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혁명 2년③] “우리는 하야세대”···경쾌한 반항아가 걸어오다 ·

2016년 10월 29일~2017년 4월 29일 23차에 걸쳐 연인원 16,853,2000명이 참여해 민주주의를 되찾은 촛불혁명. 박노해 시인은 2016년 11월 26일 첫눈 속 5차 촛불집회의 날 ‘이게 나라다’ 시를 썼습니다.

눈에 띄지도 않게 작은 나는

백만 촛볼 중의 하나가 아니라

백만 촛불의 함성과 한몸이 된

크나큰 빛이 되어 나 여기 서있다

그후 2년, 비정규직 24살 김용균씨가 태안화력발전소에서 한마디 유언도 남기지 못한 채 스러져갔습니다. 밥 먹을 시간이 모자라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다 떠난 김씨는 또다시 시민들로 하여금 촛불을 켜게 합니다. 눈을 바깥으로 잠시 돌려보면, 프랑스 노란조끼 시위를 비롯해 유럽 여러 나라의 시민저항을 봅니다. “위기에 처한 세계의 민주주의에 영감과 용기를 주는 촛불혁명”이란 구절이 있습니다. 세계사에 유례없는 평화혁명을 이뤄낸 한국의 촛불혁명은 세계시민들에게 권력은 누구에게 있는지 웅변해주었습니다.

박노해는 같은 시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나라를 구출하자

정의를 지켜내자

공정을 쟁취하자

희망을 살려내자

<아시아엔>은 ‘촛불혁명 2년’을 맞아 당시 현장을 가장 정확하게 되살려낸 <촛불혁명-2016 겨울 그리고 2017 봄, 빛으로 쓴 역사>(저자 김예슬·사진 김재현 외·감수 박노해, 느린걸음)를 저자 등과 협의해 연재합니다.<편집자>

[아시아엔=글 김예슬 나눔문화 사무처장, 감수 박노해 시인] 마침내 아이들과 청년들이 일어났다. 정유라의 부정입학과 교수들의 학사비리를 폭로한 이화여대 학생들을 시작으로 각 대학과 중고생들의 선언 및 집회가 줄을 이었다. 특히 10대들은 전국에서 SNS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11월 5일부터 독자집회를 개최할 정도로 많은 수가 참여했는데, 12일에는 3천여 명의 청소년이 모여 집회와 행진을 벌였고, 19일에는 전국에서 수능을 마친 수험생들이 기다렸다는 듯이 촛불을 들고 나섰으며, 국정 역사교과서 공개를 앞둔 26일에는 1천여 명의 학생이 항의집회를 개최했다.

그동안 ‘정치 무관심층’으로 여겨지던 10대 20대가 어떻게 촛불혁명의 한 주역이 되었을까? 언제나 모순과 고통이 집약된 곳에서 저항이 솟구치는 법. 이들은 세월호 참사로 또래 친구들이 어이없이 죽어가는 것을 지켜봐야 했고, 국정 역사교과서로 보수 정권의 역사관을 강요받아야 했으며, 정유라의 부정입학을 보며 출발부터 봉쇄된 자신의 미래에 좌절을 느껴야 했다. 그것은 배반의 연속이었다. 이렇게 쌓일 대로 쌓인 분노에 정유라가 던진 한 점의 불씨, “돈도 실력이야, 니네 부모를 원망해”. 더욱이 민주주의의 공기 속에 나고 자란 아이들에게 비선인지 주술인지 독재인지 왕정인지 모를 현실이라니. 자신들의 부모가 목숨 걸고 이뤄낸 민주주의가 한순간에 부정당하는 것을 본 아이들은 정치적 주체로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짱돌 대신 스마트폰을 쥐고 대자보 대신 SNS로 집회 소식을 나누고 “지지율도 실력이야”, “경축 박근혜 20대 지지율 0%” 같은 재치있는 피켓을 들고, 헌법 제1조 노래부터 아이돌 가수의 노래를 넘나들며 거침없이 하야를 외치는 반항아들. “학생이 무슨 정치, 공부나 해라”는 훈계에 이들은 말했다. “3.1운동,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항쟁 때도 학생들이 앞장섰잖아요”. 나아가 ‘18세 선거권’을 요구하며 당당히 말한다. “우리는 미래가 아니라 현재”라고. 자신들을 ‘미래의 주역’이라며 ‘오늘의 현실’에서 배제하려는 의도를 뚫어보는 것이다. 지금 여기서 생생히 살아있고 자신의 말을 세상에 외치는 그 현재가 곧 미래임을 알고 있는 것이다.

87년 이후 30년 만에 탄생한 ‘혁명 세대’야말로 촛불혁명의 가장 빛나는 성취가 아닐까. 이 낡은 지배체제보다 훨씬 커져버린, 이 후진 권력자들보다 한참 앞서버린 경쾌한 반항아가 걸어오고 있다. 새로운 감성과 지성을 지닌 새로운 세대의 다음 혁명이 이미 촛불혁명 안에서 걸어오고 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