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는 ‘피골상접’ 기업은 ‘피둥피둥’

국내 총저축에서 가계와 비영리단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22%를 조금 넘겨 기업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 초중반만 해도 가계·비영리단체의 저축 비중이 기업을 앞질렀지만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역전되고서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28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저축액은 89조원으로 전체(397조3천억원)의 22.4%를 차지했다.

법인기업(금융 제외)의 저축액은 281조1천억원으로 총저축액의 70.7%에 육박했다. 금융기관(27조2천억원)의 비중은 6.9%였다.

가계·비영리단체 저축 비중은 1991년 62.3%로 비금융 기업(33.2%)을 크게 앞섰다.

1990년대 내내 50∼60%를 차지한 가계저축 비중은 그러나 1998년(67.1%)을 정점으로 저하되기 시작했다.

가계 저축 비중은 1999년 51.2%로 하락한 후 2000년(40.2%) 처음으로 기업(50.0%)에 역전을 허용했다.

가계와 비영리단체 저축 비중은 2002년 16.0%까지 주저앉았고 이후에도 20∼30%대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 기업이 총저축에서 차지한 비중은 2000년 50%대에 오른 이후 50%대 후반과 60%대에서 오르내렸다.

총저축에서 가계와 기업이 차지하는 위치가 뒤바뀐 것은 금융위기 이후 가계의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카드 사용이 확대되고 부동산 투자 열풍이 더해져 가계 수익성을 더욱 악화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가계가 수익성 악화에 허덕이는 사이 기업들은 재무구조 개선과 해외사업 개척 등으로 이익을 만들어냈다.

이 때문에 기업부문에 비해 과도하게 위축된 가계 부문의 활력을 되살리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다만 총저축에서 기업 쏠림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가운데 새 경제팀이 내놓은 경제활성화 대책이 효과를 발휘할 경우 기업과 가계 사이의 저축률 격차가 좁혀질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