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공조
-
사회
[개성공단 전면중단 1년④] 개성공단 폐쇄는 ‘남북경협 블랙리스트’
[아시아엔=편집국] 10일로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중단된 지 만 1년이 된다. <아시아엔>은 현대경제연구원 발표자료를 통해 그후 1년을 살펴본다. 이해정, 이용화 연구위원께 감사드린다.(편집자) < 북한의 대외 교역액과 대중 의존도 > ? ? ? ? ? ? ? ? ?< 남한 및 북한의 1인당 명목 GDP > 자료 : KOTRA, KITA 통계로 현경연 재구성.…
더 읽기 » -
사회
[개성공단 전면중단 1년③] 남북경협 주요일지
[아시아엔=편집국] 10일로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중단된 지 만 1년이 된다. <아시아엔>은 현대경제연구원 발표자료를 통해 그후 1년을 살펴본다. 이해정, 이용화 연구위원께 감사드린다.(편집자) < 정권별 남북 회담 개최 횟수 > ? ? ? ? ? ? < 남북관계에 따른 이벤트 지수 변화 > 자료 :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자료 : 현대경제연구원 한반도 평화지수. ②…
더 읽기 » -
동아시아
[개성공단 전면중단 1년②] 남북 5만5000명 인력 생산활동 조속 재개를
[아시아엔=편집국] 10일로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중단된지 ?만 1년이 된다. <아시아엔>은 현대경제연구원 발표자료를 통해 그후 1년을 살펴본다. 이해정, 이용화 연구위원께 감사드린다.(편집자) 1. 현황 개성공단 사업은 지난 16년 동안 양적?질적 성장을 보였으나, 현재 북한 핵실험에 따른 대북 제재로 가동 전면 중단 1년을 맞음.?개성공단은 2000년 개성공단 개발 합의서 채택 이후, 55,000여 명의 남북한 인력이…
더 읽기 » -
사회
[개성공단 전면중단 1년①] 평화우선·정경분리·민관공조로 ‘남북경협’ 지속을
[아시아엔=편집국] 10일로 개성공단 가동 중단 1년이 된다. 그후 남북관계는 어떻게 변하고 있으며 과제는 무엇인가? <아시아엔>은 현대경제연구원의 발표를 독자들께 소개한다. 이해정, 이용화 연구위원께 감사드린다. (편집자) ?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1년 개성공단은 2000년 ‘개성공업지구 개발에 관한 합의서’ 체결과 2002년 북한의 개성공업지구 지정을 계기로 사업이 본격화되었다. 2015년 1~11월 개성공단 누적 생산액은 5.2억…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