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스홉킨스대 발리 나스르 국제관계대학원장은 “격동하는 이란의 국내정치 상황과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의 권력약화는 현재의 교착상태에 평화적인 해결책이 가능하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발리 나스르(Vali R. Nasr) 학장은 아산정책연구원(원장 함재봉) 초청으로 14일 열린 라운드테이블에서 이란의 핵 프로그램 관련해 “제재(sanction)나 군사적 개입보다 지속적인 외교활동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
아랍의 민주화 운동에 대해서는 “미국이 중동 지역의 변화를 주로 안보적 관점에서만 보면서 지난 2년 간 이 지역에서 발생한 정치적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지역의 정치적, 종파간 차이에서 오는 수많은 문제들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면서, 미국은 잠재적 동맹국이 등장하는 상황을 활용하지 못했고, 그 사이에 중국과 러시아는 이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넓혀갔다”고 말했다.

나스르 교수는 현재 미 국무부의 외교정책 자문위원으로 미국의 대 중동 정책 수립과정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으며, <시아파의 부흥 (The Shia Revival)>과 <부의 힘(Forces of Fortune)> 이라는 두 권의 저서에서 아랍의 봄의 가능성을 예견한 바 있다.
‘아랍의 봄, 앞으로의 과제’를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정몽준 아산정책연구원 명예이사장, 함재봉 원장, 장지향 중동연구센터장, 켄트 컬더 (Kent E. Calder) 존스홉킨스대 동아시아 연구센터장, 재 구 (Jae H. Ku)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장 (US-Korea Institute), 문정인 연세대 교수, 한석희 연세대 교수, 백지아 외교통상부 유엔안보리 업무 지원대사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