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겉잡을 수 없는 ‘혼돈’ 속으로

박영선 원내대표 ‘사퇴’ 요구에 ‘탈당’ 배수진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의원 30여명이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퇴진을 공개 요구하고, 이에 충격을 받은 박 원내대표가 탈당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당이 겉잡을 수 없는 혼돈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해당 의원들은 박 원내대표가 스스로 결단하지 않으면 공동 대응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반면 박영선 원내대표는 ‘탈당’이라는 배수진으로 맞서고 있다. 박 원내대표가 탈당이라는 ‘극약처방’을 내린다면, 새정치연합의 갈등은 당이 쪼개지는 파국을 맞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탈당설이 나도는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공감혁신위원장(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 사퇴는 물론이고 탈당을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15일 CBS가 보도했다.

이 방송에 따르면 박 원내대표는 전날 밤 기자와 만나 “(14일 모임을 가진) 초재선 의원들 중심으로 저렇게 물러가라고, 아니 아예 당을 떠나가라고 하는 것 같고 나를 죽이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내가 나가야 하지 않겠느냐. 쫓겨나는 것 같아 너무 가슴이 아프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탈당할 경우 그 시점에 대해 박 원내대표는 “지금 탈당하면 당이 공중에 떠버리는 것이니 책임을 다 하려고 한다”며 “내가 탈당을 언급했으니 중진들이든, 나를 내쫓으려 하는 초재선 의원들이든 비대위원장 후보를 물색하면 그 때 그 분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나갈까 한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틀 정도 칩거하며 고민을 더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문재인 의원 등과 상의없이 안경환 서울대 명예교수와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를 공동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려 했다는 주장에 대해 “문 의원을 비롯한 중진 몇 분과 상의했고 동의를 받았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안경환-이상돈 명예교수만큼 정당과 정치개혁에 대한 식견과 소신을 갖고있는 분이 없는데 그런 분들도 받아들일 수 없다면 새정치연합이 얼마나 폐쇄적이냐”며 “지도부 흔들기를 마치 부하 직원 다루듯이 하는 현재의 야당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도 정당정치 개혁과 혁신을 할 수 없어 좌절감을 많이 느꼈다”고 토로했다.

그는 “문 의원이 말한 것처럼 새정치연합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서는 중도적이거나 보수 개혁적인 인사들을 대거 영입하고 그들로 하여금 당과 정치를 개혁, 혁신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누가 우리 당의 문을 두드리겠느냐”면서 “2016년 총선도, 2017년 대선 전망도 어둡다”고 지적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이에 앞서 새정치연합 소속 의원 15명은 14일 오후 긴급 모임을 갖고 박 원대표의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유승희 의원은 회의를 마친 뒤 “오늘 모임은 박 원내대표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자리로 참석자 전원이 같은 뜻”이라면서 “(박 원내대표가) 자진사퇴하지 않으면 공동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 모임에는 유 의원 외에 노영민 오영식 최규성 최재성 우원식 이목희 홍영표 김용익 김현 도종환 은수미 이원욱 전해철 최민희 의원 등 친노(친노무현)계, 정세균계,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를 비롯한 주요 계파가 참석했다.

이들은 15일 오전 추가 논의를 거쳐 향후 행동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다.

이들은 자진사퇴 불응시 소속 의원들의 서명을 받아 원내대표직 사퇴 투표를 위한 의원총회 소집요구안을 내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진사퇴 범위로는 “박 원내대표의 모든 당직”이라면서도 “일단은 원내대표직에 대해 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동철 노영민 오영식 이상민 최규성 최재성 의원 등 3선 의원 6명도 모임을 열어 같은 결론을 냈다.

이상민 의원은 “우리 3선 의원들도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직 사퇴를 촉구하기로 했다. 만약 응하지 않으면 공동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회의에 불참한 나머지 3선 의원 5명도 결정을 위임해 뜻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민평련 소속 의원 8명도 15인 모임과 별도로 저녁 회동을 하고 박 원내대표의 자진사퇴 요구와 이후 공동대응 방안 추가 논의에 합의했다.

이밖에 초·재선 의원들을 주축으로 한 ‘더 좋은 미래’ 모임에서도 12명이 참석한 가운데 박 원내대표의 퇴진 쪽에 대체로 공감대가 형성됐으나 일부 신중론 제기로 결론을 내리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