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1일]인도, 카슈미르 점령해 파키스탄과 3차 전쟁 개시

?1988, 세계에이즈의 날 제정

영국에서 열린 세계보건장관회의에서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이 제정된 후, 매년 12월1일은 에이즈의 세계적 확산 위험을 인식시키는 날이 되었다. 에이즈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기 위해 이날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 등은 다양한 행사를 마련한다. UNAIDS에서는 에이즈운동의 상징물로 붉은색 리본을 사용하는데, 이는 에이즈가 혈액의 교환에 의한 질병임을 알리는 것과 동시에 사랑과 정열을 의미한다.

?

 

?1980, KBS?2TV 개국 및?1TV 컬러텔레비전 방송 시작

제5공화국 정부의 언론통폐합 조치에 따라 1963년부터 존속했던 동양방송의 텔레비전방송이 한국방송공사에 강제로 흡수되어 KBS 제2TV가 이날 개국했다. 또 이날은 국영방송 KBS가 컬러텔레비전 방송 시대의 막을 연 날이기도 하다.

1971년 인도군 카슈미르 점령, 보름 뒤 방글라데시 독립

1971년 12월1일 인도군이 카슈미르를 점령했다. 이틀 뒤인 12월3일 파키스탄 공군이 인도 서북부의 비행장들을 선제 공습하면서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일어납니다.

1947년 영국의 식민지 통치로부터 독립한 인도는 종교 갈등 끝에 힌두교도의 인도, 이슬람교도의 서파키스탄과 동파키스탄으로 분리됐다.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은 이미 1947년과 1965년 두 차례에 걸쳐 전쟁을 치렀다.

인도와 파키스탄 갈등의 근본적인 씨앗은 카슈미르 문제였지만, 3차 전쟁의 원인은 동파키스탄(방글라데시)의 독립 문제였다.

서파키스탄과 동파키스탄은 인도를 사이에 두고 1600Km나 떨어져 있었다. 인종적, 문화적으로도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었고, 서파키스탄보다 동파키스탄이 경제적으로 낙후돼 있었다. 동파키스탄의 인구는 파키스탄 전체 인구의 56%에 이르지만 주요 공직은 서파키스탄 출신들이 장악하고 있어 권력에서 배제된 동파키스탄 출신 인사들의 불만이 점차 고조되고 있었다.

1970년 3월 실시된 파키스탄 총선거에서 동파키스탄인의 권리와 이익을 대변하는 ‘아와미연맹(Awami League, AL)’이 압승을 거뒀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선거 무효를 선언, 아와미 연맹의 당수 ‘무지브(Mujib)’를 체포하고 연맹 활동을 금지시켰다.

이런 와중에 같은 해 11월 파키스탄 지방을 휩쓴 대홍수로 20만 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그런데 파키스탄 정부는 피해수습에 미온적인 모습을 보였고, 동파키스탄의 독립을 주장하는 세력들의 분노에 기름을 부었다. 시위와 납세 거부 운동이 동파키스탄을 휩쓸었다.

이듬해인 1971년 3월26일 파키스탄 정부군의 유혈 진압에 맞서 벵갈(동파키스탄) 분리주의자들은 ‘방글라데시 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하고 무장 투쟁에 나섰다. 파키스탄군과 벵갈 무장 세력들 간에 전투가 격화되면서 1000만 명의 벵갈인들이 인접 인도의 아삼주(州)나 서벵갈 지역으로 피난을 떠났다.

전투는 다카와 치타공, 콤밀라, 제소레 등 동파키스탄 전국으로 번져갔고, 12월까지 희생된 벵갈인들의 수는 무려 100만 명에 이르렀다. 이 와중에 12월1일 동파키스탄 난민 보호를 명분으로 인도 정부가 카슈미르를 점령, 분쟁에 개입할 뜻을 분명히 하자 이틀 뒤인 12월3일 파키스탄군이 인도 서부에 대한 공습을 감행한 것이다.

파키스탄의 선제공습은 그러나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인도 공군이 곧 제공권을 되찾았고, ‘자이살메르’를 공격하기 위한 파키스탄 육군의 진격도 무위로 돌아갔다. 파키스탄군은 수세에 몰렸다. 서부와 동부 양 전선에서 전투를 수행한 인도군은 곧 벵갈 지역의 파키스탄군을 고립 시킬 수 있었고, 1971년 12월16일 파키스탄 군대는 항복하고 벵갈인들의 국가라는 뜻의 ‘방글라데시’가 탄생합니다. 인도군이 카슈미르를 점령한 지 꼭 보름 만에 얻은 승리였다.

1943, 카이로선언 발표

1943년 11월22일부터 미국 영국 중국 3개 연합국의 5일간에 걸친 회담 결과가 이날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에서 발표됐다. 회담에는 미국 대통령 루즈벨트,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 중화민국 총통 장제스가 대표로 참가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발발 후 처음 일본의 침략에 대한 전략을 토의했다. 카이로선언은 연합국이 승전하더라도 영토를 확장하지 않으며, 제1차 세계대전 후 일본이 탈취·점령한 영토를 반환할 것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 이 선언을 통해 한국을 자유독립국가로 승인할 것을 결의해 국제적으로 한국의 독립을 보장받았다.

최선화 수습기자 sun@theasian.asia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