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혜미

칼럼니스트, '해외에서 보물찾기' 저자, (전) 싱가포르 정보통신부 기자협회 회원
  • [채혜미의 글로벌 교육칼럼] 진정한 ‘팀웍’이란

    얼마 전 한국화 화가 한 분을 싱가포르 한국국제학교에서 미술수업을 하도록 주선한 적이 있다. 한국화에 대한 강의에 이어 화가가 스케치한 커다란 산수화를 학생수만큼 여러 조각으로 나눠 각자 취향대로 색을 칠하게 한 다음 그 조각을 다시 이어서 한 장의 산수화를 완성하는 작업이었다. 협동화 작업을 하면서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색을 마음껏 칠하며 즐거워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싱가포르 ‘르네상스 시티 프로젝트’…문화산실 짓는다

    개방정책·첨단경영이 피워낸 문화예술의 꽃 얼마 전 싱가포르 무용극단이 에스플러네이드(Esplanade) 극장에서 공연한 ‘매스터피스 인 모션’ 무용극을 관람했다. 3막으로 구성된 공연은 고전발레와 현대무용, 아시아 민속무용을 현대화한 새로운 시도가 어우러진 다문화 콘셉트였다. 싱가포르의 예술공연들은 대부분 이처럼 기획·공연·관객이 다문화적이다. 예컨대 안무는 러시아인, 예술감독은 유럽인, 무용단원은 한국(이 공연의 경우 로사 박 수석무용수) 중국 싱가포르 홍콩…

    더 읽기 »
  • ‘튜터’와 ‘퍼실리테이터’의 차이

    10여 년 전 뉴질랜드에 살 때 자원봉사를 한 인연으로 시티 카운슬(City Council) 산하 장애자 재활기관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할 기획을 얻었다. 이 복지기관은 지적, 정서적, 사회적응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이었다. 나는 이곳에서 정서 장애자를 위한 미술프로그램을 맡아 지도하게 되었다. 나는 당연히 교사, 즉 ‘튜터(Tutor)’로 일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그…

    더 읽기 »
  • ‘드레스 코드’와 ‘에티켓 코드’

    가끔 외국 사람들이 초대하는 파티나 모임의 초청 받는 경우가 있다. 초청장에 드레스 코드(Dress Code)라는 항목을 종종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초청 받은 사람이 행사의 분위기와 격에 맞는 적절한 옷차림을 할 수 있도록 미리 정보를 주는 합리적인 방법이다. 예를 들어 정장, 중간 정장, 중간 캐주얼, 캐주얼 혹은 특별한 테마에 따른 복장에…

    더 읽기 »
  • 동아시아

    싱가포르는 왜 한류에 열광하나

    아시아 문화적 뿌리 교감…‘나눔의 한류’로 성숙 필요 싱가포르를 방문한 한국인들이 가장 먼저 놀라는 것은 거리를 달리는 택시 대부분이 현대 소나타라는 사실이다. ‘메이드 인 코리아’ 택시를 타고 한국 건설회사가 지은 싱가포르의 랜드마크 마리나 샌즈(Marina Sands) 건물을 지날 때면 마음이 뿌듯해진다. 음식점이나 쇼핑몰에서 고객이 한국인임을 알아채면 자연스럽게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라고 인사를 건넨다. 그들에게…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