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 특집⑦] 북한교회서도 요원의 불길로···해주·개성·함흥·평양·선천 등

일제에 의한 제암리 학살 피해현장

[아시아엔=김광동 나라정책연구원장, 방송문화진흥회 전 이사] 1885년 이후 약 25년이 지난 1910년 전후로 기독교계통의 교육기관만 하더라도 장로교 501개, 감리교 158개 등 전국적으로 683개가 운영되고, 천주교 설립학교까지 합하면 807개가 운영되었다는 것은 근대교육의 주축에 기독교가 있었다는 것을 말한다. 그런 예로, 3.1운동의 상징적 사건으로 선교사가 만든 영명학교를 졸업하고 이화학당을 다녔던 유관순(柳寬順)의 활동이나, 가장 커다란 집단희생의 상징인 평북 의주의 사천교회와 경기 화성 제암리교회의 학살사건 등 수없는 교회의 피해는 바로 3.1운동이 기독교적 민족민주운동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국적으로 펼쳐진 3.1운동은 기독교와 교회라는 전국 조직망을 떠나서는 설명될 수 없다. 3.1운동이 발생한 대표 지역은 기독교가 영향을 미치는 지역과 거의 대부분 정확하게 일치한다. 1919년 3월 1일의 서울에서 이승훈, 신석구, 신홍식 등 기독교 인사가 중심이 된 독립선언서에서부터, 3월 2일부터 4월 말까지 본격적으로 펼쳐졌던 강서, 해주, 개성, 함흥, 황주, 평양, 선천 등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의 교회 중심 독립운동이 그것이다.

당시 20만명의 기독교는 인구 2% 전후였지만 3.1운동 전 과정을 주도했다. 2만명에 달했던 체포자 중 교역자 244명을 포함해 전체 체포자의 17~25%가 기독교도였다는 점이 의미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1919년 3.1운동이나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주도세력이 모두 기독교적 기반을 갖는다는 것은 기독교가 한편으론 서유럽의 변화를 이끌며 중세 암흑시대를 깬 저항자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에서도 반봉건 투쟁과 근대민주주의를 형성시켜내는 동력이자 원천이었음을 말해 준다.

당시 기독교와 교회는 사상적 측면을 넘어 구체적 생활과 경험을 통해 민주주의를 구현해내고 있었다. 교회의 성립과 운영은 주어진 위계적 권위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을 함께하는 사람들 간에 협의를 거쳐 함께할 공동체질서를 만들어 운영한다는 측면에서 민주적 운영원리와 동일한 것이었다.

 

1934년 52만 기독교 분포를 보여주는 지도. 1919년 전후 한국 기독교가 평북, 평남, 평양 중심으로 전개된 것을 잘 보여준다

교회(敎會)를 운영하는 것과 노회(老會)를 운영하는 것은 그 자체가 민주적 원리를 만들고 경험하는 것이었다. 타 종교와 달리 개신교는 신앙생활을 함께 할 신앙인들이 재산을 기부하여 교회를 만들고, 목회를 이끌 지도자를 모셔오거나 선출하고, 의회격인 장로회를 조직운영하는 것도 그렇다. 또 목회자에 대한 평가를 거쳐 계약을 연장하거나 교체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근대민주주의 그 자체였다. 그런 운영경험이 곧 정치적 민주주의의 기반이기도 했다.

그런 결과로 지금도 전 세계 대부분 국가를 분석해보면 기독교적 기반, 특히 프로테스탄트적 기반을 가진 나라들이 높은 수준의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다. 서유럽 몇몇 국가들을 제외한다면 개신교 비중이 30% 전후로 가장 높은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라는 점은 한국민주주의의 예외적 성격이 동일한 맥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00년 전의 3.1운동과 그 연장의 1948년 대한민국 건국에 기독교인이 중심이 되었던 이유는 바로 한국 기독교와 교회가 독립운동을 넘어 자체적으로 자유와 민주주의를 확립시켜 가는 중심체였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의 기독교는 일본의 차별과 지배에 대한 저항을 넘어 근대적 개인의 독립과 인격 존중은 물론이고 신분구조의 타파와 직업 차별의 극복과 여성평등 등 봉건해체를 주도하고 민주주의 경험을 확산시켜내며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예외적 성공을 만들어낼 수 있게 만든 기반이었다.(계속)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