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 남아시아

    ‘가난한’ 파키스탄 무기수입은 세계 10위···”한국은 7위”

    [아시아엔=송재걸 기자] 파키스탄의 무기수입이 세계 10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키스탄 현지 매체 <돈>은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가 15일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2020년 기준 무기 수입 상위 10개국 중 파키스탄이 10위를 기록했다”며 “파키스탄에게 가장 많은 무기를 수출하는 국가는 중국이며 러시아와 이탈리아가 그 뒤를 따른다”고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2028년 내로 중국산 전투기 50대·호위함…

    더 읽기 »
  • 동남아시아

    대만 올해 군인 1만8200명 모집…전 병력 20만”

    [아시아엔=송재걸 기자] 대만 국방부가 9일 “올해 총 1만 8294명의 군인을 모집할 계획”이라며 “신병들은 각각 9개 부대로 배치되어 장교 및 하사관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타이완뉴스>가 이날 보도했다. 시아데유 소장은 기자회견에서 “작년 2만 1040명이 입대한데 이어 올해도 2만명 가까이 모집하게 되었다”며 “작년 입대한 군인 중 4185명은 장교로, 2009명은…

    더 읽기 »
  • 동아시아

    [중국 제대로 알기] 군대, 돈 내고 입대하기도···인민해방군 ‘모병제’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 청년도 우리나라처럼 의무적으로 군대에 가야 할까요?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은 의무 징병제가 아닌 자원입대 방식인 ‘모병제’ 국가입니다. 그렇다면 본인이 군대에 가기를 원하기만 하면 입대할 수 있을까요? 중국에서는 군대를 가고 싶어도 못가는 사람이 많습니다. 중국 정부는 군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그 일환으로 고학력 인재의 입대를 유도하고 있지요. 이를…

    더 읽기 »
  • 칼럼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와 미 밴 플리트 장군

    [아시아엔=김국헌 전 국방부 정책기획관] 한국전쟁 전선이 교착된 1951년 가을 정부와 육군 수뇌부는 사관학교 재건을 추진하였다. 이승만 대통령은 밴 플리트 장군에게 협조를 요청하였다. 밴 플리트 장군은 군사고문단장 메이요(Mayo) 준장에게?이 문제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고 메이요 준장은 미 육사에서 교관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맥 킨니(McKinney) 대령을 선발하여 이 일을 맡겼다. 맥 킨니…

    더 읽기 »
  • 칼럼

    새어머니 헌신이 철기 이범석 독립운동 ‘견인’

    [아시아엔=박남수 ‘철기이범석기념사업회’ 회장, 전 육사교장] 한석봉·김구 등 위대한 인물의 성장과정엔 어머니의 사랑과 훈육이 등장한다. 철기 이범석 장군(1900~1972년)도 그렇다. 그러나 다른 게 있다. 철기의 경우는 생모가 아니라 새어머니란 점이다. 철기의 새어머니는 강릉분으로 무학이었으나 지식과 지혜가 높았다. 철기는 호롱불 밑에서 바느질하는 새어머니 곁에서 한문공부를 하곤 했다. 이때 어머니는 틀린 곳을 바로잡아 주었다고…

    더 읽기 »
  • [김중겸의 범죄사회학] 이런 군대였으니 망할 수밖에

    군대는 하나의 기업이었다 [아시아엔=김중겸 전 경찰청 수사국장] 476년 서로마제국이 멸망하고 힘 센 부족이나 왕이 약자를 죽이는 약육강식시대가 됐다. 무력이 있는 쪽에 붙어야 생존했다. 신하나 속국 되어 주군 섬겼다. 대신 안전을 보장받았다. 이때의 무력은 군사력이다. 상비군이 없던 시대, 돈 주고 고용하는 용병이 판 쳤다. 연대(regiment)가 군 편성의 기본이었다. 연대는 주식회사였다. 연대장이…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