머니들의 소녀 시절을 형상화한 ‘평화비’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사죄한다”고 말했다. 마리아 씨는 “옛날에는 살기가 힘들었다고 하지만 국제사회에서 일본이 살만큼 살게 되었으면 뒤돌아 볼 줄 알아야 하는 게 사람이다”라며…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정몽준 “일본은 어리석은 짓 저지르고 있는 것”
정몽준 한나라당 전 대표는 14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0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에 참석해 “일본은 어리석은 짓을 저지르고 있다”고 말했다. 정 전 대표는 “일본은 역사를 지우고 역사를 말살하려는 어리석은 짓을 저지르고 있는 것”이라며 “헌법재판소에서?정말 좋은 판결을 내렸는데 저희 동료의원들도 커다란 책임을 느낀다. 시민들과 함께 저희들도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일본 시민단체 “우리도 일본 행태에 함께 분노”
14일 ‘10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는 일본 시민단체에서도 참석했다. 나가사키 사세보 미군기지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는 한 시민단체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국측 입장에 힘을 실어 주기 위해 이번 집회에 왔다고 했다. 일본 시민단체 관계자는 “일본은 언제까지 할머니들을 고통 속에 내버려 둘 것인가. 우리도 함께 분노하고 행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비’ 제막
14일 ‘10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열린 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 소녀를 형상화한 ‘평화비’가 제막된 가운데 길원옥(84) 할머니가 평화비 옆에 앉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일본은 이 평화비에 대해 우리 정부에 철수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한일간 외교 문제로 비화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민경찬 기자 kris@theasian.asia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위안부 문제 해결 요구 시위 참석 정치인들
14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0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는?한명숙?前 국무총리, 정몽준 한나라당?前 대표,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 이부영 민주·평화·복지포럼 상임대표, 권영길 민주노동당?前 대표,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원혜영 민주당?前 원내대표, 박영선 민주당 정책위의장,? 최영희 민주당 의원, 김성회 한나라당 의원, 유정현 한나라당 의원, 이미경 민주당 의원, 전현희…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굳게 닫힌 일본대사관
14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10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열려 수많은 사람들이 일본의 사죄를 촉구한 가운데?주한일본대사관의 창문이?굳게 닫혀 있다. 간혹?창문의 블라인드 사이로 집회를 내다보는 사람도 있었지만 이내 닫히고 말았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아 쫌, 사과!”
세종대학교 회화과 학생들이 14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0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아 쫌, 사과!”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서 있다. 이들은 일본의 사과를 요구하는 의미로 일장기를 패러디한 사과 그림의 피켓을 들고 시위에 나섰다. 민경찬 기자 kris@theasian.asia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우리가 된 것들···파괴되고, 추방되고, 홀로되고”
14일 10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에는 연극 <버자이너 모놀로그>에 출연하고 있는 세 배우도 무대에 올랐다. 김여진, 이지아, 정영주. 이 세 배우들은 미국 극작가 ‘이브 엔슬러’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만나고 쓴 글을 무대 위에서 읊었다. 할머니들은 눈물을 흘렸고, 참석자들의 눈에도 눈물이 맺혔다. 다음은 ‘이브 엔슬러’의 글 중 일부. “우리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누가 이들을···
14일 서울 종로구?주한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1000번째 수요시위가 열려 버자이너 모놀로그 배우(김여진,정영주,이지아)들이 ?미국 극작가 ‘이브 엔슬러’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만나고 쓴 글을 무대에서 낭송하는 가운데?김순옥(90), 길원옥(84), 박옥선(87) 할머니(왼쪽부터)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우리의 이야기들은 우리 머릿속에서만 존재한다. 유린당한 우리의 몸속에서는 전쟁의 시간과 텅 빈 공간 안에서만…
더 읽기 » -
동아시아
<천번째 수요일> 이정희 “인권유린 없는 세상 오도록···”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는 14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00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에서 “인권유린이 없는 세상을 만들어 가자”고 했다. 다음은 이정희 대표의 발언이다. “1992년 1월, 수요집회를 이곳에서 시작하던 기억이 납니다. 이렇게 20년 가까이 오리라고는, 1000차를 오리라고는 그 당시에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 시간 동안, 일본은 여전히 무시하고 외면하는 동안…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