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
-
문화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알파고 기자는 ‘세계 독립의 역사’를 왜 썼을까?
[아시아엔=이상기 기자] 3.1만세운동 100주년,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지난 1세기 대한민국은 세계가 주목하는 많은 성취를 이뤄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쏟아내는 엄청난 보도 물량에도 불구하고 신문?방송들은 지난 100년을 틈만 나면 보여주고 있다. 올림픽경기 생중계를 보는 듯한 느낌이다. 그런데, 눈을 조금 밖으로 돌려보자. 우리는 먼나라는커녕 아니 가까운 동남아국가의 독립운동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3.1운동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1.28] 한국 첫 전화통화(1898)·등소평 미국 방문(1979)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꿈을 밀고 가는 힘은 이성이 아니라 희망이며, 두뇌가 아니라 심장이다. 우리에겐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그 가능성을 스스로 믿는 만큼 성공하고 행복해지는 것이다.”-표도로 도스토옙스키 러시아의 작가 -1432(조선 세종 12) 윤회 맹사성 등 『팔도지리지』 편찬 -1898(대한제국 광무 2) 우리나라 첫 전화 통화, 한성전기회사에서 개통 — 궁내부에서 궁중과 각 아문과의 연락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알파고와 중동이야기] 무슬림이 할랄 아닌 고기를 먹으면
[아시아엔=이상기 기자] 기사 쓰는 것을 취미로 삼는 우리에게는 공휴일도 기사 쓰거나 회사에 나오는 것이 대단한 일이 아니다. 새해 첫날인 1월 1일에도 기자와 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은 회사 출근을 했다. 점심 때 오리고기 전문집에 갔다. 알파고는 이슬람교도로 할랄 음식이 아니면 안 먹는 탓에 산채비빔밥을 시켰다. 그와 같은 공간에서 일한 것이 거의…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시아 알파벳-중동] 쿠란 통해 전승한 아랍문자, ‘서예’로 꽃 피우다
우리가 하루 동안 읽는 글자는 모두 몇 자나 될까요? 우리가 하루에 사용하는 단어는 얼마나 될까요? 아무 것도 읽지 않고,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며칠이나 견딜 수 있을까요? ‘나’와 ‘글자’에 대해 한번 생각해본 적이 있으신지요? 매거진N이 ‘알파벳’이란 보통명사로 통칭되는 ‘글자’의 이모저모를 살펴봅니다. 이집트·파키스탄·이탈리아 그리고 터키기자들은 무슨 얘기를 펼쳤을까요? <편집자> [아시아엔=아시라프…
더 읽기 » -
서아시아
[아시아 알파벳-터키] 국부 케말 파샤 ‘글자혁명’의 빛과 그림자
우리가 하루 동안 읽는 글자는 모두 몇 자나 될까요? 우리가 하루에 사용하는 단어는 얼마나 될까요? 아무 것도 읽지 않고,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며칠이나 견딜 수 있을까요? ‘나’와 ‘글자’에 대해 한번 생각해본 적이 있으신지요? 매거진N이 ‘알파벳’이란 보통명사로 통칭되는 ‘글자’의 이모저모를 살펴봅니다. 이집트·파키스탄·이탈리아 그리고 터키기자들은 무슨 얘기를 펼쳤을까요? <편집자> [아시아엔=알파고…
더 읽기 » -
동아시아
[책산책] ‘상상의 공동체’···국제부 기자·언론고시생 ‘필독서’
[아시아엔=알파고 시나씨 기자] 필자는 2010년 9월 터키 <지한통신사>에 한국특파원으로 입사했다. 국제부 소속이었다. 입사 후 한달 간 국제부 신입기자들과 교육을 받았다. 당시 특별채용된 필자는 교육 이수 후 어디를 커버할 것인지 미리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나머지 친구들은 국제부에서 어느 지역을 맡을지 미정이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본사 근무여서 보통 1~2년마다 담당 대륙 및 권역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스페셜리포트] 터키출신 알파고 기자 묻다 “소설이란 내게 무엇인가?”
매년 이맘때만 되면 때아닌 설렘 속에 ‘맘살’을 앓는 이가 있습니다. 아날로그 시대의 소중한 것들이 사라져가는 중에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신문사 ‘신춘문예’를 준비하는 이들입니다. 이들 가운데 소설 지망생이 특히 더 그렇습니다. <매거진N> 독자께서도 비슷한 경험을 하신 적이 있으신지요? 매거진N 8월호 스페셜리포트는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는 셰익스피어의 고국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 유럽소설,…
더 읽기 » -
세계
노벨평화상 무퀘게 누구?···2016서울평화상, 日위안부 문제에 깊은 관심
[아시아엔=알파고 시나씨 기자] 노벨위원회는 무퀘게에 대해 “전쟁과 무력분쟁 과정에서 발생한 성폭력을 종식하는 노력하는데 국내외적으로 가장 중요한 상징적 인물”이라며 “그는 ‘정의는 모든 사람의 일’을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민주 콩고에서는 오랜 내전으로 600만명 이상이 사망했으며, 여성들은 극심한 성폭력에 시달려왔다. ‘세계의 강간 수도’라고 불릴 정도다. 프랑스에서 유학한 무퀘게는 고향 부카부에 산부인과 병원인…
더 읽기 » -
동아시아
알파고 ‘아시아엔’ 새 편집장 “신고합니다!”
[아시아엔=알파고 시나씨 기자] 매거진N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제 소개를 간단히 드리겠습니다. 저는 2011년 11월 11일 <아시아엔>이라는 인터넷 뉴스 포털이 생길 때부터 지금까지 때로는 독자로, 때로는 필자로 이 공동체에 참여해온 터키 출신 기자 알파고입니다. 아랍에는 <알 자지라>, 유럽대륙에는 <유로뉴스>가 등장해 지역 통합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아시아를 하나로 묶어낼 언론사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더 읽기 » -
동아시아
[매거진N 특집-코미디④] ‘웃찾사’ ‘개콘’ 등 위기의 한국 코미디, 탈출 묘안은?
[아시아엔=알파고 시나씨 기자] 한국 코미디가 최근 큰 위기를 겪고 있다. 위기는 작년에 시작해 지금은 뚜렷하게 수면 위에 떠올라 있다. SBS <웃찾사>가 폐지되고 대학로에서 수많은 코미디언들을 키워준 ‘깔깔이패밀리’는 문을 닫았다. KBS에서 아직도 버티고 있는 <개그콘서트>도 예전처럼 높은 시청률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은 개그시장에서 어떤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더 읽기 » -
사회
[알파고의 아시아 탐구] 금식·금욕···터키 기자의 ‘라마단 체험기’
2018년 라마단이 끝난 지 한 달이 되어 옵니다. 최근 들어 한국에 거주하는 이슬람 문화권 출신들이 라마단 기간을 성수(聖守)하면서 이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시아엔>은 터키 출신의 알파고 시나씨 기자의 ‘라마단 체험기’를 독자들께 소개합니다. 알파고 기자는 “매년 라마단이 되면 절제와 기도를 통해 나와 이웃을 돌아볼 수 시간으로 채워 참으로 행복하다”고 합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책산책] 알파고의 ‘누구를 기억할 것인가’···아시아 화폐 속 어떤 인물이?
[아시아엔=김혜린 인턴기자] 여행을 떠나기 전 가장 먼저 접하는 것이 그 나라 화폐다. 대부분 화폐에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그려져 있다. 이들 인물은 그 나라의 자유와 독립, 건국에 큰 공을 세운 영웅들이자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사람이다. 그리고 이들을 살펴보면 그 나라의 역사와 사회적 환경을 알 수 있다. <누구를 기억할 것인가>(헤이북스)…
더 읽기 » -
문화
‘라마단’, 새로운 인간으로 태어나는 겸손과 절제의 시간
배철현 교수 신간 ‘수련’서 “무슬림들은 하루에 다섯번씩 스스로에게 묻는다”? 알파고 기자 “금식 통해?사회적 약자 떠올리며 음식의 소중함 몸으로 느껴”? [아시아엔=김혜린 인턴] 2018년 5월 16일, 대다수 대한민국 국민들은 이날을 아주 평범하게 보냈다. 하지만 무슬림들에게 이날은 해가 떠있는 시간 동안 의무적으로 금식하는 한달 간의 긴 여정, ‘라마단’의 시작이었다. 라마단은 ‘뜨거운/ 불로 태운’이라는…
더 읽기 » -
세계
터키 알파고 기자의 한국·한글 사랑, “취미가 공부로, 공부가 직업으로”
알파고 시나씨(Sinasi Alpago) 전 터키 지한통신사 서울특파원은 대표적인 ‘지한파’(知韓派) 터키인이다. 그는 만나는 한국인마다 반기며 “터키와 한국은 형제나라”라고 말한다. 한국생활 15년, 한국인을 아내로 맞이한 절반은 터키인, 절반은 한국인이나 다름없다.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공동대표 송인수 윤지희)이 최근 알파고 기자를 인터뷰했다. <아시아엔>은 알파고 기자 인터뷰 전문을 독자들께 전한다.(편집자) 한국 사회에서 ‘공부’만큼 뜨거운 주제가 또…
더 읽기 » -
동아시아
[인공지능 작가시대②] 국내 매체 ‘파이낸셜뉴스’ 실시간 주식시황 서비스
[아시아엔=이원섭 마컴 빅데이터 큐레이터] 우리나라의 경우 파이낸셜뉴스가 서울대 이준환·서봉원교수 연구팀과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의 인공지능 기자 ‘아이엠에프엔봇’(IamFNBOT)을 통해 실시간 주식 시황 기사를 서비스 중이다. 이 인공지능 기자는 이제 단순한 스트레이트 기사에서 한 단계 진화해 증권 전문 핀테크업체인 씽크풀과 공동개발을 통해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기반의 주문형 맞춤 뉴스를 생산하는 ‘에프엔라씨(fnRASSI)를 도입해 서비스하고 있다. 이…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