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단독] 주한미군 철수 계획 반대 싱글러브 장군 별세

싱글러브 소장

1977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주한미군 철수 계획에 반기를 들어 본국에 소환돼 강제 퇴역당한 존 싱글러브(100) 전 유엔사령부 참모장이 노환으로 미국 테네시 자택에서 29일 세상을 떠났다고 전인범 전 주한유엔사부사령관(육군대장)이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밝혔다.

싱글러브 장군은 중국 만주 지역 중앙정보국(CIA) 담당자를 거쳐 1949년 설치된 CIA 서울지부에서 중국 담당 책임자를 맡았다. 또 6·25전쟁에 참전, 53년 6월 김화지구 전투에서 대대장으로 활약했다.

그는 77년 5월 <워싱턴포스트> 인터뷰에서 “5년 이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겠다는 카터 대통령의 계획은 곧 전쟁의 길로 유도하는 오판”이라고 말한 뒤 백악관에 호출돼 지미 카터 당시 대통령 면담에서 “주한미군 철수계획은 2~3년 전의 낡은 정보에 근거해 취해진 것이다. 현재의 북한군은 그때보다 훨씬 강하다”고 주장했다. 당시 언론은 6·25전쟁 당시 해리 트루먼 대통령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반목을 비유하며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세월이 지난 뒤 한국 관계자가 “그때 가만히 있거나 ‘발언이 잘못 전달됐다’고 했으면 별 몇 개를 더 달 수 있었을 텐데….”라고 위로하자 “내 별 몇 개를 수백만명의 목숨과 바꿨다고 생각하면 이 세상에 그 이상 보람 있는 일이 어디 있겠는가”라 답했다고 전해진다.

카터 대통령의 주한미군 철수를 반대한 이유에 대해 그는 이렇게 밝힌 바 있다. “1949년 미군이 완전 철수한 뒤 북한이 1950년 전쟁을 일으켰던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 올 것이라 믿었다. 유엔사령부 소속으로 한국 방어를 책임지는 상황에서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말도 안 되는 소리였다. 그래서 난 카터 대통령이 그런 결정을 했다면 누군가는 그게 잘못된 것이란 걸 그에게 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워싱턴에 불려 들어가니 모두가 ‘잘못 인용됐다’고 말하라 하더라. 나는 ‘(언론 보도는) 내 말을 매우 정확히 인용한 것’이라고 카터 대통령에게 말했다. 난 공산주의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 줄 잘 알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주한미군 철수가 취소됐다.

존 싱글러브 소장

싱글러브 장군은 2016년 동맹의 의미와 중요성을 조명하고 미래 동맹의 발전을 위해 제정된 제4회 백선엽 한미동맹상을 수상했다.

싱글러브 장군의 유족으로 아내 조앤(88)이 있다.

편집국

The AsiaN 편집국입니다.

필자의 다른 기사

한 개의 의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