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불량백신’ 왜 끊이질 않나···유통업자-지방정부 ‘검은 커넥션’?
‘불량백신 스캔들’은 3월18일 상하이 지방정부가 운영하는 언론이 단독보도하기 전까지 세간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중국 관영 <CCTV>와 <인민일보>을 포함한 중국 언론이 이 사건을 일제히 보도하자 정부는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리커창 총리는 철저한 수사를 요구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또한 이번 사건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일부 언론은?중국 대륙이 아닌 홍콩에서 백신접종을 하기를 권유하기까지 했다.
홍콩 <SCMP>는 “언론들은 불법 백신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판매자-지방정부 간 커넥션이 있었으며, 중앙정부는 이들을 제대로 감시하지 못했다”고 풀이했다. 관영 <인민일보>과 <신화사> 또한 “정부 관계자 그 누구도 이 사실을 밝히지 못했다”며 “지난해 4월 비슷한 사례가 있었으나, 중앙정부는 1년 가까이 이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한채 방치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언론들이 일제히 이 사건을 다루자 국민들의 분노도 치솟고 있다. 네티즌들은 “모녀가 어떻게 정부의 눈길을 피해 불량 백신을 전국적으로 판매할 수 있었는지 의문이다”며 “이번 스캔들에 관여된 영업사원 수백명과 수십개 의약회사들을 둘러싼 의혹도 남아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정부의 대처는 여전히 미흡하다. 오히려 WHO가 신속히 대응할 정도였다. 지난 22일 WHO는 불량 백신의 부작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해 사태의 심각성을 알렸으나, 현지 정부는 아직까지 이렇다할 수사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한편 탐사보도 전문매체 <차이신>(Caixin)은 2013년 어린이들을 사망에 이르게 한 불량 백신 생산과 판매 관련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또 2007년엔 중국 식품의약부 장관이 불량 의약품관련 부패혐의로 물러난 사건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