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구월이 오면/구월의 강가에 나가/강물이 여물어가는 소리를 듣는지요…들꽃들이 피어나/가을이 아름다워지고/우리 사랑도/강물처럼 익어가는 것을…구월이 오면/구월의 강가에 나가/우리가 따뜻한 피로 흐르는/강물이 되어/세상을 적셔야하는 것을”-안도현 ‘구월이 오면’ 9월 15일

“그대/구월이 오면/구월의 강가에 나가/강물이 여물어가는 소리를 듣는지요…들꽃들이 피어나/가을이 아름다워지고/우리 사랑도/강물처럼 익어가는 것을…구월이 오면/구월의 강가에 나가/우리가 따뜻한 피로 흐르는/강물이 되어/세상을 적셔야하는 것을”-안도현 ‘구월이 오면’ 9월 15일
“그러니깐/우리들이 매미채를 들고/숲 속을 헤매는 사이에도/여름은 흘러가고 있었나보다…하늘 저 너머에서/하얗게 피어오르는 뭉게구름에/깜빡 정신이 팔려있는 사이에도…쉬지 않고/여름은/대추랑 도토리, 알밤들을/탕글탕글 영글게 하며/그렇게 그렇게/흘러가고 있었나보다”-윤이현 ‘여름은 강물처럼’ “사람들은
[아시아엔=장지룡 몽골여행 홀리데이스 대표] 오늘 입추, 가을이 성큼성큼 다가온다는 절기다. 몽골 여행은 이맘때가 절정이다. 몽골 최고 명절 나담축제가 올해도 코로나19 때문에 열리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나담축제는
“이토록 넓은 세상에서, 이토록 많은 사람들 중에 나는 당신을 만났다. 그리고 나는 당신을 사랑하고 당신 또한 나를 사랑한다. 사랑하는 남녀의 인연이란 그래서 눈부시게 두렵고 아름다운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8월의 제철채소와 과일=오이 풋고추 옥수수 깻잎 감자 고구마순 복숭아 포도 수박/해산물=전복 성게 장어 전갱이/제철음식=열무오이물김치 전갱이조림 고구마순볶음/저장음식=오징어젓 대합젓 오이장아찌 풋고추부각 깻잎부각/이 때 갈무리해야 하는
“살아 있는 것은 아름답다./아무리 작은 것이라고 할지라도 살아 있는 것은/아름답다…바람도 없는 어느 한 여름날,/하늘을 가리우는 숲 그늘에 앉아보라…나무들의 깊은 숨소리…무수한 초록잎들이 쉬지 않고 소곤거리는 소리…”-양성우
“계절의 속살거리는 신비로움…절정을 향해 치닫는 계절의 소명 앞에/그 미세한 숨결 앞에 눈물로 떨리는 영혼//바람, 공기, 그리고 사랑, 사랑…그것들은/때때로 묵시적인/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를 부른다/나는 그것들에게 안부를
[아시아엔=장지룡 몽골여행홀리데이스 대표] 지난 1년 반,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사람들과 거리두기 하며 핸드폰만 보며 살아온 듯합니다. 이젠 그립지 않나요? 풀냄새, 사람냄새, 뭐 그런 것···. 그리고 따뜻한
[아시아엔=정명호 본명상 원장, 저자] 1. 아침에 눈을 뜨는 순간 무겁고 일어나기 싫다면 에고(ego)의 익숙한 습성의 패턴 속에 빠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려야 합니다. 자유롭고 싶다면 에고의
[아시아엔=김인철 미술평론가]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와 우리나라의 인연은 어떤 것이 있을까? 우선 조선시대로 돌아가면 당시 이 나라에 가장 먼저 발을 밟았던 서양인들로 네덜란드인들을 들
“경계를 넘어 공감의 시대를 꿈꾸는 시간” [아시아엔=편집국] 남북한 주민이 함께 이루는 공감 사진전이 27일(일)까지 갤러리 류가헌(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06)에서 열린다. ‘우리가 우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이라는 주제로
“..얼음이 맑고 반짝이는 것은/그 아래 작고 여린 것들이 푸른빛을 잃지 않고/봄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박남준 ‘따뜻한 얼음’ 2월 17일 오늘은 첫잔나비날(상신일) 첫잔나비날에는 아주 엄격하게 언행을 삼감
한국사용자경험융합기술협회 주관·에스앤씨랩 조사 [아시아엔=편집국] “전자정부 웹사이트 품질관리 지침 기반 평가, 호환성, 접근성, 개방성, 접속성, 신뢰성 등 부문에서 100점 만점에 평균 70점대.” 한국사용자경험융합기술협회(협회장 김진수)가 웹 접근성
[아시아엔=펨바 셰르파 <아시아엔> 네팔통신원] 네팔의 티베트불교의 갸브제 츠키 초클링 밍규르 듀이 도르제(초클링 린포체) 스님이 2020년 12월 18일 오전 머물던 싱가포르에서 열반에 들었다. 68세로 입적한 그의
“’벌써’라는 말이/2월처럼 잘 어울리는 달은 아마/없을 것이다./새해맞이가 엊그제 같은데/벌써 2월,/지나치지 말고 오늘은/뜰의 매화가지를 살펴보아라./항상 비어있던 그 자리에/어느덧 벙글고 있는/꽃,…외출하려다 말고 돌아와/문득/털외투를 벗는 2월…”-오세영 ‘2월’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