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시대의 마이스 산업 2] ‘컨트롤 타워’ 바로 서야 질적 성장 이룬다

서울 강남의 한 전시장 입구.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집합금지 명령 이후 사실상 개점휴업상태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장기화됨에도 불구, 마이스 산업의 현실을 반영한 지원은커녕 제대로 된 피해 현황 집계조차 어려운 것이 현주소다. 마이스 산업을 한 곳이 아닌 두 곳의 정부 부처가 담당하는 바람에 제대로 된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오성환 이오컨벡스 대표는 “마이스 산업은 크게 전시회 분야와 컨벤션 분야로 나눠진다. 국내 마이스 산업은 1996년 김영삼 정부 때 문체부 산하 한국관광공사의 주도로 ‘국제회의 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문체부는 국제회의를 포함한 컨벤션 분야를 담당하고 있으며, 산자부는 1998년 ‘전시산업발전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전시회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문제는 ‘전시산업발전법’이 전시회가 아닌 무역 활성화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라고 설명했다.

오 대표는 “개인적으론 문체부 한 곳에서 마이스 산업을 담당하면서 체계화된 행정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산업의 발전에 더 도움이 된다고 본다. 현재 한국관광공사와 문체부 내의 융합관광산업과가 마이스 산업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데, 관광산업 유치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산업 전반을 다루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문체부의 융합관광산업과에서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 동시에 더 많은 전담 인력을 배치해 적극적인 행정에 나섰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우 피오디 커뮤니케이션즈 대표 <사진=피오디커뮤니케이션즈>

이정우 피오디 커뮤니케이션즈 대표는 “소관부처에 따른 혼란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컨트롤타워 기능을 할 수 있는 부처나 기관이 마련된다면 행정적인 낭비도 줄이고,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통해 마이스 산업의 질적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스 산업은 현재까지 담당 기관이 문체부와 산자부로 분리되어 있기에 법 근거 및 부처의 성격에 따라 일관된 기준으로 정책을 수립해 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는 코로나 19로 인해 전시 및 컨벤션 분야가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이 될 만큼 마이스 산업의 피해가 컸지만, 전시 분야와 컨벤션·국제회의 분야의 정부 지원에 격차가 존재했던 이유이기도 했다.

이 대표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산업의 범위와 용어, 법적인 근거 등을 정리해야 한다. ‘마이스 산업’ 이라고 지칭하지만 MICE는 하나의 산업이 아닌 각 분야별 산업을 묶은 용어이기 때문에 산업을 분류하는 정확한 기준이 없으며, 정책제안, 제도개선, 정부 지원사업 등의 계획을 일관되게 수립하고 수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컸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시 분야는 무역, 비즈니스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검토가 이루어진 정부 주도의 방역지침 및 자가격리 면제 사유 포함 등의 지원이 발 빠르게 이루어 졌고, 오프라인 행사도 컨벤션 및 국제회의 분야보다 빨리 재개될 수 있었다. 반면, 학술 측면에서 뒤늦게 검토가 이루어진 컨벤션 및 국제회의 분야는 자가격리 면제를 받거나 방역지침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며 “마이스 산업의 카테고리 중 하나인 ‘컨벤션’은 관광분야에 포함이 되어있으나 단순히 외래관광객 유치 등과 같은 관광 측면 만이 아닌 ‘산업’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컨벤션 분야를 ‘단순한 집합'(mass gathering)이 아닌 경제, 학술, 비즈니스 분야의 필수적인 플랫폼, ‘비즈니스 이벤트'(Business Events)로 인식해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야외전시장에서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는 싱가포르 시민들. 싱가포르는 전세계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마이스 산업을 육성하고 있는 국가로 손 꼽힌다. <사진=EPA/연합뉴스>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마이스 인프라 구축한 싱가포르, 2019년 22조원 수익

전세계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마이스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고 평가 받는 싱가포르의 경우, 관광청 산하의 ‘싱가포르 전시 컨벤션국’(SECB)이 마이스 산업을 전담하고 있다. 이 기관은 중앙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세계 20개국에 지사를 두고 기업 회의 및 각종 국제행사를 유치하는 등 컨트롤 타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싱가포르는 2019년 기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877건의 국제행사를 개최했으며, 이를 통해 약 22조 200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산업의 인프라와 컨트롤 타워의 유무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마이스 산업의 베테랑인 오 대표와 이 대표는 국내 마이스 산업이 양적 팽창이 아닌 질적 성장, 그 중에서도 고급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 대표는 “국내 마이스 산업은 연 평균 7.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역사가 짧다. 정부에서 컨벤션 센터 건설 등을 통해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지만 나서고 있지만, 제도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아직 부족하다. 결국 사람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다 보니 가장 중요한 것은 고급인력의 양성이다”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에 대해 “현재 국내에는 컨벤션 고등학교와 컨벤션 관련 다양한 학과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관련 학교와 학과들도 추가적으로 신설될 예정이다.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고 발전되고 있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렇게 양성된 우수한 인력들이 산업을 떠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이스 산업 종사자들은 사회적인 인정이나 노동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저임금 구조는 우수인력 이탈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고질적인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마이스 산업에선 최근 ‘스마트 비대면 마이스’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AI나 IoT 등 첨단기술을 통한 ‘스마트 비대면 마이스’를 도입하면 물리적 한계를 극복함은 물론 질적 성장까지 추구할 수 있다.

오 대표는 “ICT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거리의 제약이 많이 사라지게 되면서 컨벤션 산업의 수요가 훨씬 커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직접 만나 물리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 아니라 첨단기술을 이용해 거리의 제약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산업의 양상 자체가 바뀌게 된다는 뜻이다.

실제로 마이스 업계는 향후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상에서 행사를 진행하는 일이 압도적으로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오 대표는 이에 대해 “IT 산업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관련 인력들을 유입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업의 목소리 귀 기울인 실효성 있는 정책이 절실

오성환 대표는 한국마이스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이정우 대표는 현재 한국마이스협회 이사를 맡고 있다. 국내 마이스 산업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정부나 협회에 바라는 점은 무엇일까.

오 대표는 “협회나 정부 쪽에서 단순히 마이스 산업, IT 산업으로 나누기 보다는 이러한 추세에 맞춰 복합적인 역량을 지닌 인재 양성 등에 지원을 해준다면 좋겠다. 그와 더불어 정책을 추진할 때 기업들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 더욱 실효성 있는 정책, 현실적인 문제를 반영한 정책을 추진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국내 마이스 기업의 역량을 조금만 더 믿고 맡겨줬으면 한다. 양적 성장은 어느 정도 이루어 냈다. 질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뒷받침된 제도적인 개선이 이루어졌으면 한다”고 밝혔다.

인터뷰를 통해 두 대표는 제도적인 개선을 강조했다. 국내 마이스 산업은 길지 않은 세월 동안 주목할만한 성장을 이뤄냈다. 코로나 19로 인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지속적인 질적 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선 정부와 기업 간의 보다 긴밀한 협력과 이를 뒷받침 하는 정책적인 인프라가 필요해 보인다.(끝)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