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선윤의 일본이야기] ‘착하다’와 야사시이’
스포츠센터 로비에 자가용 한 대가 전시되어 있다. 세일 한단다. 숫자를 확인했더니 ‘억’이다. 다시 동그라미를 세어보니 일·십·백·천…, 역시 천이 아니라 억이다. 좋아 보이기는 하지만 비싸기도 비싸다. 내 차는 여기서 동그라미가 하나 빠지니, 10분의 1 가격이다. 그렇다고 내 차가 10분의 1 크기인 것도 아니고, 10분의 1 속도로 달리는 것도 아니다. 크기야 조금…
더 읽기 » -
동아시아
[Viva EXPO] 잠깬 중국의 포효①
2010년 상하이박람회 “중국이 나아갈 미래를 알고 싶다면 엑스포 중국관 앞에 서보라……. 당신이 전시관을 돌아보며 느낀 것이 당신의 미래를 좌우할 수도 있다.” 2010년에 열린 상하이엑스포를 소개한 한 중국 언론의 자부심 넘치는 제안이다. 개최 기간 내내 밤낮없이 많은 인파로 붐빈 중국 전시관은 경제 대국으로 우뚝 선 중국의 자부심만큼이나 웅대한 스케일이었다. 건물의 모양은…
더 읽기 » -
동아시아
[요리 참 쉽지요] 길상음식의 상징 ‘죽순채’
결혼식 계절이다. 청첩장을 받은 것만 벌써 여러 장이다. 포근한 봄이 결혼하기 알맞은 계절인가 보다. 옛날에도 주로 날씨가 따스해지는 봄에 혼례를 많이 치렀다. 혼례식 전통 중에는 신부집 앞에 소나무와 대나무를 세우는 일이 있었다. 대나무는 지조, 소나무는 장수를 상징한다. 옛 사람들은 대나무는 줄기가 비었지만 굳은 마디로 인해 절조가 지켜지고, 정신이 투철하며 허식이…
더 읽기 » -
사회
[김용길의 시네마 올레길] 하녀의 진주 귀걸이
타이틀 :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Girl With A Pearl Earring) 감독 : 피터 웨버 출연 : 콜린 퍼스, 스칼렛 요한슨,톰 윌킨슨 제작 국가 : 영국 한국 개봉 :2004년 9월 3일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그림은 여전히 강력한 신비를 내뿜고 있다. 소녀의 표정에 사로잡혀 소설을 썼지만, 나는 아직도 그녀가 무슨 생각을…
더 읽기 » -
칼럼
25세 인도여성의 ‘대물림 가난’ 이야기
3월26일 인도 잠무의 빈민가에서 여자 어린이들이 식사 준비를 하고 있다. <자료사진=AP/> 90년대 초 ‘소녀 아이’ 빔라,?”하느님, 제발?굶지 않았으면 해요” 극소수 부잣집 아이들은?음주 방탕 일삼아···’풍요에 의한 죽음’ 인간은 언젠가 죽는다.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죽음의 원인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불치병이나 노환에 의한 죽음이고 다른 하나는 가난과 기아와 같은 경제적 요인에…
더 읽기 » -
동아시아
[시각문화 3.0] ④ “붉은색의 수난과 영광”
색채 이데올로기의 극복 한국인의 색채 감각에 대하여 생각해본다.?시각적 지각에서 색채에 대한 지각은 매우 직접적이며 구체적이다. 빛과 색채를 구분하는 일은 최근에서야 구체화되었다. 그것은?컴퓨터의 보급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이제 우리의 색감각을 알아보자. 한국인의 색지각 양식은 인류생태학적 관점과 역사심리학적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인류생태학적 관점은 대략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구분된다. 유럽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란코프 칼럼] ‘개혁마인드’ 김정은의 미래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 15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서 연설하고 있다. <AP/> 북한에서는 3대 왕조세습이 진행되고 있고 김정은이 앞으로 북한을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지 추측이 무성하다. 김일성 탄생 100주기, 대규모 군 열병식 등 최근 북한에서 진행된?이벤트들에 대해 긍정적인 사람들은 김정은을 ‘개혁가’로 보고 있다. 그…
더 읽기 » -
칼럼
‘문화혁명’을 알아야 중국이 보인다
[온바오] 이제 보시라이(薄熙?) 이야기는 저잣거리 어린애들도 주고받을 정도로 흔한 ‘심심풀이 땅콩’이 됐다. 한국 언론매체도 연일 지면을 통해 보시라이, 보시라이를 들먹이는 중이다. 요즘 중국 특파원들의 고충이 적잖을 것이다. 한국 본사에서는 보시라이와 관련된 기사라면 뭐든지 긁어내 보내라고 닦달을 하지, 소스는 한정되어 있지……. 베끼고 또 베끼는 식의 기사가 줄을 잇고,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가…
더 읽기 » -
동아시아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中 보이보, 보시라이 韓 문대성, 김구라
신 중국 건설에 기여한 8대 원로 중 보이보(薄一波, 1908~2007)라는 인물이 있다. 그는 풍파로 얼룩진 세상에서 100세를 살다 갔다. 백발에 흰 눈썹이 인상적이다. 1925년에 공산당에 입당하여 80여 년 동안 당적을 유지하였다. 1949년 갓 태동한 중국 정부의 초대 재정부장을 맡아 4년 가까이 재임하였다. 경제 분야의 공로를 인정받아 국무원 부총리의 지위까지 올랐다. 등소평과…
더 읽기 » -
동아시아
[강위원의 포토차이나] 베이징의 오페라 경극
패왕별희 베이징은 1153년 금(金)나라 때부터 지금까지 800년 이상 중국 역대 왕조들의 수도였던 유서 깊은 도시로 수많은 문화적 유산들이 살아 숨 쉬고 있다. 그중에서도 경극(京劇, J?ngj?)은 노래와 춤, 연극이 혼합돼 있는 중국 전통 극으로 별다른 장치가 없는 텅 빈 무대에서 연기자들이 노래, 낭송, 연기, 무예에 해당하는 네 가지 기예(工)와 입, 손,…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