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봉석의 뉴스돋보기] 부자들마저 지갑 닫은 이유는…

[중앙일보]?부자들마저 지갑 닫았다

“한국말 하는 손님 본 지가 너무 오래됐어.”
서울 도심의 유명 백화점 명품관 직원들이 요즘 주고받는 얘기다. 휴일인 7~8일 백화점 명품관은 손님보다 직원이 많을 정도로 한산했다. B명품 매장의 매니저는 “아무리 전화를 하고 판촉물을 보내도 고객이 미동조차 않는다”고 말했다. 이 매장에서 파는 양복은 연초까지 월 열 벌 팔렸지만 지금은 네댓 벌 팔기가 어렵다. L매장의 매니저는 “그나마 중국·일본 관광객이 있어서 겨우 유지한다”며 “국내 고객은 거의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부자가 지갑을 닫았다. 상류층 소비가 줄면 서비스·제조업 매출이 늘어날 수 없다. 서민의 벌이도 좋아질 리 없다.

8일 통계청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도시 근로자 중 소득 상위 10%(월 평균 소득 917만2045원)는 지난해 월 401만7470원을 소비했다. 1년 전보다 월 7만8705원(-1.9%) 줄었다. 이들의 소비가 줄어든 것은 1998년 외환위기 직후와 2002년 카드채 사태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물가(4%)가 크게 올랐고, 상류층 소득(6.2%)이 늘어난 걸 감안하면 실제 씀씀이는 통계보다 훨씬 더 적어진 셈이다. 이명박 정부 4년간 부자 소비도 연평균 1.6% 느는 데 그쳤다. ‘부자세금’이라는 종합부동산세 등을 도입한 노무현 정부(연 5.4%) 때의 3분의 1 수준이다. 김영삼(8.2%)·김대중(4.9%) 정부 때보다도 크게 낮다.?(중략)

부자의 닫힌 지갑은 상류층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내수를 위축시켜 경제 전체의 활력을 떨어뜨린다. 전국상공회의소 회장단 설문조사에서는 42.3%가 “경제 회복을 앞당기려면 내수 경기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원본보기는 클릭 후 확대버튼

*이 경제 기사는 지난 5년간 이명박 정부가 줄기차게 주장해 온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업이나 부유층이 돈을 많이 벌면 투자를 하고 소비를 해 그 효과가 물이 흐르듯 아래로 떨어지며 서민들도 살림살이가 나아진다는 것이죠. 그런데 이런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기사에서는 정부의 ‘기업 프랜들리’가 구호에 그치고 실제는 ‘기업 때리기’를 했기 때문이며 ‘내수’를 늘려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과연 대기업이 정부의 규제로 인해 ‘힘든 상황’이냐는 것입니다.

미국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로 세계시장이 불안해지면서 기업은 보수적인 투자를 견지하고 있습니다. 그럼 대안으로 수가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할텐데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노동유연성을 강조하며 노동자(월급쟁이)를 급료나 안정성면에서 불안정하게 흔들어 놓으니 소비가 안되는 것도 원인이 된 것 같습니다.

물론 대기업은 이런 유연화를 통해 생산 단가를 낮추고 인건비를 절약(?)했을 겁니다. 여기에 더해서 우리나라 부유층은 이미 해외에서 쇼핑을 즐기는 트렌드도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기사를 보도한 중앙일보는 삼성그룹과 ‘특수한’ 관계에 있습니다. 또 기사에서 삼성경제연구소와 대한상의의 자료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결국 기업과 부자들에게 소비를 많이 할 수 있게 더 크고 안정적인 특혜와 혜택을 줘야한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 아닌가 싶습니다.

news@theasian.asia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