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더십 역시 마찬가지다. 과거에는 VUCA(변동성·불확실성·복잡성·모호성)로 대표되는 환경 속에서 리더십 위기를 논했다. 이는 1987년 미 육군대학원에서 제시한 개념이다. 그러나 오늘날은 BANI로 진화했다. 2018년 미래학자 자마이스 카시오가 제시한 BANI는 ‘깨지기 쉬운(Brittle), 불안한(Anxious), 비선형적인(Nonlinear), 이해할 수 없는(Incomprehensible)’ 상황을 뜻한다. 이는 현재의 리더가 마주한 복합적 현실을 보다 잘 설명한다.
이런 리더십 위기의 원인을 들여다보면, 닮고 싶은 ‘역할모델’의 부재가 눈에 띈다. 사회 전반에서 리더가 되기를 꺼려하는 ‘리더 포비아(leader phobia)’ 현상이 나타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체계적인 리더십 교육의 부족 역시 영향을 미쳤다. 교육은 많지만 파편화돼 있고, 실제 적용은 부족하다. 눈과 귀로 배우는 데서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리더십도 실천의 연결 고리가 필요하다.
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그동안 소홀히 다뤄졌던 ‘팔로워십’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첫째, 리더십과 팔로워십 사이의 균형을 회복해야 한다. 조직은 두 역량을 고루 갖춘 인재를 원하지만, 교육과 투자는 대부분 리더십에 집중돼 있다. 팔로워십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 이는 리더십 위기를 초래한 원인 중 하나다. 이제 팔로워십에 대한 관심과 체계적인 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둘째, 조직 내에서 리더와 팔로워의 역할을 제도적으로 순환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리더 역할을 고정시키면 매너리즘이나 학습된 무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역할을 주기적으로 바꾸면 구성원은 다양한 입장을 경험하며 자기 성찰과 입체적 관점을 기를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역할모델 형성에도 도움이 된다.
셋째, 팔로워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팔로워를 단순히 ‘부하’가 아니라 ‘리더의 파트너’로 바라봐야 한다. 팔로워 없는 리더는 존재할 수 없다. 조직의 성패는 리더와 팔로워가 함께 책임진다. 그래서 팔로워십을 리더십의 첫 번째 형태라 부르기도 하고, ‘팔로워는 리더의 또 다른 이름’이라 말하기도 한다. 물론 이러한 인식 전환은 교육과 제도 변화가 병행되어야 가능하다.
오늘날 리더는 더 이상 군림하거나 권위로 조직을 움직일 수 없다. 세대 간의 가치와 동기부여 요소도 제각각이다. 리더는 예측불허의 상황과 빠른 변화 속에 놓여 있다. 이처럼 복잡한 현실에서 리더십의 위기를 오직 리더 개인에게서만 찾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제는 시선을 팔로워에게로 돌려야 한다. 이들을 미래의 리더로 키워야 한다. 당장은 어렵더라도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 ‘좋은 리더를 만나는 것’보다 ‘좋은 리더를 만드는 것’, 그리고 ‘좋은 리더가 되는 과정’을 지원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선택이다. 그 출발점은 지금의 팔로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