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설
-
사회
헤이그밀사 보재 이상설 기념관 충북 진천서 내달 착공
[아시아엔=이상기 기자] 보재 이상설 선생 순국 100주기(2017년)을 맞아 추진해온 기념관이 선생 출생지인 충북 진천군 진천읍 충렬사 일원에서 10월 착공된다. (사)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회장 이석형·이사장 이상래)가 사업주체가 되고 충북도, 진천군, 기념사업회후원회, 경주이씨중앙화수회 등이 함께 추진하는 기념관은 2021년 준공 예정이다. 건립에 필요한 100여억원의 재원은 그동안 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가 모금운동과 미술전시회 등을 통해 모은 기금과 중앙정부·지자체 예산 등으로…
더 읽기 » -
동아시아
항일독립운동 ‘이상설선생 기념관’ 건립 기금 작품전
[아시아엔=김소현 기자] 1907년 ‘헤이그특사’이자 서양 근대수학을 한국에 소개한 항일독립운동가 보재(溥齋) 이상설(李相卨·1870~1917) 선생의 기념관 건립을 위한 작품전이 열린다. (사)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회장 이석형·이사장 이상래)와 이상설선생기념관건립위원회(위원장 이종찬)는 8일 정부수립 99주년과 광복 73주년을 맞아 15~2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인사아트프라자에서 ‘서전서숙(瑞甸書塾) 이상설선생기념관 건립 기금 작품전’을 연다고 밝혔다. 개막행사는 16일 오후 2시 전시장에서 열린다. 기념사업회와 충북도, 진천군은 2013년부터…
더 읽기 » -
정치
[한국 근대수학의 개척자 이상설④] 고종 헤이그밀사 파견 칙서
[아시아엔=이상구 성균관대 수학과 교수] 1906년 4월 마침내 조선통감부가 설치되자 나라의 운명에 초연할 수 없었던 그는 본격적으로 항일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04년 6월 박승봉(朴勝鳳)과 연명으로 일본인의 전국 황무지개척권 요구의 침략성과 부당성을 폭로하는 ‘일인요구전국황무지개척권불가소'(日人要求全國荒蕪地開拓權不可疏)를 올렸다. 고종은 이 상소를 받아들여 일본의 요구를 물리쳤다고 한다. 이 해 8월 보안회의 후신인 대한협동회(大韓協同會)의 회장에 선임되었다. 이 후 국권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한국 근대수학의 개척자 이상설③] 1895년 성균관장 부임, 수학·과학 필수과목 지정
[아시아엔=이상구 성균관대 수학과 교수] 1894년 이상설은 25세의 나이로 치른 조선의 마지막 과거의 대과(大科, 문과 고종 31년 갑오(甲午) 전시(殿試) 병과(丙科) 2위)에서 급제하여 한림학사에 제수된 후 이어 세자시독관이 되었다. 이 과거에는 1882년 <수학정경절요괄집>(數學正徑節要括集)를 저술한 36세의 안종화(安鍾和, 1860-1924)와 프랑스 유학을 마치고 상하이에서 김옥균을 암살하고 귀국한 홍종우도 같이 합격하였다. 이승만과 김구가 같이 시험을 치루고…
더 읽기 » -
칼럼
[한국 근대수학의 개척자 이상설②] 130년전 ‘수리’ 붓글씨 본 간행
[아시아엔=이상구 성균관대 수학과 교수] 이상설이 수학을 공부한 시기는 한국 수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시기가 한국 수학사에서 신구 수학이 양립·병행한 중첩의 기간을 공식적으로 결정한다는 점이다. 고종 25년(1888)에도 산사 17명을 뽑았다는 기록이 있으니 이상설은 ‘신구 수학 교체’의 시기 중에서 신구 수학이 양립·병행한 중첩기에 수학을 학습한 셈이다. 인하대 역사학과 윤병석…
더 읽기 » -
사회
[한국 근대수학의 개척자-이상설①] 베델 “신구학문 겸비 당대 제일 학자” 평가
[아시아엔=이상구 성균관대 수학과 교수] 19세기 말 서양 선교사를 통하여 서양 수학과 과학이 조선에 들어왔다. 1883년 뮐렌도르프(P. G. von M?llendorff, 穆麟德, 1848~1901)의 추천으로 최초의 관립 영어 교육기관 동문학(同文學通辯學校, 1883년 8월)이 세워지고, 영국인 핼리팍스(T. H. Hallifax, 奚來百士, 1842~1908)가 그 해 11월에 부임하여 주도적으로 학교를 운영하였다. 동문학에서는 영어, 일어, 필산(筆算)을 가르쳤다. 해관(海關) 업무를…
더 읽기 » -
동아시아
[책산책] 헤이그밀사 이상설은 빼어난 근대수학자였다
보재 이상설의 감춰진 이야기 ‘읽기 쉬운 이상설 평전’ [아시아엔=김혜린 인턴기자] “동지들은 합세하여 조국광복을 기필코 이룩하라. 나는 조국광복을 이루지 못하고 이 세상을 떠나니 어찌 고혼인들 조국에 돌아갈 수 있으랴. 내 몸과 유품은 모두 불태우고 그 재도 바다에 날린 후 제사도 지내지 말라.” 1907년 헤이그 특사 3인 중 한명인 보재 이상설(李相卨) 선생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헤이그 밀사’ 독립운동 이상설 선생 101주기 추모식
[아시아엔=편집국] 독립운동가이자 한학자·수학자인 보재 이상설 선생(1870~1917) 순국 101주기 추모식이 22일 오전 11시 충북 진천군 진천읍 이상설 안길 10 숭렬사에서 열린다. 이날 행사에는 보재이상설선생기념관건립추진위 이종찬·윤형섭·이상배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함세웅 (사)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장, 이부영 (사)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장, 김삼웅 (사)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장, 김삼렬 (사)독립운동유족회장, 조인래 (사)조소앙기념사업회 준비위원장, 차영조 (사)차리석선생기념사업회장, 이우재 (사)매헌윤봉길월진회 장, 임종선 (사)민족대표33인유족회장, 민성진 (사)운암 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장, 윤경로 전 한성대…
더 읽기 » -
사회
교육과정평가원에 독립운동가 ‘이상설홀’이 들어선 까닭
[아시아엔 편집국]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고종 임금의 밀사로 파견됐던 독립운동가이자 근대수학자인 보재 이상설(1870~1917) 선생을 기념하는 ‘이상설홀’이 그의 고향인 충북 진천에서 4일 문을 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신청사에 들어섰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300석 규모의 강당을 ‘이상설홀’로 명명하고 이날 현판을 걸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상설 선생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상설홀을 따로 마련했다”며 “진천으로 청사를 이전하면서 이곳이 고향인…
더 읽기 » -
사회
-
사회
헤이그만국회의 이상설 독립운동가 100주기 추모사업에 ‘수학캠프’가 포함된 까닭?
[아시아엔=편집국] 1907년 헤이그만국평회회의에 고종의 정사로 파견돼 일제의 한반도 침탈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국권회복의 정당성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린 독립운동가 보재 이상설(1987~1917) 선생. 3월 2일 서거 100주기를 맞는 보재 이상설 선생의 평생 족적을 기리는 추모행사가 그의 고향인 충북 진천 등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사)이상설선생기념사업회(회장 이석형 전 함평군수)는 4월 21일 이상설 선생 추모…
더 읽기 » -
사회
[책 산책] “수학 알고보면 참 쉽다”···이상구 ‘한국 근대수학의 개척자들’
[아시아엔=이상기 기자] “이상설, 최규동, 유일선, 이춘호, 최윤식, 장기원, 홍임식, 이임학” 대부분 낯 선 이들은 누구일까? 이상구 성균관대 수학과 교수가 쓴 <한국 근대수학의 개척자들>(사람의 무늬, 2013)에 보면 얼른 답을 찾을 수 있다. 이상구 교수는 이들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책 제목처럼 한국 근대수학의 개척자들이다. △이상설 한국 근대 수학교육의 아버지(1870~1917) △유일선 한국인…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