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
사회
[오늘의 시] ‘내가 미안해’ 김영숙···만년의 거장들은 동심으로 세계를 본다
집채만 한 파도가 큰 바위를 덮쳤어요 바위야 미안해 너무 세게 때려서 보드란 거품 만들어 마사지를 해줘요 덩치 큰 바위가 파도에게 말해요 아니야 내가 미안해 내 몸이 너무 세서 부서진 물방울 모아 가슴 가득 안아요 # 감상노트 피카소가 그랬듯 추사 김정희가 그랬듯 만년의 거장들은 동심으로 세계를 본다. 동심이 천진무구와 고졸담박의 묘용을…
더 읽기 » -
사회
[오늘의 시] ‘거울 앞에서’ 최현숙 “가리기 위해 내리고, 올리고 만듭니다”
아빠는 대머리를 가리기 위해 머리카락을 내립니다. 엄마는 흰머리 가리기 위해 머리카락을 올립니다. 난 여드름 난 이마 가리려고 깻잎머리 만듭니다. #감상노트 아빠와 엄마 그리고 아이가 쓸모 따라 머리 만지는 것을 잘 그린 동시라고 <시와 동화>(2018 겨울호)가 발표했다. 좋은 내용이다. 대상은 청소년인 듯하다. 여드름 난 이마가 어린아이 것도 있을까…
더 읽기 » -
사회
[오늘의 시] ‘파도’ 조오현 “먼바다 울음소리 홀로 듣노라면”
밤늦도록 책을 읽다가 밤하늘을 바라보다가 먼 바다 울음소리를 홀로 듣노라면 千經 그 萬論이 모두 바람에 이는 파도란다 # 감상노트 불교에서는 바다 울음소리 즉 해조음을 불음(佛音) 또는 일음(一音)이라 한다. 부처는 중생의 물음에 따라 많은 설법(答)을 했고, 중생의 근기(根器)에 따라 그 표현은 달리 했어도 그 설법의 근원은 해조음처럼 같기 때문이다. 시인이…
더 읽기 » -
사회
[오늘의 시] ‘정자리 1’ 손영희 “노란 스쿨버스가 없는 아이를 싣고 간다”
노란 스쿨버스가 없는 아이를 싣고 간다 봉고차가 하우스 족 할머니들 싣고 간다 동살이 적막 속으로 순찰병처럼 스며든다 노란 스쿨버스가 없는 아이를 부려 놓고 봉고차가 풀죽은 고춧대들 부려놓자 노을이 아랫목으로 밑불을 놓고 있다 # 감상노트 갓난이 울음소리 끊기고 아이들 보기가 별 보기보다 어려워진 게 진주 어디 뿐인가. 동살이 적막 속으로…
더 읽기 » -
동아시아
[12.21 역사속 아시아] 대법원 문인간첩단 김우종 교수 무죄확정(2011)·스탈린 출생(1879)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1905 이토 히로부미 초대 조선통감 취임 -1963 서독 취업 광부 1진 123명 출발 -1968 경인고속도로 서울-인천간 개통. 길이 29.5km 4차선 넓이 20.4m(1993년 6차선 확장) 인터체인지 6개. 1967년 5월 공사 시작해 1년6개월 만에 완공. 1시간 거리를 18분으로 단축시켰으나 지금은 통행량이 너무 많아 주차장, 또는 저속도로라 불리기도 함 -1974 TBC-중앙일보…
더 읽기 » -
사회
[12.20 역사속 아시아] 김재규·김계원 사형선고(1979)·미 하원 클린턴 탄핵결의(1998)
세계인류연대의날···유엔총회 빈곤퇴치 위해 2005년 제정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오늘은 세계인류연대의 날(International Human Solidarity Day). UN 밀레니엄선언의 정신을 기억하고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특히 빈곤퇴치의 실현을 강조하기 위해 2005년 UN 총회에서 지정. 2000년 UN 밀레니엄정상회의에서 발표된 밀레니엄선언은 자유, 정의, 관용, 자연에 대한 존중, 책임의 공유와 더불어 ‘연대(Solidarity)’를 21세기 국제관계의 가장 근본적인 원칙으로…
더 읽기 » -
사회
[오늘의 시] ‘바다를 건너며'(渡海) 김창집 “탈 없이 잘 건너고서야”
푸른 바다에 풍파 없어 잔잔하다만 내 충신이 교타를 감동시켜 그런 것이랴 작은 배로 탈 없이 잘 건너고서야 청회는 멱라와 다르다는 말 실감하겠네 碧海風恬不起波 벽해풍념불기파 敢言忠信感蛟? 감언충신감교타 輕舟穩涉能無恙 경주온섭능무양 始驗淸淮異?羅 시험청회이멱라
더 읽기 » -
[12.19 역사속 아시아] 노무현 대통령 당선(2002)·카다피 대량살상무기 포기(2003)
유엔남남협력의날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개발도상국 사이의 국제적 협력을 강조하는 날로 2003년 12월 UN총회에서 의결 -1932 윤봉길 의사, 일본 오사카 형무소에서 순국 -1968 대학입시예비고사 첫 실시 -1995 국회, 여야 합의로 5.18 특별법 제정 -2002 제16대 대통령 선거, 노무현 후보 당선. 유효투표수 24,561,916표, 노무현 후보 12,014,277표(48.9%) 사상 최다득표 -2006 김연아, 국제빙상경기연맹 피겨스케이팅 시니어…
더 읽기 » -
정치
[12.18 역사속 아시아] 국제이주노동자의날·영화 ‘변호인’ 개봉(2013)·중국공산당 등소평 개혁·개방 공식화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1990년 이날 유엔총회에서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장에 관한 국제협약’ 채택. 세계 각지의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 관련 NGO들이 각국 정부에 이주노동자 권리보장 및 유엔이주노동자 권리협약 비준 촉구. 우리나라는 서명 거부 -1811(조선 순조 11) 홍경래, 농민전쟁 일으킴 -1954 국회, 사사오입 개헌안 통과 선포 -1962 브라질 이민단 17가구 91명 출국…
더 읽기 » -
동아시아
[12.12 역사속 아시아] 인권변호사 조영래 별세(1990)·사우디 첫 여성참정권 허용(2015)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1948 유엔총회 대한민국정부를 한반도내 유일합법정부로 승인 -1979 12.12 군반란 사건. 군 수사기관이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과 관련 혐의 내세워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연행 과정에서 총격전. 12.12 계기로 전두환 보안사령관 중심의 신군부가 권력 장악 -1990 인권변호사 조영래 세상 떠남 -1992 영종도 국제공항 기공식 -1992 한국-베트남 수교 -1995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협상 완전 타결…
더 읽기 » -
[오늘의 시] ‘등 뒤를 돌아보자’ 박노해 “12월에는 무심했던 시간들을 돌아보자”
12월에는 등 뒤를 돌아보자 앞만 바라보고 달려온 동안 등 뒤의 슬픔에 등 뒤의 사랑에 무심했던 시간들을 돌아보자 눈 내리는 12월의 겨울나무는 벌거벗은 힘으로 깊은 숨을 쉬며 숨 가쁘게 달려온 해와 달의 시간을 고개 숙여 묵묵히 돌아보고 있다 우리가 여기까지 달려온 것은 두고 온 것들을 돌아보기 위한 것 내 그립고 눈물…
더 읽기 » -
동아시아
[11.28 역사속 아시아] 南 농악·北 아리랑 UNESCO 문화유산 등재(2014) 이집트 첫 자유선거(2011)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1910 하와이교포와 최초의 사진결혼 -1930 당인리발전소 완공 -1956 한국-미국 우호통상조약/항해조약 조인 -1958 메디칼센터 개원 -1977 잠실 올림픽주경기장과 수영장 완공 -1980 한일간 해저케이블 개통 -2008 개성관광과 남북열차운행 중단 -2008 서울서부지법 회생가능성 없는 환자의 존엄사 허용 판결 -2009 아이폰 국내 출시 -장미란 고양세계역도선수권대회 여자 75Kg이상급 우승. 한국역도사상 첫 세계선수권 4연패,…
더 읽기 » -
[11.25 역사속 아시아] 1915 현대그룹 창업 정주영 탄생 2014 ‘미생’ 판매부수 200만권 돌파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11월 25일은 세계여성에 대한 폭력근절의 날. 도미니카공화국에서 독재타도를 외치던 미라벨 세 자매가 1961년 이날 살해된 것을 잊지 말자는 뜻에서 남미 여성단체들이 1981년 지정.11월 25일은 ‘아무 것도 사지 않는 날’. 상품생산과 소비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환경오염과 자원고갈, 노동문제, 불공정거래 등 물질문명의 폐단을 고발하고 유행과 쇼핑에 중독된 생활습관과 소비행태 뉘우쳐 지속적인…
더 읽기 » -
사회
[오늘의 시] ‘삶의 신비’ 박노해 “비울수록 새 힘이 차오를 것이니”
채움보다 비움을 비울수록 새 힘이 차오를 것이니 더함보다 나눔을 나눌수록 사랑이 더 커질 것이니 가짐보다 쓰임을 쓰일수록 내 삶이 더 꽃필 것이니
더 읽기 » -
사회
[11.22 역사속 아시아] 1963 케네디 대통령 암살 1989 한국-헝가리 항공협정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11월 22일은 소설로 겨울이라는 기분 들기 시작하는 날이다. 살얼음이 잡히면서 제법 춥지만 그래도 낮엔 아직 따뜻하기도 해 ‘소춘’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오늘처럼 강풍이 시작하면서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기도 하는데 이 바람을 ‘손돌바람’이라 하며 외출을 삼가고 배를 바다에 띄우지 않았다고 한다. 오늘은 시제(음력 10월 보름날 지내는 차례)일. 지방이나 문중에 따라 날짜…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