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의료’ 아프리카도 코로나 확산, 25개국서 발병
에스와티니·모리타니·세이셸 등서 확진자···남아공 38명으로 늘어
아프리카, 인구 전세계 16%에 보건의료 지출 1% 불과
[아시아엔=연합뉴스] 아프리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점점 물드는 분위기다.
AFP통신은 15일(현지시간) 아프리카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나온 국가가 25개국으로 늘었다고 보도했다.
아프리카 50여개국의 절반에 가까운 나라로 코로나19가 퍼진 것이다.
dpa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4일 나미비아, 르완다, 에스와티니(구 스와질란드), 세이셸 등이 코로나19 발병국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아프리카는 다른 대륙과 달리 코로나19의 영향권 밖이었지만 이달 들어 전염자가 확산하는 추세다.
남아공, 모잠비크와 인접한 내륙국가 에스와티니에서도 이날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다.
확진자는 33세의 여성으로 지난달 말 미국에서 입국했으며, 에스와티니 입국 전 남아공으로 둘러싸인 내륙국가 레소토에 여행을 다녀왔다고 에스와티니 보건당국이 전했다.
남아공에 이웃한 나미비아 보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스페인인 남녀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중앙아프리카 르완다에서 이날 처음 확인된 감염자는 8일 뭄바이에서 도착한 인도인이었다.
인도양 섬나라 세이셸의 보건당국은 14일 오후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나왔다고 밝혔다.
감염자인 세이셸 국민 2명은 지난 11일 이탈리아에서 귀국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밖에 적도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이날 첫 감염자가 발생했다고 AFP가 전했다.
아울러 남아프리카공화국 보건부는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 24명에서 이날 14명 늘어 38명이 됐다고 발표했다.
북서 아프리카의 모리타니에서도 13일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 확진자는 남성으로 9일 유럽에서 모리타니 수도 누악쇼트에 들어온 후 격리됐으며 국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13일에는 동아프리카 케냐·에티오피아·수단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했다.
북아프리카에서는 이집트, 알제리 등에서 확진자가 상당수 발생했다. 사망자도 사하라 사막 이남과 달리 북아프리카에서만 5명이 나왔다.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바이러스 출현에 대비한 덕분에 확진자가 세계적 추세보다는 떨어진다. 전 세계적으로 14만명의 확진자가 나왔지만 아프리카는 아직 수십 명 수준이다.
카메룬에서도 파리를 거쳐 온 자국민 한 명이 양성반응을 보여 확진자가 3명으로 늘었다.
아프리카에서 확진자 발생은 대부분 유럽을 여행한 이력이 확인돼 유럽이 아프리카의 새로운 코로나19 진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처럼 동서남북 아프리카 전역에서 코로나19 발병을 보고하는 국가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전문가들의 우려도 커졌다.
많은 아프리카 나라의 보건 체계가 열악한 사정이라서 전염병이 급증할 경우 의료기관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대륙으로 세계 인구의 16%를 차지한다. 그러나 보건 의료 분야 지출은 전 세계의 1%밖에 안된다.
코로나19 치료를 위해서는 산소호흡기와 같은 생명 보조장치가 필요하지만 아프리카는 경제적 사정이 여의치 않다.
코로나19 사태에 대응을 계속하려면 매년 수십 만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말라리아와 에이즈 바이러스(HIV) 대응에 써야 할 재원을 전용할 수밖에 없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망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발병국의 정부는 대책 마련에 애쓰고 있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휴일인 15일 긴급 내각회의를 소집했다.
남아공은 전세기로 자국민 100명 이상을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 우한(武漢)에서 데려왔다. 이들은 군의 보호 아래 리조트에 격리됐다.
남유럽과 지중해를 사이에 둔 북아프리카 모로코가 이날 코로나19 대응책으로 엄격한 국경 통제에 들어가자 관광객이 국경, 항구, 공항 등에서 발이 묶이기도 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