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아시아라운드업 12/9] 트럼프 ‘무슬림 미국 입국금지 발언’·국제유가, 내년 상반기 더 추락

[아시아엔=편집국]

1. 백악관 “무슬림 입국금지 발언 트럼프 대통령 자격없다”
– 2016 미국 대선 공화당 경선의 선두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모든 무슬림 미국 입국 금지” 발언을 해 논란이 일고 있음.
– 이에 미국 백악관은 8일(현지시간) 트럼프에 “트럼프의 선거운동이 쓰레기통에나 들어갈 저질”이라며 “다른 공화당 주자들은 트럼프가 만약 후보로 지명되더라도 이를 거부할 것을 당장 선언하라”고 강력 비판함.
– 백악관이 공화당 특정 후보를 겨냥해 대선 레이스에서 ‘퇴출’을 주장한 것은 처음임.

2. 中, 최악 스모그에 “경제발전 대가…미래 거울로 삼겠다”
– 중국정부는 8일 베이징 등지에 심각한 스모그가 발생한 것과 관련, 환경오염은 급격한 경제발전을 위해 치른 대가라며 이를 친환경 성장을 위한 본보기로 삼겠다는 뜻을 밝힘.
–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정부는 이제 과거를 거울로 삼아 생태문명 건설, 녹색·저탄소 성장,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길을 찾으려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기후변화 문제도 인류가 직면한 전 지구적 도전으로 여기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힘.

3. 日 방송국, 야스쿠니 폭발 한국인 용의자 집 찾아가 육성공개
– 야스쿠니신사 화장실 폭발음 사건 용의자로 지목되고 있는 27세 한국인 남성을 일본 현지언론이 취재, 전화통화 내용을 그대로 방송 보도함.
– 일본 뉴스채널 은 해당 용의자와 전화연결을 시도, 통화 내용을 공개함. 한국어로 이루어진 전화통화에서 이 남성은 사건이 발생한 시기에 일본에 있었다는 것은 인정함.
– 사건 당시 일본에 갔었느냐는 질문에 남성은 “가긴 갔었죠””라고 답하며, “그냥 구경하러 간 건데요. 애초에 도쿄 둘러 본다고 간 건데, 간 김에 보러 간 건데요”라고 발언.

4. 중국 초중고생 하루 3시간 숙제한다…한국 학생의 6배
– 중국 초·중·고생의 하루 평균 숙제시간은 3시간이며 이는 전 세계 평균의 2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중국 현지언론 <신경보>는 “중국 K12(초·중·고 기초교육단계 학습사이트) 사용자 2만명의 행위 빅데이터를 분석한 ‘전국 초·중·고생 학업 스트레스 조사’에 따르면, 하루 숙제시간이 2시간인 학생은 5천278명(26.4%), 3시간인 학생은 8천980명(44.9%), 4시간 이상 5천742명(28.7%)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함.
– 이는 프랑스 학생(하루 평균 1시간)의 3배, 일본 학생(평균 45분)의 4배, 한국 학생(평균 30분)의 6배에 해당하는 수치임.

5. IS, 노래로 중국 내 무슬림 테러선동
– ‘이슬람국가’(IS)가 중국 내 무슬림을 상대로 테러를 선동하는 중국어 노래를 공개해 IS의 중국 테러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
– IS는 지난 6일(현지시간) 선전용 웹사이트에 중국 표준어인 푸퉁화로 된 음악 파일 ‘우리는 무자히드(Mujahid·이슬람 성전 전사)’를 공개함.
– IS의 선전기구인 ‘알하야트 미디어센터’가 배포한 4분 6초짜리 노래는 지하드(성전) 참전을 부추기는 가사로 구성돼 있음.
– 테러감시단체 SITE는 “IS가 중국어 노래를 공개한 것은 IS가 중국으로 세력범위와 지지기반 확대를 모색 중인 본보기”라고 지적함.
– 한편 IS가 성탄절 기간에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테러공격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음.

6. 지난해 ‘기후난민’ 1천9백만명 이상
–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난민감시센터(IDMC)에 따르면, 2014년 지진, 홍수 등 자연재해로 집을 잃은 사람이 전 세계적으로 1천930만명에 이름.
– 이 가운데 90% 이상(약 1천7백만명)은 홍수, 가뭄과 같은 기상 현상과 관련이 있음. 이 같은 기후재난을 겪은 인구가 더욱 늘어나고 있는 것.
– 하지만 기후재난을?피해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사람들에겐 실질적 ?‘난민’ 지위가 부여되지 않음. 또한 유엔난민기구(UNHCR)의 도움도 받을 수 없으며, 언제든 본국으로 돌려보내질 수 있음.

7. 필리핀 대선판도 ‘안갯속’…후보자격·여론조사 공정성 ‘시비’
– 필리핀 대선정국이 초반부터 공정성 시비로 얼룩.
– 여론조사업체 SWS가 11월 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로드리고 두테르테 다바오시 시장이 지지율 38%로 1위를 기록했다는 결과가 지난 6일 공개됨. 한편 유일한 여성후보인 그레이스 포 상원의원은 2위(21%)로 밀림.
– 그러나 이번 여론조사가 다바오 시에 있는 한 사업가의 의뢰로 실시됐고, 질문도 두테르테 시장이 대선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는 점을 명시해 지지 후보를 고르도록 해 공정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음.
– 최근까지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렸던 포 의원은 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 1일 자신의 후보 자격을 박탈한 데 대해 재심을 요청하고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힘. 선관위는 한때 미국에 살았던 포 의원이 ‘자국 내 10년 거주’라는 후보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지적했으나, 포 의원은 기록상의 오류라며 자신의 출마를 막으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음.
– 포 의원은 아기 때 교회에 버려져 유명 영화배우이자 2004년 대선에 출마했다가 고배를 마신 고(故) 페르난도 포에게 입양됨. 양모의 동생인 여배우 로즈메리 소노라가 포 의원의 생모로, 마르코스 전 대통령과의 불륜으로 포 의원을 낳았다는 루머가 끊이지 않고 있음.

8. “키르기스서 극단주의 범죄 여성 가담률 급증”
– 중앙아시아의 키르기스스탄에서 극단주의 범죄에 가담하는 여성이 크게 늘어나고 있음.
– 키르기스 당국은 “극단주의 범죄의 여성 가담률이 2005년 1.1%에서 현재 25%까지 늘었다”며 “여성 테러용의자는 남성 용의자보다 적발이 어렵다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밝힘.

9. 국제유가, 역대 고점대비 74%↓…내년 상반기 더 추락
– 국제 유가가 내년 1~2분기에 연이은 악재로 더 하락할 것으로 보임.
–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유가가 배럴당 20달러대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 골드만삭스는 내년 유가가 배럴당 20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고, 씨티도 올해 초부터 배럴당 20달러 전망을 점친 바 있음.
– 석유 생산국들이 내년 6월에 예정된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의를 앞두고 공조할 가능성이 작은 데다 내년 초 이란의 원유 수출이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돼 공급 과잉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
– 역대 세 번째로 강한 엘니뇨 예보에 따른 겨울 재고 증가, 미국의 금리 인상 개시에 따른 달러 강세, 중국의 수요 둔화 지속 등도 내년 상반기 유가를 짓누를 것으로 예상됨.

편집국

The AsiaN 편집국입니다.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