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알파고의 아시아 탐구] 주한 터키특파원 “때묻은 후보신발에서 희망 보았다”
한국은 60년 전과 비교하면 대단한 성장을 했다고 하는 데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다. 그 60년 동안이 군사 정권이었든 야권으로의 정권 교체였든 간에 한국인들은 이 나라를 발전시켰다.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으로서 이런 발전을 지켜보게 됐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필자는 한국의 미래에 대해 낙관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국회의원 선거운동을 관찰하면서 이러한 생각은…
더 읽기 » -
동아시아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중국 대학생들의 ‘내무 생활’
중국 대학생들은 캠퍼스 안에서 자유를 만끽하는 것 같다. 베이징 대학의 아름다운 웨이밍후(未名湖)를 비롯하여 칭화대, 상하이의 화동사범대, 난징 사범대 등 대부분의 대학들은 크건 작건 간에 인공 호수나 아담한 연못 등이 있다. 이곳에서 낚시를 하는 ‘백수’ 아저씨들도 종종 보인다. 벚꽃이 만개한 캠퍼스 호숫가의 밤은 절경, 그 자체다. 호숫가 벤치, 잔디, 운동장 등에서…
더 읽기 » -
동아시아
[강위원의 포토차이나] 베이징 골동품시장 판자웬
베이징은 1153년 금(金)나라가 중도(中都)라고 부르면서 수도로 삼은 것을 시작으로 원(元) 명(明) 청(淸) 등과 중화민국을 거쳐 지금까지 중국의 수도가 되고 있다.?가장 중국적인 모습을 간직한 유서 깊은 도시로서 곳곳에서 역사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베이징에는 홍교시장(紅橋市場, H?ngqi?o Sh?ch?ng), 류리창(琉璃廠, Li?l?ch?ng), 보국사(報國寺, B?ogu?s?), 판자웬(潘家園, P?nji?yu?n) 등 곳곳에 많은 골동품 시장이 있다. 그…
더 읽기 » -
[조영관의 경제산책⑭] 이긴 자에게 위기가?···‘승자의 재앙’
개구리들의 한판 승부 겨우내 세상을 온통 하얗게 물들였던 눈이 스르르 녹으며 숲속에 봄이 찾아왔다. 꽁꽁 얼어붙었던 개울가도 햇빛을 받아 반짝반짝 빛을 내며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자 개구리들이 소풍을 나왔다. “개굴개굴 개굴개굴” 소풍을 나온 총각 개구리들은 자신의 늠름함을 자랑하려고 큰 소리로 울어댔다. 그 옆에선 처녀 개구리들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마음에 드는 총각…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아련한 봄산의 기억
이내 슬어 없어질, 그리운 ‘쑥향’ 이때쯤 되면 생각나는 곳이 있다. 외딴 두메마을의 옥수숫대 김치 움집을 지나쳤다. 얼마동안 침묵이 흘렀다. 언제 적 움집이던가. 다 삭아 흔적만 남았다. 마음 가는 곳이 있어 집 뒤 언덕을 향했다. 산행 때 ‘달래’를 한줌 나에게 건네주던 헐빈한 할망구. 혼자 살던 그는 수년 전 집 뒤에 누웠다.…
더 읽기 » -
[김세만의 대중음악산책] 4·19혁명과 유석애도가
1948년 7월17일 헌법이 공포되고 제헌절이 탄생했다. 정치적으로 안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군까지 철수한 한국은 매우 혼란스러웠다. 1950년 소련군 무기로 무장한 북한군은 3·8선을 넘어?남침하였으니 한국전쟁(6·25)이 일어난 것이다. 한반도는 1953년 7월27일 휴전협정 조인 후?남북으로 나뉘었다. 전쟁의 폐허와 상처가 깊어 서민들의 삶은 고단한데 정치는 정파에 휘말려 더욱 불안했다. 장면 국무총리가 사임하고 국회의원 40여 명이?헌병대에…
더 읽기 » -
[고선윤의 일본이야기] 봄이 오기가 이리도 힘든가
봄이 오기가 이리도 힘든가. 4월 하늘에 계절을 거부하는 눈이 내렸다. 이것도 ‘지구온난화’가 원인이란다. 북극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제트기류가 약해져 차가운 공기가 밑으로 내려왔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의 말이다. 제트기류란 지상 약 10km(대류권 상부 또는 성층권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부는 강한 편서풍으로 찬 공기를 극지에 가둬놓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단다. 우리나라는…
더 읽기 » -
[황성혁의 造船삼국지] 포니차 디자이너 ‘주지아로’
무역 1조 달러 시대 ③? ‘무역세대 소통 한마당’이 시작됐다. 우리는 내 얼굴이 계속 비춰지는 배경화면을 향해 붉은 카펫 위를 위풍당당하게 행진했고 무대 밑에서 미래의 무역역군인 대학생들이 우리 목에 꽃다발을 걸어준 뒤 단상으로 이끌어 가는 순서였다. 팡파르가 울리고 플래시가 터지고, 우리는 구름 위에 떠 있었다. 무대에서 내려와 자리에 앉았다. <이탈디자인 주지아로>사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요리 참 쉽지요] 홍콩 훠거
식도락가의 필수코스인 홍콩. 동서양 음식의 교차점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홍콩은 일찍이 서양소스나 조미료를 받아들이고 본토화시키면서 음식이 매우 다양하고 풍부해졌다. 홍콩은 19세기 중반 아편전쟁으로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1997년 중국에 반환되면서 그 100년간 중국문화에 서구문화가 유입되어 독특한 문화를 이뤘다. 홍콩 인구의 95%는 중국 한족이다. 소수 원주민을 제외하고 이주해 정착한 사람들이 중국 남부…
더 읽기 » -
동아시아
[손정훈의 콘텐츠형인간] 문학을 ‘보여’ 준다는 것
문학관, ‘문학’에 접근하려 ‘문자’를 벗어나다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에 있는 추리문학관이 지난 달 개관 20주년을 맞았다. 국내 최초의 문학관인 추리문학관이 20년을 버텨온 것은 설립자이자 소설가인 김성종 선생의 애정 어린 노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길지 않은 우리나라 문학관의 역사에서도 추리문학관은 매우 특별한 경우에 해당한다. 작가가 자신의 사재를 털어 설립한 것도 그렇지만, 도심에서…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