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라프 달리

이집트, 아시아엔(The AsiaN) 아랍어판 편집장, 아시아기자협회장, 실크로드 문학 시리즈, 이집트(The Silk Road Literature Series) 편집장
  • 서아시아

    오바마 재선을 보는 중동의 시선 “팔레스타인을 기억하라”

    2009년 여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슬람 세계에 관한 중요한 연설을 하기 위해 이집트 최고 명문인 카이로대학을 방문하는 길에 술탄 하산 모스크를 방문했다. 수많은 이집트 국민들은 그에게 존경과 환호를 보냈다. 오바마 대통령 임기 초기만 해도 많은 사람들은 그가 아랍인과 이슬람교도들에 대해 서방세계 특히 미국에서 일정한 권리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지금…

    더 읽기 »
  • 서아시아

    2012년 런던올림픽은 ‘예술의 부활’

    스포츠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런던 올림픽에서 세워질 신기록이나 에티오피아 육상선수 카넨에사와 소말리아 무하마드 파라의 경쟁, 마이클 펠프스와 라이언 로쳇의 경쟁 등에 대한 글을 바랄 것이다. 아니면 영국 수영선수 루시 맥그리거나 중국 탁구 선수 마린, 혹은 벨라루스의 에카트리나 칼스틴 등에 대한 이야기를 기대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번 런던올림픽에서는 또다른 볼거리가 있다. 바로…

    더 읽기 »
  • 서아시아

    요르단 여성화가 “동그라미, 생명과 창조의 원형”

    ‘원(동그라미)’은 어떻게 우리의 상상력을 지배하는가? 우리가 갖고 있는 모든 에너지와 발견할 수 있는 비전과 통찰력으로 우리는 삶의 동그라미를 채우려 노력하고 있다. 원형의 형태에 대한 접근(정지와 이동, 고정과 변화, 작음과 거대함, 보이는 것과 숨겨진 것, 설명 가능한 것과 애매한 것)은 요르단의 여성화가 ‘힐다 하야리’의 작품을 소개해주는 말이 될 수 있다. 그는…

    더 읽기 »
  • 서아시아

    시리아 여성화가의 창작세계···’여성을 보는 색다른 각도’

    시리아 여성 화가 힌드(Hind Adnan)의 작품들. 예술의 기반은 재건이다. 재료들은 예술이 창조한 마법 기계를 통해 재창조된다. 이는 예술가에게 유일하고도 독특한 세계를 만들어낸다. 예술가들은 방식을 발명하거나 무에서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유전자에 새겨진 창조성과 DNA로 이 세계를 다시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서명이나 예술가의 이름이 적혀 있지 않아도 누구의 작품인지…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랍 예술가 파티마 ‘사라진 유토피아를 찾아’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아랍의 여성 예술인들. 그?중 ‘파티마 알하즈(Fatima Alhajj)’는 베이루트, 모스크바, 파리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교수가 됐다. 그러나 그녀는 이러한 학문적인 면 말고도?즐겁고 풍요로운 레바논의 자연 등 보다 즉흥적인 색채의 세계를 펼쳐 보이며 우리에게 말을 건다. 파티마의 작품은 폭력적이고 불친절한, 경직되고 거친 세계에 대한 저항을 표현한다. 자동차 소음과…

    더 읽기 »
  • 서아시아

    변화 꿈꾸는 아랍 여성 예술인들의 ‘혁명’

    *쿠웨이트 <알 아라비 매거진> 편집장인 아시라프 달리 기자가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아랍의 여성 예술인 6명의 이야기를 전한다. 첫 번째 주인공은 예멘의 화가?’아메나 알-나지리’이다. 아시라프가 ‘혁명’이라고 표현한 이들의 실험적인 예술 세계를 통해 아랍 사회에서 꿈틀대고 있는 무한한 변화의 에너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술에 있어 ‘혁명’이란 무엇인가? 변화를 찾아 직접…

    더 읽기 »
  • 서아시아

    무슬림형제단 ‘게임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Muslim Brothers)’은 어떤 단체? 1928년 이집트에서 등장한 ‘무슬림 형제단’은 이슬람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사회운동 단체이자 가장 역사가 깊고 가장 강력한 단체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무슬림 형제단을 위해 살고 또 무슬림 형제단을 위해서 죽었지만 그 중에서도 무슬림 형제단을 창설한 하산 알 반나(Hassan Al-Banna, 1906~1949)를 빼놓고는 아무것도 이야기할 수 없을 것이다.…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집트 시장의 MB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Muslim Brotherhood)이 빈곤층에게 최저 가격으로 먹을거리를 팔고 있다. 무슬림 형제단은 ‘어려운 이웃을 돕자’라는 슬로건 아래 활동 중이다. <사진=아시라프 달리 기자>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집트혁명 1년 ‘타흐리르 광장에서 만납시다’

    이집트 민주화 혁명이 일어난 지 1년이 지났다. 지난 1월21일에는 이집트 하원의원 선거까지 있었지만 상황이 나아지기는커녕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다는 느낌이다. 독재자가 사라진 자리는 이제 이슬람 세력들이 차지했다. 요즘 논의되고 있는 주제들, 즉 여성들이 히잡이나 니캅을 써야 하는가, 음악과 미술은 어디까지 허용될 수 있는가, 동성결혼은 정당한가 등을 보고 있노라니 마치 19세기로 다시…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집트축구장 집단살해 배후는 군부정권?

    2011년 2월11일 독재자 무바라크가 권좌에서 내려온 후 지난 1년간 이집트 군부는 혁명이 무색하리만큼 온갖 만행을 저질러 왔다. 조금이라도 이성이 있는 사람이라면 과거의 무바라크 대통령과 지금의 군부가 전혀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간의 만행이 너무 많아서 일일이 다 열거할 수도 없지만 바로 그제인 2월1일, 최악의 사건이 발생했다. 이집트 북쪽…

    더 읽기 »
  • 서아시아

    [포토에세이] ‘모자’만 말고 ‘나’도 좀 봐주세요

    [아시아엔=아시라프 달리 <아시아엔> 중동지부장] 이 사진들은 저를 찍은 것입니다. 이집트, 모로코, 중국, 우즈베키스탄, 타타르스탄, 인도, 한국, 독일 등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모자를 쓰고 찍은 제 모습입니다. 입고 있는 옷만으로 사람을 판단할 수 없는 것입니다. 모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내면을 추구하세요. 우리는 모두 같은 사람들이랍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아시라프의 중동견문록②] 시리아 다마스커스, 어제와 오늘

    3300년 전 어느 아침, 시리아와 레바논 국경 부근, 다마스커스 북쪽에 위치한 가데스에서 젊은 이집트 왕 람세스2세는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지만 헷족에 수적 열세를 겪게 된다. 공격형 전차에서도 열세였고, 부상자 수도 많았다. 양측은 지지부진한 이 전투가 손실만 초래할 것이란 것을 깨닫고 일단 후퇴한 후 상황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현명한 모와탈리스는 가데스 전투를…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시라프의 중동견문록①] 시련 속 시리아 ‘3000년 전 그곳은···’

    오론테스 강(River Orontes)에 도착한 순간 사랑에 빠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어쩌면 오론테스 강과 마주하자마자 강이 두 팔 벌려 당신을 안아준다는 느낌을 받을지 모른다. 강을 따라 형성된 비옥한 대지와 장미 정원에 서 있노라면 꽃나무들의 합창 소리도 들을 수 있다. 시리아와 레바논 북쪽 국경 지대를 유유히 흐르는 강물 위로 과거와 현재,…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시라프 칼럼] 중동의 몰락한 ‘4인방’

    아시아엔은 오는 11월11일 창간 3돌을 맞습니다. 그동안 독자들께서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아시아엔은 창간 1년만에 네이버와 검색제휴를 맺었습니다. 하지만 제휴 이전 기사는 검색되지 않고 있어, 그 이전 발행된 아시아엔 콘텐츠 가운데 일부를 다시 내기로 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좋은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편집자> 예멘 대통령 알리 압둘라 살레가 권력이양서에 서명하는 장면을…

    더 읽기 »
  • 서아시아

    “중동민주화, 부패 알린 언론이 가장 큰 힘”

    지난 19일 리비아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의 차남이자 정권 후계자였던 사이프 알이슬람이 시민군에게 체포됐다. 카타피 사망에 이어 발생하고 있는 최근 일련의 중동 민주화 사태에 대해 쿠웨이트 알 아라비(Al-Arabi) 매거진 편집장이자 아시아기자협회 중동지부장인 아시라프 달리(Ashraf Dali)는 언론의 영향력이 컸다며 21일 다음과 같은 견해를 밝혀 왔다. -현재 중동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민주화 운동에…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