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우뚝선 회화나무’ 독립운동가 조부 이명균
나의 조부 이명균(1863~1923) 선생의 묘소는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 있다. 조부님 호는 일괴(一槐), 마당에 심었던 우뚝한 회화나무를 가리킨다. 조부께서는 그야말로 한 그루 거대한 회화나무처럼 한국근대사의 파란만장한 시간을 살아가셨다. 파리장서에 유림대표로 서명하신 일, 비밀결사 ‘의용단’을 조직해서 군자금 모으던 일, 상해 임정이 임명한 재무총장으로 놀라운 성과를 이룩하신 일, 테라우치 총독암살에 연루되신 일, 청년…
더 읽기 » -
사회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유홍준, 전설을 지켜보며 만감이 교차할 때가 많았다”
유홍준(兪弘濬, 1949 ~ )은 한때 영남대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교수였다. 창비 사장이면서 영남대 교수로 계셨던 미술평론가 김윤수 교수가 데려왔다. 유홍준은 민청학련 사건에 연좌되어 그 어디에도 대학에 발을 붙이지 못했는데 은사 김 교수가 구제를 했던 것이다. 유홍준은 교수가 되기 전 삼성 계열의 <계간미술> 기자를 여러 해 했다. 그 시절에 경험한 고미술에 대한…
더 읽기 » -
사회
[이동순 시인의 추억과 사유] ‘동아일보’ 소설 등단 이태호의 판화 ‘책벌레’
내 친구인 조각가 이태호(李泰豪)의 인상적인 판화작품입니다. 제목은 ‘책벌레’, 혹은 ‘간서치(看書痴)’입니다. 아래쪽에 연필로 쓴 친구의 서명이 있습니다. 그는 1973년 동아일보 소설 당선자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본업인 조각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친구를 20년 만에 다시 만나 그의 작업실이 있는 경기도 양평 지평리에서 지난 시절 살아온 강물 같은 이야기를 자정이 넘도록 도란도란 나누며…
더 읽기 » -
김영일 본명 되찾은 김지하 고향 유달산에서 쓴 이동순 시인의 ‘조사’
지하 형님의 별세 소식을 접하고 저의 가슴 속에는 만감이 교차합니다. 그래서 예전 1986년 7월 5일 새벽, 저에게 직접 써보내신 편지를 꺼내봅니다. 형님께서는 ‘지하’란 이름의 무게를 대단히 힘들고 불편하게 생각하신 듯합니다. 그 이름으로 썼던 여러 시작품들, 그 이름 때문에 겪었던 온갖 고초와 박해의 시간들, 그것으로부터 훨훨 벗어나 홀가분한 자유의 시간을 갈망하셨습니다.…
더 읽기 » -
사회
[이동순 시인의 추억과 사유] “오늘의 ‘창비’는 이시영 같은이의 ‘분투’ 덕택”
사실 <창작과비평>이 오늘과 같은 규모의 성세로 자리를 잡고 번성하게 된 것은 창비가 어렵고 힘들었던 고난의 시절을 안간힘으로 감당했던 모든 분들의 전심전력과 전력투구에 힘입은 것이리라. 우선 창비를 이끌고 갔던 운영진들, 편집과 영업팀들, 그리고 여러 도우미들, 창비에 좋은 글을 꾸준히 기고했던 필진들, 그리고 꾸준히 창비의 책을 찾은 독자들, 이런 분들의 노고와 피땀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어린이날 떠오르는 선한 미소 ‘정채봉’
아동문학가 정채봉(丁埰琫, 1946~2001)이 5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지도 어느 덧 스무 해가 넘는다. 전남 승주군의 바닷가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마저 일본으로 떠나 고아와 같았다. 할머니 손에 성장했으며 광양농고에 진학해서 다녔다. 처음엔 학교 온실관리 당번을 하다가 어느 날 실수로 난로 불을 꺼뜨려 화초들이 모두 얼어죽었다. 이후 도서관 당번으로 쫓겨가서 그의…
더 읽기 » -
사회
등단 50주년 이동순 시인 21번째 시집 ‘고요의 이유’
올해는 나의 문단 등단 50주년이다. 말이 쉬워 오십년이지 어떻게 세월이 갔는지 분간이 가지 않는다. 이 뜻 깊은 해를 그냥 보낼 수는 없어서 시집을 하나 준비했는데 오늘 발간되었다는 연락을 받았다. 표4를 류근 시인이 맡아주었고 제작은 애지에서 수고를 해주셨다. 정년퇴임 후 7년째이다. 이젠 고요의 의미가 무엇인지 조금 짐작이 간다. 그래서 시집 타이틀을…
더 읽기 » -
사회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내 첫 시집 ‘개밥풀’과 김주영 소설 ‘객주’의 인연
1970년대 후반의 일이다. 작가 김주영(金周榮, 1939~ )씨가 안동으로 나를 만나러 온 일이 있다. 내 첫 시집 <개밥풀>에 든 장시 ‘검정버선’의 시적 화자인 ‘길소개(吉小介)’ 노인을 소개 받으려는 게 목적이었다. 하지만 그 ‘길소개’는 내가 설정한 가공인물로 내 어린 시절 고향마을 주막거리에 살던 백정 삼술이를 모델로 삼은 것이었다. ‘길속에’란 말에 착안해서 천민 이미지를…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처연한 맘으로 영남일보 신왕 기자 편지를 읽다
세상을 떠난지 오래된 이의 편지를 읽는 일은 기분이 처연하다. 특히 글의 문맥에서 감사를 표시하는 대목, 따뜻한 덕담, 격려, 창작 열기를 부추기는 그런 대목을 읽는 일은 슬프고 목이 메인다. 특히 건강을 기원하는 대목이야말로 가장 가슴이 저려온다. 내가 보낸 시집 한 권으로 자신을 행복한 사람이라 은밀히 고백하는 그 대목에 이르러서는 일단 큰…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자유시’ 동인 기자출신 시인 서원동
흘러간 70년대 시절, 한때 “반시”와 “자유시” 두 동인지에 동시참여로 활동한 적이 있다. 그러다가 결국 하나만 선택하게 되어서 거주지 중심으로 “자유시” 동인을 선택하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심정은 “자유시”보다 “반시” 쪽이었다. 나의 작품성향이나 문학적 친교(親交)가 “반시” 쪽이 훨씬 마음이 쏠렸다. ‘우리는 근원적으로 자유를 지향한다’라는 “자유시”의 창립선언문에서 거론하는 자유는 그 성격이 모호하고 정치적…
더 읽기 » -
사회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버팀목 돼주셨던 김판영 외당숙
첫돌 전에 어머니를 잃고 나는 외가를 모른 채 자랐다. 친구들이 외가집 다녀온 이야기, 외할머니 사랑을 듬뿍 받은 이야기를 하면 그것이 어느 먼 나라 이야기처럼 아득하기만 했다. 어머니 네 자매는 아들 손이 없이 딸만 오롯했고 어머니는 그 중 맏이였다. 하지만 병약해서 전쟁 중에 나를 낳으신 후 시름시름 앓다가 마흔 셋에 돌아가시니…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양왕용 시인의 뜻밖의 편지
평소에 편지나 전화 등 어떤 연락도 나누지 않았는데 어느 날 불쑥 뜻밖의 편지를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런 편지는 대개 청탁이나 다른 목적을 지닌 것이 일반이다. 양왕용(梁汪容, 1943~ ) 시인은 남해 출생이다. 경북대 사범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을 마친 뒤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김춘수 시인이 길러낸 제자 중 한 분이다. 등단도…
더 읽기 » -
동아시아
부안 기생 이매창 흔적, 애닲고도 눈물겹다
한 인물이 자기 시대를 벗어나서 계속 시간을 관통하는 경우는 썩 드물거나 극소수이다. 고전을 탐독하다가 불현듯 만나게 되는 인물, 그를 찾아서 흔적을 더듬는 일은 애달프고도 눈물겹다. 부안 기생 매창이 그러하다. 나는 수년 전 그녀의 영전에 가서 한 잔 술 부어올리고 영적 대화를 시도하였으나 그녀는 종내 묵묵부답이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신협 “시는 혼으로 쓰는 것…시 정신이 결여된 시는 가짜”
신협(愼協, 1938~ )이란 시인이 있다. 본명은 신용협(愼鏞協)이며 필명이 신협이다. 충남 연기군 전동 출생이다. 그곳은 지금의 세종시가 되었다. 대전고,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고려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충남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1974년 “심상”지를 통해 박목월 시인의 추천을 받아 등단했다. 시집으로는 “변명”, “낙엽으로 돌아와서”, “물가에 앉아서”, “어린 양에게”, “다시 사랑을 위하여”, “단순한…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동순의 추억과 사유] 김석주 시인, 35년 전 인연이 ‘페친’으로 이어져
서로 대면도 못했지만 페이스북에서 친구가 되어 마음의 공감을 주고 받는 분들이 있다. 물론 사진과 프로필을 통해서 그분의 활동과 주요 관심사를 대하지만 글로써 이미 상당한 정도의 인간적 이해와 친분이 쌓인 경우가 있다. 부산의 김석주(金石?, 1946∼ ) 시인이 그렇다. 내가 페이스북에 매일 글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그 개인적 공간이 다중의 연결과 소통으로 확장이…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