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 사회

    추상미 감독 ‘폴란드로 온 아이들’과 32년 전 바르샤바의 ‘추억’

    [아시아엔=최병효 주노르웨대사, LA총영사 역임] 추상미 감독의 기록 영화 <폴란드로 간 아이들>이 2018년 이맘때 상영됐다. 한국전쟁 중이던 1951~1953년 북한이 폴란드로 보내 교육시킨 1500명의 고아들에 관한 탐사영화로 인종과 국경을 넘은 폴란드인들의 인간애가 깊은 감명을 준다. ?북한은 전쟁 중 남한지역에서도 고아들을 데려갔는데 전쟁 후 국가재건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위하여 수천명의 고아를 소련 등 동구권 국가에…

    더 읽기 »
  • 인터뷰

    [단독인터뷰] 국내 톱스타 남성 에로배우 민도윤씨 “그렇게 쉽고 가벼운 일이 아니다”

    [아시아엔=알파고 시나씨 기자] 이 배우를 단 한번도 보지 못한 대한민국 남자는 존재할지 모르지만, 딱 한번만 봤다고 할 대한민국 남자는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 에로영화 시장의 이병헌으로 알려져 있는 남성 에로배우 1호, 민도윤씨 얘기다. 매주 한 차례 스탠드업 코미디공연을 하는 기자는 다양한 관객을 만날 기회가 있다. 지난 여름 공연을 보러 온 민도윤씨를…

    더 읽기 »
  • 칼럼

    ‘암수살인’ ‘미쓰백’ ‘완벽한 타인’···한국영화의 어떤 새롭고 다른 그 무엇?

    [아시아엔=전찬일 영화·문화콘텐츠 비평가, <아시아엔> 대중문화 전문위원] 아시아엔에 올 추석 연휴를 맞이해 선보인 3편의 한국영화들, <안시성>(김광식 감독), <명당>(박희곤), <협상>(이종석)에 대해 “목숨을 구걸 않는 일부 캐릭터들이 인상적”이라는 취지의 진단을 한 바 있다. 어느 모로는 지엽적으로 비칠 수 있는 그 진단(http://kor.theasian.asia/archives/194272)은 지금도 유효하다. 세 영화 중 <안시성>을 제외하고는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했다지만, 그들이 크고…

    더 읽기 »
  • 동아시아

    [추모] ‘영웅적 청춘’ 신성일, 한국영화 중심에 영원히 남을 것

    [아시아엔=전찬일 <아시아엔> 대중문화 전문위원, 영화?문화콘텐츠 비평가] 명색이 25년차 영화평론가이긴 하나, 고 신성일 선생과 딱히 개인적 친분이 있는 것은 아니다. 2016년 12월 9년간 몸담아 왔던 부산국제영화제를 완전히 떠나기 몇 개월 전, 김동호 당시 부산영화제 이사장과 전양준 현 집행위원장과 함께 인사동에서 회고전 관련 회동을 하며 인사를 나눴고, 이러저런 행사에서 몇 차례 의례적인…

    더 읽기 »
  • 사회

    [신성일 연보] ‘로맨스 빠빠’로 데뷔한 ‘맨발의 청춘’ 마침내 ‘별들의 고향’에

    2만9825일 생애···그의 ‘시선’과 ‘발’은 결국 한국영화에 멈춰? [아시아엔=편집국] 한국영화 사상 최고·최장 스타로 꼽히는 ‘국민배우’ 신성일이 4일 81세로 타계했다. 23살 나이에 ‘로맨스 빠빠’로 데뷔한 그는 500편 넘는 영화에 출연하며 한국영화의 전설을 써갔다. 한때 정치인으로 외도한 적도 있지만, 그의 시선과 발은 늘 영화에 머물러 있었다.?그의 생애를 살펴본다.   출생과 별세 ☆1937년 3월…

    더 읽기 »
  • 사회

    ‘별세 오보’ 났던 신성일씨 끝내 ‘타계’···엄앵란·청춘·영화 남기고

    [아시아엔=편집국] 엄앵란, 청춘, 설렘, 영화···. 3일 별세한 배우 신성일 선생은 많은 걸 남겼다. 향년 81. 신성일 선생은 이날 오후 7시 30분께 영화같은 삶을 마감했다는 소식이 이날 밤 9시께 대다수 언론에 보도됐다. 하지만 1시간 뒤 가족들은 별세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6월 폐암 3기 판장을 받은 후 항암치료를 받아왔다. 신성일…

    더 읽기 »
  • 동아시아

    [가볼만한 곳] 완도 보길도 세연정·낙석재···‘서편제’의 청산도

    [아시아엔=김국헌 전 국방부 정책기획관] 완도 보길도에는 윤선도가 조성한 세연정이 있다. 제주도로 향하던 그가 풍랑으로 보길도에 들렀다 매력에 빠져 10년을 머물면서 세연정과 낙석재 등 건물을 짓고 부용동이라 칭하였다. 정자에서 바라보는 연못의 운치와 주변을 가득 메운 동백꽃의 조화가 너무도 아름다운 곳이다. 전남 완도군 보길도는 고산(孤山) 윤선도의 숨결이 그대로 담겨있는 곳이다. 병자호란이 일어나…

    더 읽기 »
  • 동아시아

    [영화 속 자이니치 2세②] 나카시마 주연 <우연하게도 최악의 소년>···자살·이혼·마약·정신질환

    [아시아엔=이주형 기자] <고>가 사춘기 시절 정체성으로 고민하는 소년의 성장통에 코믹적인 요소를 가미해 유쾌하게 풀어냈다면 <우연하게도 최악의 소년>(2003)은 다소 암울하다. 폭력이나 섹스를 적나라하게 묘사하진 않지만 따돌림, 자살, 이혼, 마약, 정신질환 등 불편한 소재들을 다룬다. 첫 장면부터 그렇다.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사키 유미(나카시마 미카 분)는 열차의 좌석 하단을 발로 차며 고요함을 깨뜨린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영화 속 자이니치 2세①] 쿠보즈카 주연 ···”국경선 따위는 내가 없애”

    [아시아엔=이주형 기자] 경계인. ‘오랫동안 소속돼 있던 집단을 떠나 다른 집단으로 옮겼으나, 원래 집단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버릴 수 없어 새로운 집단에도 적응하지 못하는 어정쩡한 상태에 놓인 사람’을 뜻한다. 일본에서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이른바 ‘자이니치 코리안’은 경계인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특히 자이니치 2세들은 일본에서 나고 자랐지만 어느 한 집단에도 소속되지 못한 채…

    더 읽기 »
  • 동아시아

    [가볼만한 곳] 한국영상자료원···그곳에 가면 “영화, 만사 OK!”

    [아시아엔=김보배·이주형 기자] 100년 가까운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영화. 서울 상암동 DMC 단지에 위치해 있는 한국영상자료원은 영화란 매개체를 대중과 향유하고 한국영화의 유산을 후대에 물려주고 있다. 한국영상자료원 지하 1층의 시네마테크KOFA는 3곳의 상영관에서 시대와 장르, 그리고 국경을 초월한 영화들을 무료로 상영한다. 1층 한국영화박물관은 한국영화사를 연대별로 정리하는 동시에 실제 촬영에 쓰인 장비와 소품들을 전시한다. 이전에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100세 시대 ①]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보건학 박사] 백세인(百歲人, Centenarian)이란 100년 이상 생존한 사람을 말한다. 미국의 노년학연구그룹(Gerontology Research Group)은 현대적 관점에서 가장 장수했거나 오래 살고 있는 사람들에 관한 목록을 관리하는 단체다. 이 그룹의 기록에 따르면 근대적인 문서로 증명 가능한 최장수 기록 보유자는 프랑스의 잔 칼망(Jeanne Calment, 1875-1997) 할머니로 122년 164일을 생존했다. 114세에…

    더 읽기 »
  • 사회

    이창동의 문제적 괴작 ‘버닝’에 빠지다

    <버닝>의 영화적 가능성들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한정해 자신의 해석들에 가두지 말라는 것이다. 그 간의 이창동 영화들과는 다른, 음악 등 사운드 연출의 섬세함을, 마냥 외연·표면·기표 안에서 머무는 현실적인 종수와, 메타포·비유·기의 안에서 살아온 초현실적·재즈적인 벤, 그 둘 사이를 자유분방하게 오가는 무질서적인 해미 등 세 캐릭터의 개별성격화 및 상호플레이, 그리고 그 세 캐릭터를 열연하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정지영, 이창동에 ‘사람사는세상영화제’ 집행위원장 바통 넘겨받아

    이창동 영화감독 정지영 영화감독 [아시아엔=박세준 기자] 정지영 감독이 ‘사람사는세상영화제’ 신임 집행위원장에 위촉됐다.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이사장 이해찬 국회의원)은 지난해 이창동 집행위원장에 이어 정지영 감독을 신임 집행위원장으로 위촉했다. 한국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하는 작품 활동으로 한국영화의 양심을 상징하는 정 감독이 신임 집행위원장에 위촉됨에 따라 영화제 준비에 박차가 가해질 예정이다. 노무현재단은 “날카로운 시선으로 사회현안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더 읽기 »
  • 강우석 감독의 ‘고산자, 대동여지도’를 위한 변명?

      [아시아엔=전찬일 영화평론가, 부산국제영화제 아시아필름마켓 부위원장, 한국외대대학원 겸임교수] 지난 여름의 기록적 무더위가 사그러든 여파일까, 신학기로 인해 방학 때와 같은 여유가 없어서일까. <부산행>에서 <터널>에 이르는 지난 여름의 열띤 한국영화 4파전에 비하면, 올 추석 극장가는 퍽이나 심심한 편이다. 김지운 감독의 <밀정> 대 강우석 감독의 <고산자, 대동여지도>(이하 <고산자>)가 뜨거운 맞대결을 펼칠 거라는 많은…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