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Brand Story] “캬~” 거품 속 구수한 향미, 북한 ‘대동강맥주’

    연말 회식이나 파티에서 빠질 수 없는 맥주. 세계적인 맥주는 독일·체코 등 유럽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동아시아에서 중국 칭다오 맥주, 일본 아사히 맥주를 제치고 명성이 자자한 맥주가 있으니 바로 북한에서 생산되는 ‘대동강맥주’다. <이코노미스트> <로이터통신>등 서방언론이 “한국 맥주보다 북한 맥주가 더 맛있다”고 보도해 한국을 ‘뻘쭘하게’ 만들었던 그 주인공이다. 대동강(大同江)이 어떤 곳인가. 조선…

    더 읽기 »
  • “사와디 카” 태국의 비즈니스 에티켓은?

    *코트라 방콕무역관이 전하는 생생한 태국 현지 경제이야기를 아시아엔(The AsiaN)에서 들려드립니다. 더 많은 해외시장정보는?글로벌윈도우를 참고해 주세요. 태국에 부임하여 한국과 태국의 비즈니스를 지원하다 보니 한국과 태국의 차이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한국인에게 관광국가로 알려진 태국은 일반 인식과는 달리 비즈니스가 매우 발달해 있고 태국인들의 비즈니스 마인드도 상당히 적극적인 편입니다. 태국에서 비즈니스를 할 기회가 있으시거나…

    더 읽기 »
  • 동아시아

    전 세계 퍼진 김치, “안 먹곤 못 살아”

    [Asian foods on the rise]?종가집, 하선정 등 한국 식품수출의 3분의 1 겨울이 시작되기 전 한국에서 집집마다 치르는 행사가 김장이다. 겨우내 먹을 김치를 담가 땅속에 묻어두고 몇 달 간 내어 먹는다. 갓 담근 김장김치는 생야채에 양념을 묻힌 맛 그대로 아삭하다. 적당하게 익은 배추김치는 독에서 꺼내자마자 부엌칼로 크게 썰어 끼니마다 따뜻한 밥과…

    더 읽기 »
  • 동아시아

    싱가포르에 부는 ‘음식 한류’ 열풍

    [Asian foods on the rise]?세계 음식 전시장에서 바라본 한식 세계화 조건은? 싱가포르가 일찍이 글로벌 마인드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영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타문화를 적극적으로 포용하는 정책을 펼친 덕분이다. 다민족 다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는 다양한 음식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는 좋은 토양이다. 싱가포르 중심가 오차드 거리에 즐비한 쇼핑센터에 들어서면 각종 식당 앞에 진열된…

    더 읽기 »
  • 동아시아

    한국 프랜차이즈, 세계 외식시장 ‘점령’

    [Asian foods on the rise]?커피·피자·디저트 등 업종 다변화 한국 외식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이 활기차다. 지난해 해외에 진출한 외식업체 점포수는 1700여 개로 2009년 990여 개에 비해 3년 새 77%나 증가했다. 진출 국가는 중국·일본에서 싱가포르·태국·필리핀·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 동남아를 넘어 미국과 유럽까지 확장됐다. 업종도 삼겹살·닭갈비·국수·순두부 등 전통적인 한식 메뉴군과 함께 커피·피자·치킨·분식·주점·베이커리 등으로 다양해졌다. 국내 900여…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란, 언제든 뛰어오를 도약대에 섰다

    [Country in Focus] 비약적 국가발전 시간문제…3대 선결과제 밖에서 보는 이란의 얼굴은 그닥 아름답지 못하다. 북한과 함께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불가촉천민 국가(pariah state)’로 여겨진다. 핵무기 개발로 유엔과 서방의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탓이다. 이란이 외부인의 눈에 곱게 비치지 않는 이유는 그뿐이 아니다. 이슬람 성직자인 물라(mullah)가 지배하는 신정국가, 여자들에게 히잡을 쓰도록 강요하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아시아 음식 세계화, “젓가락이 포크 밀어낸다”

    [Asian foods on the rise]?‘에스닉 푸드’ 넘어 일상음식 자리잡아 아시아 음식이 전 세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과거에도 일본, 중국, 인도, 태국 등의 음식은 에스닉 푸드(ethnic food)로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이제 별미로 찾는 에스닉 푸드를 넘어 세계 어디서나 쉽게 만날 수 있는 대중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아시아 음식 선호도는 미국의 젓가락 사용량만 봐도…

    더 읽기 »
  • 동아시아

    깜찍 인형 ‘바비’ 이제 늙었나?

    반세기 완구시장 주역, 매출 내리막 1959년 등장한 이래 50여 년 간 세계 장난감 인형 시장의 주연 자리를 지켜온 바비(Barbie)의 인기가 시들해져 가고 있다. 작년 초부터 바비 인형 매출이 감소세로 돌아선 끝에 올 2분기엔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2% 떨어졌다고 한다. 이런 추세는 경쟁 심화와 바비 제작사 마텔(Matell, 본사 미국…

    더 읽기 »
  • 동아시아

    [아시아의 시선] 중국, ‘세금 안 내려고’ 위장이혼

    *한 주간 주요 이슈들에 대한 아시아 주요언론의 사설을 요약 게재합니다. 필리핀 <Philippine Daily Inquirer> 필리핀 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인구 10% 피해 1만여 명의 인명을 앗아간 슈퍼태풍 하이옌은 필리핀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됐다. 제트 엔진과도 같은 폭풍이 바닷물과 함께 덮치면서 수많은 사람의 생명과 생활터전을 앗아갔다. 재해 초기엔 직격탄을 맞은 사마르 섬…

    더 읽기 »
  • 동남아시아

    [KIEP 전문가 칼럼] 내년 자카르타 최저임금 ‘월 20만원’

    2013년 11월 1일에 인도네시아의 수도인 자카르타(Jakarta) 지역의 2014년 최저임금 단체협상이 종료됐다. 노동자 대표가 보이코트한 가운데 경영자 대표와 관료들만이 참석해 확정된 244만 루피아(약 20만원)는 노동자 단체가 요구한 370만 루피아(약 34만원)에 크게 못 미치면서 노동계가 심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카르타의 최저임금 협상 결과가 인도네시아 다른 지역의 임금 협상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