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혁재

자유기고가
  • 동아시아

    [손혁재의 대선 길목 D-75] 대선후보한테 최고로 받고 싶은 성탄선물은?

    하늘엔 영광, 땅 위엔 평화. 크리스마스 이브입니다. 기독교 신자나 가톨릭 신자가 아니어도 한 해가 가고 새해가 오는 연말연시와 맞물려 있어 크리스마스에는 시민들의 마음이 다소 들뜨기도 합니다. 올해는 지난해에 이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화로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가라앉은 듯합니다. 크리스마스 하면 가장 먼저 머리에 떠오르는 건 바로 선물입니다. 붉은 코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2.24] 손병희 제3대 동학교주 취임(1897)·모택동 전처 강청에 사형 구형(1980)·허영호 에베레스트 등정(1987)

    “…그대에게 제가 드릴 성탄 선물은…예수님의 사랑/그 사랑 안에 꽃피고 열매 맺은 우정의 기쁨과 평화…죄가 많아 숨고 싶은 우리의 가난한 부끄러움도 기도로 봉헌하며/하얀 성탄을 맞이해야겠지요?…못다 부른 감사의 노래를 함께 부르기로 해요./친구여, 알고 계시지요?/아기예수의 탄생과 함께 갓 태어난 기쁨과 희망이 제가 그대에게 드리는/아름다운 새해 선물인 것을…”-이해인 ‘성탄 편지’ 1818년 오늘 바이에른 왕과…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2.23] 한글학자 주시경 탄생(1876)·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1915)·도쿄타워 준공(1958)·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준공(1970)

    “고요하고 어두운 밤이 오면은/어스레한 등불에 밤이 오면은/외로움에 아픔에 다만 혼자서/하염없는 눈물에 저는 웁니다//제 한 몸도 예전엔 눈물 모르고/조그마한 세상을 보냈습니다/그때는 지난날의 옛이야기도/아무 설움 모르고 외웠습니다//그런데 우리 님이 가신 뒤에는/아주 저를 버리고 가신 뒤에는/전날에 제게 있던 모든 것들이/가지가지 없어지고 말았습니다//그러나 그 한때에 외워 두었던/옛이야기뿐만은 남았습니다/나날이 짙어가는 옛이야기는/부질없이 제 몸을 울려줍니다” -김소월(1934년…

    더 읽기 »
  • 동아시아

    [손혁재의 대선 길목 D-76] 득표율 99.9% 대통령, 반세기 전 대한민국에서…

    투표율 100% 득표율 99.9%. 이런 선거 결과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실제로 우리나라 대통령선거에서 나온 기록입니다. 1972년 오늘 실시된 제8대 대통령 선거결과입니다. 장충체육관에서 헌정사상 첫 번째 치러진 체육관선거에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2,359명은 단 한 명도 빠지지 않고 출석해 박정희 후보를 대통령으로 선출했습니다. 홀로 입후보 등록을 한 박정희 후보에 대한 반대표는 단 한…

    더 읽기 »
  • 정치

    [손혁재의 대선 길목 D-77] 이재명·윤석열의 가족 리스크와 ‘타산지석 이회창’

    D-77. 어제는 안개가 짙게 끼었습니다. 대선 기상도도 여전히 짙은 안개속입니다. 이재명 윤석열 두 후보의 지지율이 엎치락뒤치락하고 있지만 박스권에 갇혀 치고나가지 못하는 형국입니다. 여기에 ‘가족 리스크’라고 하는 미세먼지가 두 후보 앞에 자욱하게 끼었습니다. 게다가 윤 후보에게는 이준석 대표가 선대위에서 손을 떼는 돌풍까지 덮쳤습니다. 이재명 후보의 가족 리스크는 아들 리스크입니다. 아들의 불법도박…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2.22] 하와이 이민 121명 인천항 출발(1901)·일본 내각제 도입(1885)·KTX 경강선 개통(2017)

      “꽃잎 속에 감싸인 황금벌레가/몸 오그리고 예쁘게/잠들 듯이//동짓날 서산 위에/삐죽삐죽 솟은 설악산 위에/꼬부려 누운//초승달//산이 한 송이 꽃이구나//지금 세상 전체가/아름다운 순간을 받드는/화엄의 손이구나”-이성선 “꽃 한 송이‘ 12월 22일 오늘은 동지-동지를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많은 곳에서 축제일이나 1년의 시작일로 삼았음-동지 이후로 낮의 기운이 점점 커지므로 아이들이 학문을 깨우쳐 밝게 커 가기를…

    더 읽기 »
  • 사회

    [손혁재의 대선 길목 D-78] 최단 재임 체육관대통령 최규하

    ‘체육관선거’ ‘체육관대통령’을 기억하십니까? 대통령을 직접선거로 뽑지 않고 간접선거로 뽑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1972년부터 1988년까지 16년 동안, 제8대 대통령부터 제12대 대통령까지 5대에 걸쳐 세 명의 대통령이 간접선거로 뽑혔습니다. 선거권자들이 장충체육관에 모여 대통령을 뽑았기에 체육관선거 체육관대통령이라 불렀던 겁니다. 시민의 대통령 선출권을 박탈하고 체육관 선거를 만든 사람은 박정희 대통령입니다. 1969년 3선개헌으로 대통령 중임제한을 철폐하고…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2.21·동지] 흥선대원군 출생(1820)·이세돌 9단 은퇴(2019)·中광둥성 대규모 정전사태(2020)·조용수 민족일보 사장 사형(1961)

    “후미진 골목 두 번 꺾어들면/허름한 돈암곱창집/지글대며 볶아지던 곱창에/넌 소주잔 기울이고/난 웃어주고/가끔 그렇게 안부를 묻던 우리//올해 기억 속에/너와 만남이 있었는지/말로는 잊지 않았다 하면서도/우린 잊고 있었나 보다/나라님도 어렵다는 살림살이/너무 힘겨워 잊었나 보다//12월 허리에 서서/무심했던 내가/무심했던 너를/손짓하며 부른다//둘이서/지폐 한 장이면 족한/그 집에서 일년치 만남을/단번에 하자고”-목필균 ‘송년회’ “위로나 위안을 전혀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더 읽기 »
  • 정치

    [손혁재의 대선 길목 D-79] 이명박·박근혜 전직 대통령 사면복권

    일찍이 이런 대선은 없었다는 지적들이 여기저기서 나옵니다. 최선의 후보를 뽑아야 하는데, 어떻게 된 게 이번 대선은 최악의 후보를 뽑지 않도록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한탄도 나옵니다. 심지어는 최악의 경우 이재명 윤석열 두 후보 모두 물러나고 다른 후보들로 대선을 치르는 사태가 벌어질지 모른다는 기상천외한 이야기까지 떠돕니다. 두 후보 모두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 12.20] 윤여정 ‘미나리’로 LA비평가협회 여우조연상(2020)·

    세계인류연대의날(International Human Solidarity Day) “사람 떠나고 침대 방향 바꾸었다/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것뿐/이불과 베개 새것으로 바꾸고/벽으로 놓던 흰머리 창가로 두고 잔다/밤새 은현리 바람에 유리창 덜컹거리지만/나는 그 소리가 있어 잠들고/그 소리에 잠깬다, 빈방에서/적막 깊어 아무 소리 들을 수 없다면/나는 무덤에 갇힌 미라였을 것이다, 내가/내 손목 긋는 악몽에 몸서리쳤을 것이다/먹은 것…

    더 읽기 »
  • 정치

    [손혁재의 대선 길목 D-80] 17대(이명박·정동영) 18대(박근혜·문재인) 대선의 추억

    12월 19일 오늘은 3명의 대통령이 탄생한 날입니다. 2002년 오늘 제16대 대통령선거에서는 노무현 후보가, 2007년 오늘 제17대 대선에서는 이명박 후보가, 2012년 오늘 제18대 대선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당선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세 대통령 모두 검찰의 수사를 받았고, 이명박 박근혜 두 대통령은 지금 옥살이를 하고 있습니다. 2002년 오늘 제16대 대통령선거가 치러졌습니다. 투표율은 70.8%에 노무현 후보가…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 12.19] 윤봉길 오사카형무소 순국(1932)·이명박(2007)·박근혜 대통령 당선(2012)·인도차이나 전쟁 발발(1946)

    유엔 남남협력의 날(United Nations Day for South-South Cooperation) “…근하신년이라고 찍힌 활자 밑에/이름 석 자 적는다/아직 살아있다는 신호등/네게 이르지 못한 불빛이/아직 꺼지지 않고 있다는 표시//해마다 눈 오는 12월/그때쯤에서 생각나는 사람…올해도 근하신년 그 밑에/이름 석 자 적고/그날부터 잊기 시작하는 사람”-이생진 ‘연하장’ 12월 19일 오늘은 유엔 남남협력의 날, 개발도상국 간 협력을 강조하는 날…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 12.18] ‘별에서 온 그대’ 첫 방송(2013)·한일협정 발효(1965)·덩샤오핑 개혁개방정책 공식화(1978)

    국제 이주노동자의 날 “눈이 오는가 북쪽에/함박눈 쏟아져 내리는가/험한 벼랑을 굽이굽이 돌아간/백무선 철길 위에/느릿느릿 밤새워 달리는/화물차의 검은 지붕에/연달린 산과 산 사이/너를 남기고 온/작은 마을에도 복된 눈 내리는가/잉크병 얼어드는 이러한 밤에/어쩌자고 잠을 깨어/그리운 곳 차마 그리운 곳/눈이 오는가 북쪽엔/함박눈 쏟아져 내리는가” -이용악 ‘그리움’ 12월 18일 오늘은 국제 이주노동자의 날 -1990년 오늘 유엔이…

    더 읽기 »
  • 정치

    [손혁재의 대선 길목 D-81] 14대(김영삼·김대중·정주영)·15대(김대중·이회창·이인제) 대선의 추억

    ‘3김’이라는 이름으로 묶이는 정치인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모두 세상을 떠난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 김종필 국무총리입니다. 두 사람은 대통령이 되었고, 한 사람은 대통령이 되지 못하고 국무총리만 두 번 했습니다.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지만 ‘3김정치’라는 말이 청산되어야 할 낡은 정치의 대명사처럼 쓰이던 때도 있었습니다. 우연히 비슷한 연배에 비슷한 시기에 정치를 했던데다 성이…

    더 읽기 »
  • 동남아시아

    [손혁재의 대선 길목 D-82] 여론조사는 투표가 아니다

    민주주의 정치는 여론 정치입니다. 시민의 뜻에 따라 정부가 들어서고, 시민의 뜻에 따라 정책이 결정되고 집행됩니다. 정치인들이 가장 많이 입에 달고 사는 말도 민심 또는 민의입니다. 정반대되는 이야기를 하면서 서로 민심을 들먹입니다. 이 당이 내세우는 민심과 저 당이 내세우는 민심이 서로 다르면 진짜 민심이 어떤지 궁금해집니다. 민심이 바로 여론입니다. 여론조사는 민주주의…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