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기규제 강화”와 안중근 의사···美 트위터 등 145개 대기업 CEO 상원에 촉구 서한

안중근 의사(오른쪽)의 이토 저격 순간

[아시아엔=편집국] 리바이스와 갭, 트위터, 우버 등 미국의 145개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미 상원에 총기 규제 강화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뉴욕타임스(NYT)와 CNBC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에서 총기규제 강화 여론이 강해지는 가운데 기업도 가세한 것이다.

이 서한에는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앤비, 이미지 공유 앱 핀터레스트, 차량호출 기업 리프트, 채식업체 비욘드미트, 크루즈업체 로열캐리비언 등의 CEO도 동참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의 형제인 조슈아 쿠슈너가 설립한 스라이브 캐피털과 유타주 상원의원 밋 롬니가 공동 설립한 사모펀드업체 베인 캐피털도 참여했다.

미 하원 총기폭력 방지 태스크포스 포럼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에서 열렸다.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NYT는 “워싱턴(정치인)의 눈살을 찌푸리게 할 수도 있다”고 평했다.

CEO들은 최근 증오나 인종차별주의 등과 연관된 무차별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총기 구매 때 하는 신원조회 범위를 모든 총기류로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미국의 총기폭력 위기에 대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정말로 수용할 수 없는 일이며, 이제 미국 대중과 함께 총기안전을 주장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서한은 특히 공화당이 주도하는 상원이 민주당이 다수당인 하원에 이미 제출된 법안을 제정하도록 촉구했다.

이들은 또 “미국에서 총기폭력은 불가피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방지할 수 있다”며 “우리는 의원들이 이런 비극을 막을 수 있는 상식적인 총기법안을 지지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CEO들은 또 더 강력한 ‘붉은깃발법'(적기법·red flag laws) 시행도 요구했다. 이 법은 경찰이나 가족이 법원에 청원을 제기해 폭력 위험성이 있는 사람들이 잠정적으로 총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제도다.

NYT는 “이번 서한은 미국에서 가장 분열을 낳는 쟁점 중 하나인 총기 논쟁에 참여하려는 기업인들의 결연한 노력”이라고 평가했다.

리바이스의 칩 버그 CEO는 “총기 금지 이슈가 얼마나 정치적으로 격앙돼 있는지를 고려하면 참여 CEO들은 어느 정도 자신들의 사업을 위태롭게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버그 CEO는 최근 며칠간 총기 옹호론자를 포함한 동료 CEO들이 동참하도록 설득을 벌여왔다고 NYT는 전했다.

그는 “CEO들은 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일에 대해 행동을 취하려고 신경 쓰고 있는데 총기폭력은 이제 모두의 사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페이스북과 구글은 서한 참여를 내부적으로 토론했으나 최근 진행되는 반(反)독점 조사 등을 감안해 동참하지 않았다.

NYT는 “(트럼프가 취임한) 최근 3년에 걸쳐 기업들은 이민이나 기후변화, 인종 등의 사회적 쟁점에 10년 전이라면 이해할 수 없었을 방식으로 점점 관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30분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 의사는 상당한 명사수로 꼽혔다. 해주에서 태어난 안중근 의사는 들짐승과 날짐승 사냥에 일찌감치 눈을 떴다.

당시 엽총을 몸에 지니며 사격술을 익혔다. 이토 히로부미의 하얼빈 방문 소식을 접한 그는 권총을 몸에 지닌 채 전날 밤 하얼빈 역사에서 밤새워 이토 히로부미 도착을 기다렸다.

권총은 총신이 짧아 명중률이 매우 낮지만, 사격훈련을 맹렬히 해온 안 의사에겐 별 문제가 되지 않았다. 안 의사는 거사 당시 모두 6발을 쐈는데, 3발이 이토에게 명중했다. 안 의사는 자신이 명중시킨 사람이 이토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에 3발을 더 쏴 하얼빈 총영사 가와카미, 궁내대신 비서관 모리, 만주철도 이사 다나카 등에게 중경상을 입혔다. 안 의사는 ‘대한만세’를 외치고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미국의 총기규제는 무분별한 총기사용에서 무고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미국에서도 안중근 의사처럼 총기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았다면 145개에 이르는 유수 기업 최고경영자들이 총기규제 강화를 촉구하는 단체행동에 나서지 않아도 됐을 것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