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칼럼

[특별기고] “몽골,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가교 역할할 수 있다”

한국과 몽골의 국기
[아시아엔=덴데브 테르비쉬닥와 몽골 전 부총리·전 주독일 대사] 몽골은 오랜 분단과 갈등으로 얼룩진 한반도 평화와 통일 과정에서 중립적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다. 이는 몽골이 남북한 모두와 맺어온 역사적 인연과, 냉전 질서 붕괴와 독일 통일을 직접 목격한 경험에서 비롯된다.

1980년대 후반, 나는 동독에서 공부하고 일하며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역사의 현장을 지켜봤다. 1989년 11월 9일 당시 나는 주동독 몽골 대사로 , 무너질 것 같지 않던 벽이 수많은 시민의 손에 의해 허물어지는 것을 지켜봤다. 물리적 장벽뿐 아니라 내 마음속 장벽도 함께 무너졌다. 당시 많은 이들이 독일 통일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대화와 상호 이해, 공감대가 만들어낸 결과는 예상보다 빨랐다. 이 경험은 오늘날 한반도에 큰 시사점을 준다.

몽골은 분단과 변화를 직접 경험한 나라다. 1948년 소련에 이어 두 번째로 북한을 승인했고, 1990년에는 헝가리에 이어 두 번째로 한국과 수교한 사회주의 국가였다. 이후 30여 년간 한국과의 관계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했다. 현재 6만 명이 넘는 몽골인이 한국에서 일하고 살고 있으며, 한국어는 몽골에서 영어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배우는 외국어다.

몽골과 한국은 고려와 몽골제국 시절부터 이어진 수백 년의 역사적 인연이 있다.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은 몽골 국빈 방문 중 “양국은 영원한 형제”라고 강조했다.

몽골은 남북 모두와 신뢰를 쌓아왔다. 핵무기 없는 국가임을 선언한 몽골의 중립적 입장은 지역 신뢰 구축의 기반이다. 이를 바탕으로 2013년부터 매년 울란바토르 대화(UBD)를 열어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동북아 안보 현안을 논의해 왔다. UBD는 공식 정부 발언과 전문가 간 비공식 의견 교류가 함께 이뤄지는 ‘트랙 1.5 대화’로 교착 상태를 풀고 신뢰를 쌓는 장이다.

한반도 통일은 경제·사회적으로 엄청난 기회를 제공한다. 남북이 하나가 되면 7천만 인구의 잠재력과 첨단 기술, 자원, 인력이 결합되어 유라시아 대륙으로 연결되는 무한한 성장동력을 갖게 된다.

하지만 통일은 강제할 수 없다. 신뢰와 교류, 점진적 통합이 필수다. 최근 한국 청년층이 통일에 대한 관심이 줄고 있다는 연구는 교육과 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몽골은 사람 중심의 ‘소프트 파워’를 제안한다. 몽골 대학과 훈련센터는 북한 청년들을 초대해 농업, 광업, 경영 등 실무 지식을 가르칠 준비가 되어 있다. 이는 미래세대가 협력적 사고를 갖도록 돕는다.

한국전쟁 당시 몽골은 북한에 가축, 식량, 옷을 지원하고 수백 명의 고아와 학생을 울란바토르에서 돌봤다. 이 기억은 북한에도 남아있어 상호 신뢰의 토대가 된다. 오늘날 한국과는 무역과 문화 교류가 활발하며, 해마다 더 많은 한국인이 몽골을 찾아 드라마와 다큐멘터리를 촬영하고 있다.

평화를 사랑하고 이웃과 평화롭게 지내는 민주주의 국가로 자리 잡은 몽골은 한반도 문제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중재자이자 친구가 될 것이다. 광활한 몽골초원, 푸른 하늘 아래 전통 게르에서 남북 정상이 마주앉아 대화할 날을 상상해본다.

칭기즈칸의 말을 인용하며 글을 맺는다. “넘지 못할 산이 있더라도 먼저 두려워하지 마라. 넘겠다는 의지만 있으면 길은 스스로 열린다.”

이 의지를 한국인과 함께 만들어가길 바란다. 몽골은 형제의 나라로서 그 길에 언제나 함께할 것이다.

덴데브 테르비쉬닥와 몽골 전 부총리와 그의 저서 <초원에 숨겨진 요람> 한국어판.

Mongolia: A Neutral Bridge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By Dendev Terbishdagva, Former Deputy Prime Minister and Ambassador of Mongolia to East Germany

Mongolia is uniquely placed to serve as a neutral bridge in efforts to build peace and reunify the Korean Peninsula — a region long divided by ideological and geopolitical fault lines. This role is rooted in Mongolia’s historical ties with both Koreas and its own lived experience of democratic transition after the Cold War.

In the late 1980s, I was living and working in East Germany when I witnessed the fall of the Berlin Wall on November 9, 1989. What seemed immovable crumbled overnight. This event remains vivid in my memory: not just a concrete barrier fell, but so did the walls within my own thinking. Back then, few believed German reunification was realistic. Yet, through dialogue and mutual understanding, it became reality faster than expected — a lesson directly relevant to the Korean Peninsula today.

Mongolia knows division and change. It was the second country to recognize North Korea in 1948, and one of the first socialist states to establish diplomatic ties with South Korea in 1990. In the decades since, relations with South Korea have blossomed into a strategic partnership. Over 60,000 Mongolians now live and work in South Korea, and Korean is Mongolia’s second-most studied foreign language after English.

Our shared history runs deep. Centuries ago, the Goryeo Dynasty allied with the Mongol Empire under Genghis Khan. In modern times,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jung described Mongolians and Koreans as “eternal brothers.” This spirit endures today.

Practically, Mongolia has earned trust by maintaining balanced diplomacy with both North and South Korea. Declared a nuclear-weapon-free zone, Mongolia remains impartial and credible — a foundation for its role as a facilitator of dialogue, seen in the annual Ulaanbaatar Dialogue (UBD) since 2013. The UBD convenes government officials, academics, and experts from more than 30 countries to discuss Northeast Asian security, including inter-Korean issues, in an open, trust-building format.

A peaceful Korean reunification would yield immense benefits. Together, North and South Korea would form an 80-million-strong nation blending advanced technology with rich natural resources and a resilient workforce. Reconnecting the Peninsula to the Eurasian continent by rail and road would unlock vast trade and development potential.

However, true reunification must be cultivated with patience and trust — not imposed. As in Germany, cultural exchange and gradual integration are essential. Surveys show younger generations in South Korea feel detached from the idea of reunification, underlining the need for more education and people-to-people contact.

Mongolia proposes a soft-power approach. Mongolian universities and training centers stand ready to host North Korean youth, teaching them modern skills in agriculture, mining, and business management to broaden their horizons and prepare them for cooperation.

During the Korean War, Mongolia supported North Korea with livestock, food, and clothing, and cared for hundreds of orphans and students in Ulaanbaatar. This legacy of solidarity still resonates. Today, our vibrant trade and cultural exchanges with South Korea show how much more we can achieve together.

As a peaceful democracy with no territorial disputes and friendly ties with all neighbors, Mongolia is well positioned to help bridge differences on the Korean Peninsula. Hosting an inter-Korean summit in a traditional Mongolian ger under our eternal blue sky would symbolize a fresh start on neutral ground.

As Genghis Khan said: “If there is a mountain that seems insurmountable, do not first worry about how to cross it. If you have the will, you will find a way.”

Let us find that will together — and build a future where Koreans live united, in peace and prosperity, with Mongolia walking alongside as a trusted friend and bridge.

편집국

The AsiaN 편집국입니다.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본 광고는 Google 애드센스 자동 게재 광고이며, 본 사이트와는 무관합니다.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