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추! 이 기사] 지자체의 ‘실버 일자리’ 창출 더욱 많아지기를
의료 기술의 혁명적 발전으로 노인들의 수명은 놀랄 만큼 연장됐지만 이에 상응하여 노년을 보낼 수 있는 경제적 준비는 개인 차원에서도, 국가 차원에서도 너무 부족하다.
작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여성의 상대적 빈곤율(평균 소득의 50% 미만)은 47.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0개국의 평균 15.2%보다 3배 이상 높고, 65세 이상 남성의 상대적 빈곤율은 41.8%로 OECD 평균 11.1%보다 4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곧 우리나라 노인의 절반 정도가 빈곤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그 이유는 노후준비 부족과 일자리 부족, 그리고 연금을 받지 못하거나 받는 연금 액수가 적기 때문이다.
한겨레는 8월 2일 18면에 지자체들이 ‘시장형’ 노인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뉴스를 소개했다.
부산 연제구와 CJ대한통운이 노인을 12명과 주부 4명을 고용한 1·2호 ‘그린배송점’을 운영하고 있고 3·4호점을 추가로 열 계획이고, 서울의 마포, 서대문, 서초구와 인천의 연수구, 용인 수지구 등도 바리스타 등 노인 직업교육과 함께 카페, 만두집 등에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강원도 횡성군은 송편, 만두를 만들어 파는 사업과 미니 파프리카 재배를 통해 일자리를 마련하고, 정부도 ‘시니어 인턴십’ 제도를 도입해 기업과 60세 이상의 구직자들을 연결해 주고 있단다.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지 오래인데도 노인의 복지나 일자리 창출 문제에는 선거철에나 반짝할 뿐 누구도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기에 어르신들에게는 불행한 현실이다.
경제 성장률이 낮고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를 앞두고 있어 고령층이 급격히 늘어나는 요즘 노후 생활 준비를 미처 하지 못한 이들은 자칫 빈곤층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지자체의 노인 일자리 창출이 아직은 주로 카페, 공방에 머물고 있지만, 부산 연제구의 ‘그린배송점’ 같은 지역 환경을 고려한 특성 있는 일자리 사업들이 등장하고 있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지자체의 이 같은 노력은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노인들을 위한 사회 안전망을 마련에도 한몫을 할 것이다.
일자리 창출이 가장 훌륭한 복지 정책이라는 말이 있다. 노인 일자리 창출에 더 관심을 갖고 정책 실현으로 이어가는 지자체들이 더욱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The AsiaN 편집국 news@theasian.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