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아시아

    “중동민주화, 부패 알린 언론이 가장 큰 힘”

    지난 19일 리비아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의 차남이자 정권 후계자였던 사이프 알이슬람이 시민군에게 체포됐다. 카타피 사망에 이어 발생하고 있는 최근 일련의 중동 민주화 사태에 대해 쿠웨이트 알 아라비(Al-Arabi) 매거진 편집장이자 아시아기자협회 중동지부장인 아시라프 달리(Ashraf Dali)는 언론의 영향력이 컸다며 21일 다음과 같은 견해를 밝혀 왔다. -현재 중동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민주화 운동에…

    더 읽기 »
  • 동남아시아

    [빅터 새비지 칼럼] 2011년 싱가포르 ‘선거판 민심’ 왜 변했나

    아시아엔은 오는 11월11일 창간 3돌을 맞습니다. 그동안 독자들께서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아시아엔은 창간 1년만에 네이버와 검색제휴를 맺었습니다. 하지만 제휴 이전 기사는 검색되지 않고 있어, 그 이전 발행된 아시아엔 콘텐츠 가운데 일부를 다시 내기로 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좋은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편집자> 2011년 5월 총선거와 8월의 싱가포르 대통령선거 결과는 1959년부터…

    더 읽기 »
  • 칼럼

    [고선윤의 일본이야기] 교토의 마이코?

    사춘기 딸아이와 함께 교토의 가을을 찾았다. 794년 헤이안쿄(平安京) 천도 이후 교토는 오랫동안 일본의 수도였다. 무사가 중심이 되는 긴 역사 속에서도 교토는 수도로서의 자리를 지켜왔다. 천년의 고도 교토는 특별하다. 교토의 사찰과 신사, 가옥, 거리는 예전의 그 자리를 고집하고 그대로 존재한다. 교토의 가을이 조금씩 물들어가고 있었다. 단풍 절정기가 11월 중순부터 12월이라고 하니…

    더 읽기 »
  • “생선은 언제나 머리 부분부터 썩어 악취를 풍긴다”

    [아시아엔=최승우 전 예산군수, 전 17사단장] 상탁하부정(上濁下不淨)이라는 말이 있다. 그렇듯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은 법이다.?이는 목민관(牧民官)이 갖춰야 할 리더십의 근간을 가리키는 말이다. 외람되지만 나는 군 지휘관 시절부터 줄곧 이 말을 가슴 깊이 새기며 실천해 오고 있다. ‘동물의 세계’라는 TV 프로그램을 보면 동물들의 교육은 철저히 멘토링(Mentoring)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건희 회장 영향력 최고 아시아기업인에

    한국기자 100명 중 81명 꼽아··· 도요타 아키오 · 손정의 회장 뒤 이어       한국기자들은 이건희(사진 왼쪽) 회장과 삼성을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인과 기업으로 각각 꼽았다. AsiaN이 창간특집으로 아시아기자협회와 함께 11월1~7일 전국의 신문 통신 방송 인터넷매체 등 기자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조사대상 기자 1명당 3명씩 응답하도록 하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NHK서울지사장 이토료지 칼럼] 일본지진과 한일관계

    아시아엔은 오는 11월11일 창간 3돌을 맞습니다. 그동안 독자들께서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아시아엔은 창간 1년만에 네이버와 검색제휴를 맺었습니다. 하지만 제휴 이전 기사는 검색되지 않고 있어, 그 이전 발행된 아시아엔 콘텐츠 가운데 일부를 다시 내기로 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좋은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편집자> 16년 전 일본 간사이(關西) 지방에서 발생한 고베 대지진과…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준구 칼럼] 행복하길 원하십니까

    행복하길 원하십니까? 이렇게 해보십시오. 진실한 마음으로 살면 마음이 아름다워집니다. 마음이 아름다우면 사람들한테 사랑을 받죠. 사랑을 받으니 행복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불행해지는데도 길은 있습니다. 거짓말을 하십시오. 추해지기 마련입니다. 추한 사람은 미움받기 십상입니다. 모두가 날 미워하니 불행해질 수밖에요. 나는 미국에 60년 이상 살면서 태권도 보급에 생애를 다 바치고 있습니다. 태권도를 오래 하다보니 누가…

    더 읽기 »
  • [양덕춘의 홍삼이야기] 건강 지킴이 ‘홍삼’

    통계청에 따르면 불과 50년 전만 해도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50세였으나, 1985년 66.8, 1990년 69.8, 1995년 72.7, 2000년 74.4, 2005년 77.5세로 크게 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2011년도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평균 80세로 세계평균 70세를 훨씬 상회하는 것이다. 100년 전보다 약 2배 이상의 수명이 연장되고 있어 본격적인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더 읽기 »
  • [칼럼] 정교 분리 마땅한가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 돌려주고,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께 돌려 드려라”(마태 22,21). 어떤 이들은 예수님의 이 말씀을 종교인들의 정치 참여를 금지하는 말씀으로 해석하여 종교와 정치의 분리를 주장하는 근거로 삼는다. 그러나 이 말씀은 그런 문제로 사람에게 올가미를 씌우려 하지 말고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데에 더 힘쓰라는 강력한 촉구가 담긴 말씀이다. 우리는 정치와 종교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란코프 칼럼] 란코프 교수가 본 北·中

    최근 중국과 북한의 국경 지역에 경제특구가 개발된다는 소식은 다시 한 번 북-중 관계에 대해 각별한 관심이 집중되는 계기가 되었다. 북한 경제에 있어서 중국의 독보적인 위치는 중국의 대북 영향력과 연결되면서 온갖 추측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남한의 보수 세력 중에서 북한 정권이 이미 중국의 단골이 되었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고…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