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벤처 인규베이터’ 이스라엘 군
군경력 직장으로 연결…정예 엘리트 양성 ‘탈피오트’ 이스라엘을 키운 원동력으로 교육과 함께 병역 시스템을 꼽을 수 있다. 이스라엘은 남녀 모두 병역의무를 부과한다. 18세부터 징집대상이 돼 남자는 3년, 여자는 2년 간 복무한다. 이 의무복무 기간을 교육에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이스라엘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군수산업은 물론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군복무가 취업의 연장선에 있다. 이스라엘은…
더 읽기 » -
서아시아
생명과학 유독 강한 이스라엘, 왜?
와이즈만 연구소 중심 독보적 산·학·연 협력 모델 세계 최대 복제약 제조업체이며 제약 매출 세계 9위 테바(Teva), 바이오 농업 분야의 세계적 기업 에보젠(Evogene), 로켓 기술을 응용해 초소형 카메라로 내장을 촬영하는 첨단 내시경 기술 개발사 기븐 이미징(Given Imaging)… 이스라엘이 자랑하는 생명과학 업체들이다. 1996년 186개였던 이스라엘 생명과학(BT) 관련 업체가 2010년 1100개로 크게 늘었다.…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스라엘, 황무지에 꽃 피운 최첨단 산업국
나스닥 상장사 유럽보다 많아…지나친 안보 이기주의 지적도 1948년 5월14일. 팔레스타인 유대인 지역은 긴장과 기대 섞인 고요가 감돌았다. 북부 옛 도시 사파드부터 남부 네게브 사막 황무지까지, 예루살렘 골목길에서 새 도시 텔아비브 광장까지 팔레스타인 곳곳에서 유대인 65만 명이 라디오 주위에 모여들었다. 오후 4시 정각, 잡음을 뚫고 그들의 지도자 다비드 벤 구리온의 목소리가…
더 읽기 » -
[문종구의 필리핀바로알기] 한국교민이 화교에게 밀리는 이유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 지배층들이 주도했던 필리핀 경제를, 중국계 필리핀 사람들(화교들)이 대단한 결속력으로 50여년의 짧은 기간 안에 거의 장악한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화교 사업가들과 한국 교민들과의 사업 형태에 대해 비교하여 장단점을 분석하는 말들도 가끔 들어 보았는데, 필자가 느끼고 경험한 차이점들은 이렇다. 중국 식당이 있고 한국 식당이 있다 하자. 두 식당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아시아의 시선] 파키스탄 “미 ‘드론’ 민간인 공격, 설명하라!”
*한 주간 주요 이슈들에 대한 아시아 주요언론의 사설을 요약 게재합니다. 말레이시아, <The Star> (10월10일자 사설) 말레이시아 쓰레기의 12%가 ‘기저귀’ 말레이시아에서 해마다 엄청난 양의 기저귀가 버려지고 있다. 아기뿐 아니라 점점 더 많은 노인들이 기저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도시재개발주택지역 부서의 아파 압둘 라직 사무총장은 전국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12.14%가 기저귀라고 밝혔다. 그는 “기저귀 쓰레기…
더 읽기 » -
동아시아
[Brand Story] 무표정한 ‘헬로키티’ 전 세계를 수놓다
11월1일 39번째 생일을 맞은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고양이. ‘사과 5개 정도’의 키와 ‘사과 3개 정도’의 체중으로 영국 런던 교외에서 태어났다. ‘엄마가 구워준 애플파이’를 좋아하고 ‘쿠키 만들기’가 특기다. 좋아하는 말은 ‘우정’. 도무지 무슨 표정인지 알 수 없는 이 고양이가 바로 ‘헬로키티’다. 표정은 눈과 입에서 나오는 법인데, 눈은 까만 점에 불과하고 입은…
더 읽기 » -
태국, ‘최저임금’…전년 대비 35% 인상
*코트라 방콕무역관이 전하는 생생한 태국 현지 경제이야기를 아시아엔(The AsiaN)에서 들려드립니다. 더 많은 해외시장정보는 글로벌윈도우를 참고해 주세요. 태국 정부는 올해?1월 1일부터 최저임금을 하루 300밧으로 인상했습니다. 잉락 총리의 선거 공약이기도 했던 최저임금 인상은 지난해?4월부터 방콕을 비롯한 대도시에서 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올 들어 태국 전역으로 확대 시행한 것입니다. 이로써 전국 평균 임금은?지난해보다 약 35%…
더 읽기 » -
한국의 전자산업이 발달한 이유
필자는 출근 시에 마을버스를 가끔 탄다. 그때마다 정말 짜증나는 것이 있다. 버스기사가 브레이크를 밟을 때 나는 끼~익하는 소리다. 이 소리는 벌써 10년도 넘게 들린다. 왜 그럴까? 그 소리를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없을까? 충분히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하지 않을 뿐이다. 왜 그런가? 그런 기술을 개발해야 할 필요를 느끼지…
더 읽기 » -
동남아시아
파리바게트 해외점포 156개 넘었다
싱가포르 기점으로 동남아 벨트 구축키로 파리바게트가 해외진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SPC그룹(회장 허영인)의 파리바게트는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중심가인 타임스스퀘어에 빵집을 냈다. 3층짜리 이 빵집은 한인교포나 한국인 관광객이 아닌 미국인 등 외국인을 상대로 한 파리바게트의 첫 외국 점포다. 이어 9일에는 싱가포르 창이(Changi) 공항 식음료 사업장 운영권을 획득하고 국내 처음으로 국제 공항에…
더 읽기 » -
동아시아
[Global Arms Market] 무기구매 큰손들, 이제 ‘수출’도 한다
중국 5대 수출국 진입…터키·한국·인도 약진 세계 무기시장의 최대 고객은 단연 아시아다. 인도, 중국, 파키스탄, 한국 등이 전통적인 무기수입 큰손이다. 그런데 이들 나라가 방위산업을 키워 수출에 나서고 있다. 아시아의 주요 무기구매 국가들이 대거 무기 수출국으로 바뀌고 있다. 스웨덴 스톡홀름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SIPRI)의 2013년 백서에 따르면 2008~2012년 5년 간 세계 무기수입…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