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덕
-
사회
“50년 동고동락한 절친과 헤어졌다”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50여년간 동고동락한 절친이 있다. 그 친구는 열 살 전후에 만났을 때부터 첫눈에 반한 텔레비전이다. 줄여서 TV라고 부르는 텔레비전(Television)은 그리스어로 ‘멀리’를 뜻하는 ‘tele’와 라틴어로 ‘본다’를 뜻하는 ‘vision’이 합쳐진 단어다. 전기신호가 닿는 곳이면 어디서나 영상을 볼 수 있는 기기, 텔레비전이다. 셀레늄의 광전효과를 이용해 이러한 신호를 멀리까지 전달하는 기술로 열…
더 읽기 » -
사회
폭풍우 퍼붓던 그날 대종사님 “상덕아 서둘지 마라”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8월 17일 새벽 기도를 마쳤다. 영산성지를 비추는 새벽 초승달이 아이 손톱처럼 아름답다. 오십일 넘도록 이어진 긴 여름 장마가 이제 끝이 났다. 영산성지에 폭우가 쏟아진 지난 8월 8일 새벽 6시 30분. 이날은 영산성지의 새로운 역사의 한 줄이 새겨질 날이다. 시간당 37mm의 장대비가 밤새 퍼붓더니 5만여 정관평 논과 보은강은…
더 읽기 » -
사회
원불교 100년 소태산기념관 한강 노량진 랜드마크···정상덕 집행위원장 “해닮은 일원상”
[아시아엔=편집국] 세계교화의 꿈을 안고 신축한 원불교소태산기념관(소태산기념관)이 5월 30일 동작구청으로부터 조건부 사용승인을 받았다. 지난 5년간 소태산기념관 신축 불사의 실무를 맡아온 정상덕 건축추진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원불교100년성업봉찬사업의 일환으로 준공된 소태산기념관은 ‘세계교화 기반 마련의 업무동’과 ‘미래교화 모델 창출의 종교동’이 상생·공존함으로써 원불교 2세기 희망을 여는 책임을 부여받았다”고 말했다. 지난 5년간 소태산기념관 신축 불사의 실무를 맡아온 정상덕…
더 읽기 » -
서아시아
[정상덕의 평화일기] 3월의 흙길은 너무 빨리 걷지 맙시다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3월의 이른 아침, 제가 사는 전남 영광군 백수읍 길룡리 원불교 영산성지 영산원 앞마당을 슥슥~씁니다. 지난 겨울 발견하지 못했던 길모퉁이 파릇파릇 새싹이 올라와 있습니다. 고개를 숙여 자세히 들여다보니 모래와 돌 사이를 뚫고 나오는 생명, 차갑게 얼었던 땅을 헤집고 나온 상사화 어린 싹입니다. 빗자루를 놓고 한동안 서로 마주 봅니다.…
더 읽기 » -
사회
[책산책] 온몸으로 쓴, 정상덕의 재미있는 ‘평화일기’
[아시아엔=이상기 기자, 김혜원 인턴] 4월 27일과 5월 26일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다. 그리고 6월 12일엔 북미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하지만 이는 평화로 나아가는 하나의 과정일 뿐, 일희일비하기엔 아직 이르다. 앞으로도 한반도 평화를 위한 각고의 노력은 지속돼야 하며 그렇게 될 것이다. 7000만 한민족 모두가 평화를 꿈꾸고 있음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평화’가 대한민국의 가장 중요한 화두로…
더 읽기 » -
칼럼
[정상덕의 평화일기] ‘환갑 마라토너’ 강명구의 자나깨나 꿈은 평화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마라톤에는 고통이 기본으로 뒤따른다. 그러나 고통이 전부는 아니다. 많은 사람이 마라톤에 열광하는 것은 고통 속에서 승화된 최고의 환희를 맛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의 미국 대륙횡단 마라톤은 기본적으로 고통의 연속이다. 그러나 고통 속에서 피어나는 희망의 꽃, 고통이 지나고 나면 찾아오는 잊을 수 없는 환희, 그것을 체험하러 홀연히 길을…
더 읽기 » -
사회
[정상덕의 평화일기] 조울증·피해망상증···병든 세상 치료가 평화다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원불교 100주년기념관추진위 집행위원장] 지난 주, 두 가지 사건 소식에 마음이 아프고, 기도는 깊어진다. 하나는 아파트 외벽에서 도색작업을 하던 노동자의 안전줄을 고의로 끊어 사망케 한 사건이다. 경남 양산시의 한 아파트 옥상 근처 외벽에서 30∼40대 인부 4명이 실리콘 코팅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밧줄에 의지한 채 고층에서 일하는 두려움을 잊기라도…
더 읽기 » -
사회
[정상덕의 평화일기] 김대중 대통령의 ‘평화’와 원불교 정산 종사의 ‘삼동윤리'(三同倫理)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내가 김대중 전 대통령을 처음 뵌 것은 1987년 여름 조선대학교 강연에서였다. 수많은 사람들 사이로 들려오는 우렁찬 목소리의 강연은 역사를 배울 수 있는 명강이었다. 정치의 양면성을 넘어서는 절절한 호소의 강연은 동학농민의 저항정신, 3.1운동의 자주정신, 그리고 4.19혁명의 민주주의를 하나로 연결하였고, 그 연장으로 평화통일의 미래 구상을 담아냈다. 특유의 문답식 연설과…
더 읽기 » -
동아시아
[정상덕의 평화일기] 사드 배치 성주 소성리 원불교평화교당 앞 ‘참새와 평화’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2017년 대한민국 평화1번지 성주 소성리 진밭교 삼거리, 전쟁무기 사드가 가까이 보이는 마지막 오르막길에 원불교평화교당이 설치된지 벌써 88일째다. 6월 4일 새벽 5시 기도를 올린 후 가장 먼저 찾아오는 벗이 참새가족들이다. 짹짹짹 엄마와 아들 참새가 다가와 아스팔트 위의 모이를 고르고 쫀다. 혼자 온 덩치큰 참새는 두리번 거린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더 읽기 » -
칼럼
[정상덕의 평화일기]공기(空氣)의 은혜 잊고 살아온 반성문을 쓰자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 교무] 15년 전 인도봉사활동 중 방문한 수도 델리의 추억을 잊을 수 없다. 서울 크기의 3배에 달하는 델리의 아침 공기는 인간이 활동하기엔 최악의 조건이었다. 마스크 없이는 숨을 쉬기 힘들 정도였고 100m 앞을 볼 수 없을 정도였다. 그 원인의 첫번째로는 3급수 경유를 사용하는 차량들과 청결에 대한 낮은 의식 수준이었다. 요즘…
더 읽기 » -
동아시아
문재인 시대 공직자에게 꼭 필요한 덕목은?
주인으로 섬기는 공직의 자리를 맞게 되는 그들을 향한 나의 기도도 깊어간다. 자리에 따른 능력과 경험 그리고 인기도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한 것은 본인을 살피는 마음과 사람을 대하는 마음 그리고 국가를 생각하는 마음 살핌이 아닌가 싶다. 나는 이분들의 지녔으면 하는 마음가짐을 떠올려 보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존경하는 세종대왕이 국민을 대하는 마음을 보자. “임금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정상덕 교무의 평화일기] 사드 전격배치와 코르뷔지에 ‘4평 오두막’
[아시아엔=정상덕 원불교사회개벽교무단 교무, 원불교10년성업회 사무총장] 존경하는 건축가 한 분이 있다. 스위스 태생인 프랑스의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다. 근대적 건축양식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근대건축의 선구자적 역할을 한 그는 언제나 ‘인간을 위한’ 건축을 했다. 산업혁명 후에 도시로 몰려든 서민 주거를 위해 공동주택을 창안하기도 했다. 다시 말하면 건물의 외형에 장식적인 것들을 제거하고 기능적으로 사람을…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