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만

  • 사회

    [브라만교·불교·힌두교는 한 뿌리②] 인도의 뿌리깊은 신분차별 ‘원조’ 브라만교

    브라만교의 탄생 [아시아엔=홍익희 세종대 교양학부 교수, <유태인 이야기> 저자] 카스트제도는 아리안이 기원전 15세기경 인도를 침입하여 원주민인 드라비다족을 정복하고 지배층으로 등장하면서 자신들의 지배를 합리화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북부 인도에 침입해 온 아리안은 원주민을 평정한 다음 지배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 ‘바루나’(Varna)라 불리는 신분제도를 만들었다. ‘바루나’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색’을 의미한다. 결국 피부색에 의해 신분이…

    더 읽기 »
  • 사회

    [브라만교·불교·힌두교는 한 뿌리③] 불교 부처님 열반 300년 뒤 아소카왕때 전성기

    불교 탄생으로?브라만 쇠락? [아시아엔=홍익희 세종대 교양학부 교수, <세 종교 이야기> <유태인 이야기> 저자] 브라만 중심의 지배질서에 맞선 신흥세력들이 갠지스강 유역에서 힘을 키웠다. 그리고는 누구든 전생의 업으로 비롯된 운명에 충실해야 더 나은 생을 얻는다는 브라만식 사상 대신 인간의 운명이란 각자 행하기 나름이고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붓다사상을 받아들였다. 붓다의 일깨움은 평소 하층계급과…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