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아시아라운드업 4/8] 인도 때이른 ‘폭염’···45℃ 고온에 66명 열사병 사망·홍콩 ‘우산혁명’ 주역, 10일 ‘데모시스토’ 창당

[아시아엔=편집국] 1. 아웅산 수치 “정치범 즉각 석방”···첫 공식성명
– 미얀마의 최고 실권자가 된 ‘민주화 영웅’ 아웅산 수치가 군부정권 시절 투옥됐던 정치범 전원을 석방하겠고 밝힘.
– 수치는 7일(현지시간) 낸 성명에서 “정치범과 정치활동가, 정치문제와 관련해 법의 심판을 앞둔 학생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위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함.
– 이날 성명은 국가 자문역이자 외무장관으로서 국정에 폭넓게 관여하는 수치의 첫 공식 성명임.
– 성명은 이르면 미얀마의 새해 축제인 ‘띤잔’이 시작되는 다음 주부터 정치범 석방이 시작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구체적인 일정은 밝히지 않음.
– 정치범 문제는 지난 반세기 동안 미얀마를 통치해온 군부가 안고 있던 취약점이었으며, 서방은 이를 빌미로 미얀마를 국제사회에서 고립시킴.
– 다만, 2011년 출범해 ‘민주화 가교’ 역할을 한 테인 세인 전 대통령 정부가 수시로 정치범들을 석방해 현재 남아있는 정치범은 100명 안팎, 정치문제로 투옥된 인사는 400여명인 것으로 알려짐.

2. 방글라데시서 이슬람 극단주의 비판 대학원생 피살
– 7일 현지 일간 <다카트리뷴>에 따르면 수도 다카의 자간나트 대학 법학대학원을 다니던 나지무딘 사마드(28)가 전날 오후 8시30분께 귀가하던 중 괴한의 흉기에 살해됨.
– 목격자들은 오토바이를 탄 3명의 괴한이 사마드에게 마체테(날이 넓은 긴 칼)를 휘둘렀으며 그가 쓰러지자 총을 쐈다고 말함.
– 사마드의 친구들은 “그가 평소 극단 이슬람주의를 반대하고 세속주의를 지지했으며 불공정에 반대하는 글을 페이스북 등에 자주 올렸다”고 말함.
– 방글라데시에서는 이슬람 극단주의를 비판하고 여성 및 소수자의 권리를 옹호한 세속주의·자유주의 성향의 블로거와 이들의 책을 출판한 출판업자 등이 지난해에만 5명 피살됨.

3. “말레이 총리 비자금 연루 국영기업 총체적 부실···빚만 15조원”
–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의 비자금 창구 의혹을 받는 말레이시아 국영투자기업 1MDB가 총체적 경영·감독 부실로 15조 원 가까운 빚더미에 앉은 것으로 지적됨.
– 말레이시아 의회의 공공회계위원회(PAC)는 “7일 1MDB의 부채가 2009년 설립 당시 50억 링깃(1조4천738억 원)에서 올해 초 500억 링깃(14조7천380억 원)으로 10배 늘어났다”고 밝힘.
– 현지 언론에 따르면 PAC는 1MDB가 2014년 4월∼2015년 3월 이자 지급에만 33억 링깃(9천727억 원)을 썼으며 만기가 돌아오는 빚을 갚기 위해 새로운 빚을 내는 악순환을 거듭했다고 밝힘.

4. 인도에 벌써 ‘폭염’···45℃ 고온에 66명 열사병 사망
– 인도에서 예년보다 이르게 찾아온 폭염으로 열사병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음.
– 남부 텔랑가나 주 정부는 “최근 며칠째 계속된 더위탓에 주 내 마하부브나가르 지역에서만 28명이 숨지는 등 지금까지 66명이 열사병으로 사망했다”고 밝힘.
– 주 정부는 사망자 대부분이 야외에서 일하는 농부와 일용직 노동자라고 설명함.
– 텔랑가나 주에서는 6일 날곤다 지역의 낮 최고 기온이 45℃를 기록하는 등 며칠째 40℃가 넘는 고온이 계속되고 있음. 또 수도 뉴델리도 3일 기온이 43℃까지 오름.

5. 홍콩 ‘우산혁명’ 주역, 10일 ‘데모시스토’ 창당
– 홍콩의 민주화 시위 ‘우산혁명’을 주도했던 조슈아 웡 전 학민사조 위원장이 이달 10일 정당 ‘데모시스토(Demosisto·香港衆志)’를 창당한다고 현지 언론이 7일 보도함.
– 테모시스토는 ‘국민’을 뜻하는 그리스어 ‘데모(demo)’와 ‘서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시스토(sisto)’의 합성어임.
– 데모시스토는 오는 9월 입법의원(국회의원 격) 선거에서 홍콩 섬과 까우룽 이스트지역에 후보를 낼 예정임.
– 또, 홍콩 주권반환 50주년인 2047년에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를 바꿀 지와 자결을 쟁취할지 등에 대한 국민투표를 시행한다는 계획을 하고 있음.

6. 북한 ‘외화벌이’ 해외식당 잇단 폐업···관광객 ‘뚝’
– 북한이 외화벌이를 위해 해외에서 운영하는 식당들이 대북 제재의 직격탄을 맞고 있음.
–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 이후 우리 정부의 북한 식당 이용 자제 권고와 현지 한인회의 불매운동으로 경영난에 처하며 문을 닫는 곳이 속출하고 있는 것.
– 김현식 캄보디아 한인회장은 7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 있는 북한 식당 6개 가운데 3개가 영업을 중단했다”고 밝힘.
– 김 회장은 “북한 식당 손님의 80∼90%가 한국인 관광객인데 북한의 핵실험 이후 북한 식당을 이용하지 말자는 포스터를 붙이며 불매 운동을 벌였다”면서 “여행사들에도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함.
– 프놈펜에 있는 나머지 북한 식당 3개 가운데 2곳은 현지인이나 중국인 관광객이 일부 찾고 있지만 손님이 예전보다 급감했고 나머지 1곳은 폐업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짐.

편집국

The AsiaN 편집국입니다.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