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기복

자유기고가
  • 동아시아

    [내고향 영멀⑩] 동생 꽃상여와 공군 헌병대 추억

    나의 인생에 또 다른 기억은 사랑하는 동생을 잃어버린 아픔이다. 입대하여 한참 군대생활에 재미가 붙을 때였다. 사천비행장이 한참 활주로 공사가 진행되던 1969년 6월 16일 교대근무를 위하여 저녁을 마치고 나가는데 한 장의 전보를 받는다. “교통사고 기식 사망 급래” 어제 밤꽃 냄새를 맡으며 산길을 가는 꿈을 꾸었는데 눈앞이 깜깜하였다. 군산 메디칼센터 시체실. 아이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내고향 영멀⑨] 그때 그 시절, ‘회한’도 ‘감사’도 가득

    그립고 보고 싶은 얼굴, 떠나간 사람, 남들은 떠난 사람을 잊으라 하지만 그리움이 더해간다. 60년대 그 어려웠던 시절, 충청도 서천군 기산면 소재지, 사시절 마르지 않는 개울을 따라 봄이면 찔레꽃 자운영 붉은 빛, 쑥 바탕 삐비 바탕…. 쪽다리를 지나면 퉤 퉤 퉤, 의미도 모르고 침 세번 뱉던 서낭당. 한낮에도 무서운 상여집, 여우굴 지나 멀리…

    더 읽기 »
  • 동아시아

    [내고향 영멀⑧] 평생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얼굴들

    작은할아버지 집에서 큰할아버지 댁에 가는 길에 ‘돌간’이란 이름의 아저씨가 살았는데 나는 그 사람이 무서웠다. 장애인이어서 어린 내게 낯설었지만 따뜻한 심성의 사람임을 훗날에야 알았다. 큰할아버지 댁 마당에는 큰 샘이 있고, 사랑채와 안채 집 뒤에는 키 큰 감나무가 있었다. 조그만 마루도 있었는데 외삼촌은 창호지와 대나무를 깎아 연을 만들어 주고 겨울에는 앉은뱅이 썰매를…

    더 읽기 »
  • 사회

    [내고향 영멀⑦] 호수돈여고 가는 길 국화빵 추억

    서천읍에서 대전행 버스를 타면 벌써 코에서 휘발유 냄새가 나기 시작한다. 아버지는 차표를 끊어주시고 활명수같은 체증약을 먹으라고 하셨지만 활명수를 먹어도 차 멀미는 마찬가지다. 서천 차부에서 출발한 버스가 읍내를 벗어나서 더털더털 흔들어대며 몇 고개를 지나가면 머리가 지끈지끈 하는데 백마강이 가까운 홍산에 닿으면 멀미는 더욱 심해진다. 그때부터 내 눈은 버스 창문 손잡이만 바라보고…

    더 읽기 »
  • 동아시아

    [내고향 영멀⑥] 하얀나비의 두 느낌…’설레임’과 ‘괜한 걱정’

    대전 호수돈여고 가는 언덕배기 국화빵집에서는 달고 맛좋은 단팥빵을 굽는다. 복숭아밭이 있는 용머리 고개를 넘으면 오리나무 짙은 그늘 아래 사범학교 미술관과 음악실이 나타난다. 음악실에서 울려나는 목관악기와 오르간 소리는 빠앙~ 하고 달려오는 호남선 기적소리도 잠재울 듯하다. 어느 새 언덕 위 침례신학대학에서 낯선 이국 사람들이 나온다. 언덕을 내려가면 사시사철 기름 냄새 고소한 꽈배기…

    더 읽기 »
  • 동아시아

    [내고향 영멀⑥] 나의 스승, 나의 노래···”그 시절 그 친구들 지금 어디에”

    내게도 이따금 생각나는 스승 한 분이 계시다. 초등학교 4학년부터 3년을 담임하셨던 박종각 선생님이시다. 넘겨진 올백 머리에 힘이 느껴지는 표정. 매화꽃 핀 나무 아래서 지은 작문 때문에 칭찬받은 기억이 있다. 공주 사범을 마치고 갓 부임하신 선생님의 열정에 우리는 중학생 될 꿈에 부풀어 있었고 후일 선생님처럼 되는 것이 꿈이었다. 그때 선생님이 지으신…

    더 읽기 »
  • 동아시아

    [내 고향 영멀⑥] 서울 중앙시장 쌀 팔러간 아버지의 ‘추억’

    7, 8월 장마철 개울이나 웅덩이에 나가면 살이 오른 참게가 무거운 몸을 이끌고 엉금엉금 기어 나온다. 한낮 물가에 나가 통발을 대고, 물이 흐르는 물꼬에 하얀 자갈을 깔아놓고 이슬 먹으러 기어 나오는 참게를 기다리는 것이었다. 물속에서 나온 게는 오랫동안 숨을 쉬지 못하여 진한 거품을 품어내는데 그 부글거리는 소리가 그렇게 좋았다. 장마가 지면…

    더 읽기 »
  • 문화

    [오늘의 시] ‘우리동네 양서방’ 우기복

    우리동네 양서방 아드 이냐. 따 이냐 두근반 세근 반 아들 이냐. 딸 이냐 두근반 두근반 햇살좋은 아침 아이 기다리는 양서방의 똥줄이 타네. 삽작에 동아줄 엮어 누리고 붉은 고추 껌정숯 몇 개 걸었으니 아들 이야.

    더 읽기 »
  • 동아시아

    [내고향 영멀⑤] 서천역으로 아버지 마중 가던 그 밤길의 추억

    어린 시절 추억은 누구에게나 아련하고 소중하기만 합니다. 힘들고 고단할 때는 그 시절을 자주 재생해 내곤 합니다. 기억은 추억을 낳고 추억은 어느새 전설이 됩니다. <아시아엔>은 젊은시절 신춘문예를 두드리며 고향의 향기를 글로 담아온 우기복씨의 수필을 독자들께 전합니다. 충청도 향토색 짙는 언어와 살아오면서 채워지지 않는 순간 순간을 함께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편집자> [아시아엔=우기복 자유기고가] 7~8월 장마철…

    더 읽기 »
  • 동아시아

    [내고향 영멀④] “예배당 종 치던 돌간이 형, 그때 참 미안했어요?”

    어린 시절 추억은 누구에게나 아련하고 소중하기만 합니다. 힘들고 고단할 때는 그 시절을 자주 재생해 내곤 합니다. 기억은 추억을 낳고 추억은 어느새 전설이 됩니다. <아시아엔>은 젊은시절 신춘문예를 두드리며 고향의 향기를 글로 담아온 우기복씨의 수필을 독자들께 전합니다. 충청도 향토색 짙는 언어와 살아오면서 채워지지 않는 순간 순간을 함께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편집자> [아시아엔=우기복 자유기고가] 오늘은 오래된…

    더 읽기 »
  • 동아시아

    [내고향 영멀③] “가늘고 긴 어머니 노래는 언제 들어도 구슬퍼”

    어린 시절 추억은 누구에게나 아련하고 소중하기만 합니다. 힘들고 고단할 때는 그 시절을 자주 재생해 내곤 합니다. 기억은 추억을 낳고 추억은 어느새 전설이 됩니다. <아시아엔>은 젊은시절 신춘문예를 두드리며 고향의 향기를 글로 담아온 우기복씨의 수필을 독자들께 전합니다. 충청도 향토색 짙는 언어와 살아오면서 채워지지 않는 순간 순간을 함께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편집자> [아시아엔=우기복 자유기고가] 소리를 낮추어…

    더 읽기 »
  • 사회

    [내고향 영멀②] 6.25전쟁의 아픈 기억들

    [아시아엔=우기복 자유기고가] “인생의 목숨은 초로와 같고/ 고구려 삼천리 역사 반년···이몸이 죽어서 나라가 선다면/ 아아 이슬같이 죽어 깨나라” 초성 좋은 춘매 외삼촌이 부르던 노래는 생각만 하여도 목이 메인다. 우리 동네는 면 소재지여서 인민군들이 제일 먼저 찾아왔는데, 밤이 되면 남자들은 동네에서 몸을 피해야 했다. 어느 날 밤, 미군 ‘쌕쌕이’가 쏘아대던 따발총 소리에…

    더 읽기 »
  • 사회

    [내고향 영멀①] 고구마 반쪽의 행복···1950년대 서천 시골 아스라이

    어린 시절 추억은 누구에게나 아련하고 소중하기만 합니다. 힘들고 고단할 때는 그 시절을 자주 재생해 내곤 합니다. 기억은 추억을 낳고 추억은 어느새 전설이 됩니다. <아시아엔>은 젊은시절 신춘문예를 두드리며 고향의 향기를 글로 담아온 우기복씨의 수필을 독자들께 전합니다. 충청도 향토색 짙는 언어와 살아오면서 채워지지 않는 순간 순간을 함께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편집자> [아시아엔=우기복 자유기고가] 어려웠던 시절…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