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11일] 2000년 인도 공식인구 10억 돌파
2007년 남북, 서해 공동어로 원칙 합의
2007년 5월11일 남북 군 당국이 서해 해상분계선 인근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어로 작업을 한다는 데 합의했다. 남북은 이날 판문점 북쪽 판문각에서 나흘째 장성급 군사회담을 벌인 끝에 서해 연평도 인근에서 공동 어로수역을 설정하기로 합의했다. 남북은 또 6일 뒤인 5월17일 경의·동해선 열차 시험 운행을 군사적으로 보장하기로 합의해 반세기 만에 열차가 군사분계선을 넘나들게 됐다.
남북은 ‘서해 공동 어로 실현’ 등 5개항의 합의 사항이 담긴 공동보도문과, 17일 열차 시험운행에 필요한 ‘동·서해 지구 남북 관리구역 일시도로 통행의 군사적 보장을 위한 잠정 합의서’를 발표했다. 남북은 또 7월에 제6차 장성급 회담을 열기로 하고, 이른 시일 안에 제2차 남북 국방장관 회담이 열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남북은 공동보도문을 통해 “해상에서의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고 공동어로를 실현하는 것이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를 정착시켜나가는 데서 시급히 해결할 과제라는 데 견해를 같이했다”며, △서해 평화 정착과 민족 공영공리 도모 원칙에서 공동어로 실현 △서해상 군사적 충돌 방지 및 공동 어로 수역 설정 등과 관련한 문제 계속 협의 등에 합의했다. 남북은 또 서해에서 군사적 신뢰가 조성되는 대로 북쪽 민간 선박들이 서해 북방한계선을 지나 해주항으로 곧바로 드나드는 직항문제를 협의하기로 했다.
5년 뒤인 2012년 5월11일 남한의 방송 MBC는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10일 핵 무기 개발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그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핵 억제력을 비롯한 국방력을 더욱 강화해 존엄과 자주권을 끝까지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조평통 대변인은 “괴뢰패당과 미국이 무슨 비용이니 뭐니 하며 북한을 걸고드는 것은 선군위력에 질겁한 자들의 최후발악적 망동이며 철통 같은 일심단결을 허물어보려는 가소로운 수작”이라고 말했다.
시간이 지나면 또 분위기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
2000년 인도 인구 10억 돌파
2000년 5월11일 인도 인구가 공식적으로 10억을 넘어섰다. 중국에 이어 2번째다. 인도에서는 평균적으로 매분 29명, 하루로 치면 4만2천명씩 신생아가 태어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출생기록도 명확치 않고 해서 사실 인도의 정확한 인구는 아무도 모른다.
이 때문에 유엔개발계획(UNDP)같은 기구는 1999년 8월15일로 10억명으로 넘어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정부와 유엔인구기금(UNFPA)은 5월11일을 ‘10억 달성일’로 설정했다. 이날 낮 12시20분 뉴델리 사프다랑 병원에서 출생, 10억번째 인구로 공식 지명된 여자아기는 힌두어로 믿음을 뜻하는 ‘아스다’란 이름이 지어졌다.
1901년 지금의 파키스탄-방글라데시 지역까지 포함해 2억3800만이던 인도 인구는 100년만에 5배로 늘어나면서 2000년 당시 세계인구 60억중 6분의1을 차지하게 됐다. 1년에 1500여만 명씩 새로 태어나고 있는 인도는 현 추세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 50년내에 인구 15억 명에 이르러 중국을 앞지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2001년 인도 인구조사 결과 1억2701만5248명으로, 2000년을 10억 달성 해로 인정할 경우 불과 한 해 동안 27%나 증가했다. 놀라움을 넘어 무서운 증가세다. 지난 2005년 기준 인도 인구는 어림셈으로 11억3371만 명. 5년 사이에 1억3371만 명, 남한 인구의 3배 가량이 새로 태어났다.
1990년 한국의 이문옥 감사관, 감사원 비리 공개
1990년 5월11일 “한국의 감사원이 대기업의 비업무용 부동산에 대한 감사를 벌이다 로비 등으로 감사를 갑자기 중단한 사실”이 일제히 언론에 보도됐다. 감사원의 감사비리를 세상에 드러낸 사람은 감사원 소속 공무원 이문옥 감사관이었다.
그는 몸담고 있는 조직의 불법·위법 등 공익을 해치는 행위에 대해 호루라기를 불어 알린 전형적인 ‘내부고발자(Whistle Blower)’였다. 그의 고발로 감사원과 정·관계, 재벌기업의 각종 비리가 잇달아 드러나 한국 사회는 투명하고 효율적이며 정의로운 사회로 거듭날 전기가 마련됐다.
그러나 그것은 이론적으로 그런 것이었고, 다른 나라 얘기였다. 그는 구속까지 당했고, 감사원에서 쫓겨나야 했다. 이 감사관 말고도 1992년 군 부재자 투표의 부정을 고발한 이지문 중위, 1996년 감사원의 효산그룹에 대한 감사중단을 고발한 현준희씨, 1990년 보안사의 민간인 사찰을 폭로한 윤석양 이병, 1992년 관권 선거를 고발한 한준수 연기군수 등이 있다.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내린 건설기술연구원의 김이태 박사, 삼성그룹 출신 김용철 변호사 등은 이런 의인들과 함께 분류하기가 어렵다.
이들은 모두 각계의 청렴도 등을 높이는 큰일을 해내고, 양심을 지켰다. 그러나 그 대가는 가혹하다. 공익제보자 9명의 이야기를 담은 <불감사회>란 책은 내부고발자들이 얼마나 큰 대가를 치르는지 잘 보여준다. 9명 가운데 1명은 자살했고, 5명은 다니던 직장을 쫓겨나야 했다. 6명은 자살유혹까지 느꼈다.
현준희 감사관은 지난 2011년 기자와 만나 “다시 태어난다면 공직제보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말에는 한국 사회에서 자녀들에게 단호하게 “정의롭게 살라”고 가르칠 수 없는 이유가 포함돼 있다. 한국은 그러나 선진국 클럽 회원이다.
이상현 기자 ?coup4u@theasian.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