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라프 달리

이집트, 아시아엔(The AsiaN) 아랍어판 편집장, 아시아기자협회장, 실크로드 문학 시리즈, 이집트(The Silk Road Literature Series) 편집장
  • 서아시아

    페르시아 왕국 흥망성쇠 대서사시 ‘샤나메’를 아시나요?

    *’아시아엔’ 해외 필진 기고문 한글요약본과 원문을 게재합니다. [아시아엔=아시라프 달리] 페르시아 대문호 아부 카심 알-피르다우시(Abu Qasim Al-Firdawsi)가 1000년 전 집필한 대서사시<샤나메>(Shahnama)의 재출간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서사시 가운데 하나이자 고대 페르시아의 가장 유명한 작품을 되살리기 위한 프로젝트다. <샤나메>는 고대와 현대, 동양과 서양을 잇는 ‘가교리’ 역할을 할 것이다. 5만여편의 시로 구성된 <샤나메>는 페르시아…

    더 읽기 »
  • 아랍-미국 합작 ‘말랄라 다큐멘터리’ 나온다

    *’아시아엔’ 해외 필진 기고문 한글요약본과 원문을 게재합니다. [아시아엔=아시라프 달리] 2014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말랄라 유사프자이 이야기가 미국에서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들어진다. 파키스탄에서 여성 교육권을 지키려 한 15세 말랄라의 투쟁을 세계적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는 프로젝트다. 미국 공교육 체제의 실패를 고발한 다큐멘터리를 만든 데이비스 구겐하임이 감독을 맡았다. 구겐하임은로 2007년 아카데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받은 거장이다. 제작사는…

    더 읽기 »
  • [교황 방한] 교황님 DMZ 밟고 떠나십시오

    요한 바오로 2세가 세상을 떠난지 사흘 후인 2005년 4월8일 북한국영방송사는 그의 죽음을 알렸다. 수도 평양에선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도식이 열렸으며, 이는 전파를 타고 남한에 공개되기도 했다. 북한 기독교는 김일성 정권 당시 1500여개의 교회가 폐쇄되며 시련도 겪었지만 1988년 평양에서 교회가 재건되기 시작했다. 지금 이 순간 서울을 방문하고 있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반도…

    더 읽기 »
  • 서아시아

    [2014 만해대상] ‘글 짓는 농부’로 풍요로운 세상 이룩

    어릴 적, 조부께서 살던 시골마을을 방문하곤 했다. 자연을 즐기고, 전래동화를 들으며 시간을 보냈다. 녹색 양탄자 같은 들판, 하늘의 푸르름을 점 찍은 흰 솜 뭉치들, 발레리나처럼 춤 추는 황로, 그리고 그 순간 꿈꾸고 있던 모든 것들이 아직 생생하다. 그 시절엔 농부가 돼 안락한 삶, 자연의 호의, 그리고 맛있는 음식을 즐기고 싶었다.…

    더 읽기 »
  • 서아시아

    [교황 방한] 교황, 거룩한 평화 사명 띠고 중동 방문

    성지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무슬림들은 그들에게 고통을 안겼던 십자군전쟁을 떠올린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중동을 방문함으로써 오랜 분쟁을 딛고 평화를 싹 틔우고자 했다. 팔레스타인 기독교도들은 교황이 이스라엘에 억압받는 그들을 구원해주길 희망한다. 최근 이스라엘 종교지도자들은 팔레스타인 가톨릭 신도들을 분리주의세력으로 간주해 탄압하고 있으며 유대극단주의자들의 증오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그들은 동예루살렘의 한…

    더 읽기 »
  • 서아시아

    시리아 어린이 난민, 출구없는 고통 뒤 자살폭탄테러 미래뿐

    레바논에만 100만명 이상 거주하고 있는 시리아 난민들은 또 다른 전쟁을 맞이해야 한다. 4남매 아빠 매리엄 알 콰리는 이제 삶보다 죽음이 훨씬 쉬운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인구 440만의 레바논엔 매일 난민 2300명이 들어온다. 유엔에 따르면 이를 감당하기 위해 18억달러가 필요하지만 14% 밖에 지원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니네트 켈리 유엔난민기구 레바논 사무소 대표는 난민원조가…

    더 읽기 »
  • 서아시아

    쿠웨이트, ‘평화정상회담’ 요람 떠올라

    [Country in Focus] 쿠웨이트, 평화 정상회담 요람 떠올라 아시아와 중동이 요즘 급격한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 빠져 들어간 가운데 쿠웨이트는 최근 중동의 지리적·역사적 중심지로서 지역 및 국제 범위의 정상회담 개최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쿠웨이트가 중동에서 이런 역할을 떠맡게 된 것은 오랜 외교 업무 경력을 가진 국왕 셰이크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에 힘입은…

    더 읽기 »
  • 남아시아

    인간과 연극에 대한 무한사랑, 인도-쿠웨이트 문화융합

    쿠웨이트 정착한 뭄바이 출신 감독 겸 작가 아리프 카지 몇 년 전 <The Other>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비(非) 이슬람권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아리프 카지가 출연했다. 그는 힌디어 연극을 제작하는 팽커 아트(Fankar Arts)사의 감독이며 여태까지 총 28개 작품의 시나리오를 쓰고 직접 제작한 베테랑이다. 카지는 학창 시절 캐더 칸(Kader Khan)을 비롯한 세 명의…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랍의 봄’ 뒤엔 이건희 회장 있었다

    이건희 회장 사망 관련기사에서 필자가 맨 처음 읽은 코멘트는 “아랍혁명 뒤에 이건희가 있었다”였다. 아랍 모든 가정은 삼성이라는 이름이 새겨진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은 값싸고 품질이 떨어진다는 세간의 평가를 불식시키며 기적을 만들었고, 빠르게 변하는 기술력 시대의 중심으로 우뚝 섰다. 전세계 스포츠 이벤트와 팀, 선수들을 후원하는 것은 삼성의 또다른 면모다. 필자의 사견이지만…

    더 읽기 »
  • 동아시아

    두바이 국제사진대회 계기, 문화예술도시 급부상

    셰이크 함단 빈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마크툼 두바이 왕세자의 후원 아래 국제 사진대회가 3월17일 두바이 국제금융센터에서 개최됐다. 두바이는 국가의 역량을 개발에 쏟고 있으며, ‘두바이 2015 전략’은 이런 지속적인 노력의 방향을 잡아주는 로드맵이다. 알 마크툼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세계에서 기량이 뛰어난 사진가들을 대회에 초청했다. 그는 “모든 이는 서로 다른…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집트 대선, 알시시 우세 속 나세르주의자 연대에 관심

    수 년 전, 아니 반 세기 전만 해도 이집트인들에게는 투표장으로 가는 것이 매우 생소한 행사였다. 나세르, 사다트, 무바라크 등 전직대통령들이 오랜 기간 집권하다 보니 이집트 국민의 뇌리에는 다양한 후보의 개념이 들어있지 않다. 심지어 이집트인들은 권위적인 대통령에 대항하는 정치인을 선출하더라도 취임하면 마찬가지로 권위적 인물로 변해 버리는 바람에 대선에 대한 기대는 낮은…

    더 읽기 »
  • [아라비안 이야기] ? 움푹 꺼진 그의 두 눈

    *<샤마위스로 가는 길> 스무 번째 이야기 33 샤마위스 마을의 모스크 응접실에 차려진 조문소에서 아버지는 자신과 먼저 간 딸에 대한 알라의 자비를 구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움푹 꺼진 그의 두 눈에서 눈물은 돌이 되어버렸다. 마을사람 전체가 아버지를 위로하기 위해 모였다. 사람들 말에 따르면, 나르지스가 평소처럼 학교에 가기 위해 아스팔트길로 올라섰을 때 갑자기…

    더 읽기 »
  • 서아시아

    실크로드의 미래 가교, 쿠웨이트

    진행자가 쿠웨이트 황금보트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칼리드 빈 파이잘 알 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자, 엘미라 바이란 알리 타타르스탄 작가 등 5명과 함께 이상기 아시아기자협회(AJA) 창립회장 겸 <매거진N> 발행인이 영예의 수상자로 호명됐다. 쿠웨이트에서 열린 ‘알 아라비 매거진 포럼’ 개막식에서 진행된 시상이었다. 황금보트상은 살람 알 하모드 알 사바 쿠웨이트 공보부 장관이 수여했다. 이 창립회장은…

    더 읽기 »
  • [아라비안 이야기] ? 히샴의 분노는 점점 커졌다

    *<샤마위스로 가는 길> 열아홉 번째 이야기 32 히샴이 마당으로 나가서 자동차 안으로 들어갔을 때 분노는 눈덩이처럼 변해서 점점 커졌고, 마침내 그로 하여금 예전에는 한 번도 하지 않았던 생각을 하게 했다. ‘여자들이 원하는 것은 뭘까? 나보다 어린 여자가 우리 아버지를 남편으로 받아들이다니. 여자들은 사랑을 염두에 두지 않아. 바람둥이 여자들이 자기 아버지뻘의…

    더 읽기 »
  • [아라비안 이야기] ? “그녀는 뭐라고 해야 할까”

    *<샤마위스로 가는 길> 열여덟 번째 이야기 30 “우리 차 한 잔 더 마시면 어떨까? 이번에는 당신의 새 집에서 말이야.” 루와 이삼 딘의 무심한 말이 걱정에 휩싸인 채 많은 생각을 하고 있는 나르지스의 머리를 스쳤다. 그녀는 신경질과 공포가 섞인 어투로 대답했다. “됐어요. 우리 둘이 있는 건 여기까지로 충분해요” 이삼 딘은 그녀에게…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