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최도선의 시와 달빛①] 책상···”사소한 바람까지도 허공 위의 책이다”

시인은 ‘책상’을 “꿈이란 아무 곳에나 머무르지 않는다”로 마무리한다. 그러나 학교의 아이들 책상엔 오래, 제대로 머물러 있으면 좋겠다. 

최도선 시인은 198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으로 등단한 후 첫 시집을 내놓고 가정으로 돌아갔습니다. 그 후 20년, 다시 붓을 들고 두권의 자유시집을 내놓은 그가 시조를 묶었습니다. 올 가을 낸 시집 <나비는 비에 젖지 않는다>입니다. 그는 시인의 말을 통해 “긴 세월 안장 위에 달빛이 쏟아진다”고 했습니다. <아시아엔>은 최도선 시인이 스스로 고른 시와 寸評을 소개합니다. 그가 비추는 달빛 따라 시의 마을로 향해 보시죠. <편집자>

책상

어둔 밤 더듬더듬 새로운 길 찾아간다
어머니의 말씀은 “세상이 다 책상이다”
사소한 바람까지도 허공 위의 책이다

강물이 흘러가는 물살에도 길이 있다
민들레 꽃씨 나는 것을 허투루 보지 마라
꿈이란 아무 곳에나 머무르지 않는다

♣세상살이는 새로운 길을 찾는 행위다. 능동적이어야 한다. 어렵고 힘들다. 더듬거릴 수밖에 없다. 그 길을 가는 동안 어머니의 가르침을 받으며 살아간다. 여기서 어머니는 단순히 육신의 부모만을 지칭하는 수준이 아니다.

우주적 모체다. “세상이 다 책상이다” 세상 모든 현상으로부터 배움이 시작되고 끝난다. 일종의 경구가 아니라 원초적 사랑과 생명의 절대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배움과 깨달음의 장소 책상을 세상으로 형상화 시켰다.

강물은 지상에서, 민들레 꽃씨는 공중에서 이 둘은 땅과 하늘의 모든 사물을 대표한 것이다. 상반성 구조를 통해 융합의 미학을 보여주고 싶었다. ‘꿈도 아무 곳에나 머무르지 않는다’ 함은 섭리나 인연을 변증하는 수법에 기대어 표현했다.

최도선

시조시인, 작픔상 수상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