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살 총각과 9살 소녀의 이런 사랑 어디 또 없을까요?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얼마 전 필자가 운영하는 ‘덕인회’ 카톡방에 감동의 글이 올라왔다. 실화라고 한다. 필자는 그 글에 ‘보이지 않는 사랑’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29살 총각인 나는 직장에서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었다. 난 그날도 평소처럼 집 앞 횡단보도를 걷고 있었는데, 그만 시속 80km로 달리는 차를 못보고 차와 부딪혀 중상을 입었다. 응급실에 실려 갔고, 기적적으로 생명은 건졌다. 그러나 의식이 돌아오는 동시에 깊은 절망에 빠지게 되었다.
시력을 잃었던 것이다. 아무 것도 볼 수 없다는 사실에 너무 절망했고, 결국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지경이 되어버렸다.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기면서 난 그녀를 만났다. 그녀는 아홉 살 밖에 안 되는 소녀였다.
“아저씨! 아저씨는 여긴 왜 왔어?” “야! 꼬마야! 아저씨 귀찮으니까 저리 가서 놀아.” “아저씨! 왜 그렇게 눈에 붕대를 감고 있어? 꼭 미이라 같다.” “야! 이 꼬마가.. 정말 너 저리 가서 안 놀래.” 그녀와 나는 같은 301호를 쓰고 있는 병실환자였다.
“아저씨, 근데 아저씨 화내지 말아. 여기 아픈 사람 많아~ 아저씨만 아픈 거 아니잖아요. 그러지 말고~ 나랑 친구해 네? 알았죠?” “꼬마야, 아저씨 혼자 있게 좀 내버려 둘래.” “그래 아저씨 난 정혜야 오정혜! 여긴 친구가 없어서 심심해. 그런데 아저씨 나보고 귀찮다구?”
그러면서 그녀는 밖으로 나가 버렸다.
다음 날. “아저씨. 그런데 아저씬 왜 이렇게 한숨만 푹 푹 쉬어?” “정혜라고 했니? 너도 하루 아침에 세상이 어두워졌다고 생각해봐라. 생각만 해도 무섭지. 그래서 아저씬 너무 무서워서 이렇게 숨을 크게 내쉬는 거란다.” “근데 울 엄마가 그랬어. 병도 예쁜 맘 먹으면 낫는데. 내가 환자라고 생각하면 환자지만 환자라고 생각 안 하면 환자가 아니라고.”
“며칠 전에 그 침대 쓰던 언니가 하늘나라에 갔어. 엄마는 그 언니는 착한 아이라서 하늘에 별이 된다고 했어. 별이 되어서 어두운 밤에도 사람들을 무섭지 않게 환하게 해준다고.” “음… 그래. 넌 무슨 병 때문에 왔는데?” “음… 그건 비밀. 그런데 의사 선생님이 곧 나을 거라고 했어. 이젠 한달 뒤면 더 이상 병원 올 필요 없다고.”
“그래? 다행이구나.” “아저씨. 그러니까 한달 뒤면 나 보고 싶어도 못 보니까 이렇게 한숨만 쉬고 있지 말고 나랑 놀아줘, 응? 아저씨.” 나는 나도 모르게 미소를 지었다. 그녀의 한마디가 나에게 용기를 주었다. 마치 밝은 태양이 음지를 비추듯 말이다.
그 후로 난 그녀와 단짝친구가 되었다. “자! 정혜야 주사 맞을 시간이다.” “간호사 언니. 그 주사 30분만 있다가 맞으면 안 돼? 나 지금 안 맞을래!” “그럼. 아저씨랑 친구 못하지. 주사를 맞아야 빨리 커서 아저씨랑 결혼한단다.” “칫!” 그리곤 그녀는 엉덩이를 간호사 언니에게 들이대었다.
그렇다! 어느 새 그녀와 나는 병원에서 소문난 커플이 되었다. 그녀는 나의 눈이 되어 저녁마다 산책을 했고, 아홉살 꼬마아이가 쓴다고 믿기에는 놀라운 어휘로 주위 사람, 풍경 얘기 등을 들려주었다.
“근데 정혜는 꿈이 뭐야?” “음… 나 아저씨랑 결혼하는 거.” “에이… 정혜는 아저씨가 그렇게 좋아? 내가 그렇게 잘생겼어?” “음… 그러고 보니까… 아저씨 되게 못생겼다. 꼭 괴물 같애” 그러나 그녀와의 헤어짐은 빨리 찾아왔다. 2주 후 나는 병원에서 퇴원했다.
그녀는 울면서 “아저씨… 나 퇴원할 때 되면 꼭 와야 돼 알겠지? 응…… 약속!” “그래 약속…” 우는 그녀를 볼 수는 없었지만 가녀린 새끼손가락에 고리를 걸고 약속을 했다. 그리고 2주일이 지났다. “따르릉 따르릉” “여보세요.” “최호섭씨?” “예! 제가 최호섭입니다.” “축하합니다. 안구 기증이 들어 왔어요.” “지 진짜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하늘로 날아갈 것 같았다.
일주일 후 난 이식수술을 받고, 3일 후 드디어 꿈에도 그리던 세상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난 너무도 감사한 나머지 병원측에 감사편지를 썼다. 그리고 기증자도 만나게 해달라고 했다. 그러던 중 난 그만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다. 기증자는 다름 아닌 정혜였던 것이었다.
나중에 알았던 사실이지만 바로 내가 퇴원하고 일주일 뒤가 정혜의 수술일이었던 것이다. 그녀는 백혈병 말기환자였다. 난 그녀를 한번도 본 적이 없었기에, 그녀가 건강하다고 믿었는데 정말 미칠 것 같았다. 난 그녀의 부모님이라도 만나야겠다고 생각했다.
“아이가 많이 좋아했어요.” “예…” “아이가 수술하는 날 많이 찾았는데…” 정혜의 어머니는 차마 말을 이어가질 못했다. “정혜가 자기가 저 세상에 가면 꼭 눈을 아저씨께 주고 싶다고. 그리고 꼭 이 편지 아저씨에게 전해 달라고…” 또박 또박 적은 편지에는 아홉살짜리 글씨로 이렇게 써있었다.
“아저씨! 나 정혜야. 음~ 이제 저기 수술실에 들어간다. 옛날에 옆 침대 언니도 거기에서 하늘로 갔는데… 정혜도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어. 그래서 하는 말인데 아저씨 내가 만일 하늘로 가면, 나 아저씨 눈 할게. 그래서 영원히 아저씨랑 같이 살게. 아저씨랑 결혼은 못 하니까.”
나의 눈에는 두 줄기의 눈물이 흘러내리고 있었다.
위의 글은 실화라고 한다. 아니 누가 창작을 했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소중한 사람들을 이렇게 사랑하지만 꼭 눈으로 보아야 믿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보이지 않아도 사랑할 수 있다. 얼마든지 눈에 보이지 않아도 사랑을 할 수 있다.
그것을 플라토닉 러브라고 하던가? 주어진 현실 속에서 감사해야 할 것, 사랑해야 할 사람이 너무도 많다. 우리 큰 사랑을 하자. 보이지 않는 사랑 어디 있는지 찾아 뜨거운 정열을 불살라 보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