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러시아 ‘다차’를 벤치마킹하자
주말이 되면 교외로 나가는 차량들로 교통체증이 극심하다. 도대체 어디로 가는?행렬일까??외식을 하러 또는 놀러가는 차들이 태반일 것이다. 러시아의 경우를 보자. 대부분의 차들이 주말농장인 다차(Dacha)로 향한다. 러시아에는 다차가 약 3200만 곳이 있고, 인구는 1억3700만 명이니, 4.5명당 다차가 1개씩 있다(2004년 3월 현재, 농업인구를 제외하면 3.7명당 1곳). 전 국민 거의가 다차를 갖고 있는 셈이다.…
더 읽기 » -
[박선희의 생각나눔] 정치인을 위한 변명
6년간 정치학을 배우고, 현실정치에 입문한 지 4년 반이 지나고 있는 지금, ‘정치인’이라는 직업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한국사회에서 정치인은 연예인과 앞뒤를 다투며 도마 위에 자주 오르곤 한다. 사람들은 정치인을 이야기할 때 경멸적인 어조를 숨기지 않는다. 정치를 하는 사람이건 아닌 사람이건, 또는 정치에 관심이 있든 없든 정치인은 늘 거짓을…
더 읽기 » -
[김정룡의 東北亞] 중국인이 ‘대충대충’인 이유
100년 전 미국선교사 아더 스미스는 산동성을 비롯한 여러 성에서 22년을 생활하면서 중국인의 인상에 대해 <중국인의 소질(원제 지나인의 기질)>이란 제목으로 책을 펴냈다. 이 책은 미국에서 먼저 출간된 후 서구 여러 나라와 일본에서 번역 출간됐으며 반응이 좋았다. 당시 구미의 대중전문가들이 중국과 중국인에 대해 다각도로 연구하고 책도 많이 출간했으나 이 책이 유명해진 것은…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귀만의 포토월드] 여운을 남기는 춤을 추고 싶은 문동주
시작이 그리 이르진 않았다. 기회 또한 우연히 찾아왔다. “고등학교 때 전학을 가게 됐는데. 2학년쯤 무용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본격적인 건 3학년 때부터였어요. 그렇게 시작한 무용이 너무 재미있었어요.” 그 후 무용과로 대학에 진학해 만난 손경순 선생님은 자신의 목표가 되었다. “저도 사람들을 빠지게 하는 흡입력 있는 춤을 추고 싶어요. 같은 춤을 여러 번…
더 읽기 » -
동아시아
[정직성이 읽고 밑줄 긋다] 철학이 필요한 시간
철학이 필요한 시간, 강신주, 사계절, 2011 며칠간 계속된 돈 싸움으로?극심한 스트레스를 몸이 배겨내질 못했다. 뭉친 어깨와 뒷목을 부여잡고 두통과 싸우며 이틀간 나가떨어져 있었다. 나를 짓밟았고 여전히 짓밟는 자와 연을 끊는 것이 불가능할 때, 도대체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고통스런 나날이었다. 분노와 고통이 나를 망가뜨리지 못하도록, 머릿속 압력을 낮추고…
더 읽기 » -
[란코프 칼럼] 북한의 미키마우스와 청바지가 의미하는 것
최근 비교적 조용했던 북한에서 어떤 움직임이 일고 있다. 북한에서 실질적 최고 사령관이었던 리영호 총참모장의 실각은 김정은 시대의 첫 번째 숙청이다. 이 사건은 예상대로 전 세계 언론의 다양한 추측을 불러왔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지금은 좀 덜 주목받고 있는 사건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질 수도 있다. 바로 얼마 전 평양에서 열린 공연…
더 읽기 » -
[고선윤의 일본이야기] 쓱쓱 비벼야 제 맛이지!
주말 오후 밥 때도 아닌데 출출하다. 냉장고를 뒤지니 아침에 먹다 남긴 나물 몇 가지, 콩자반에 멸치볶음, 어제 끓인 된장…, 이런 것들을 양푼에 쏟아 붓고 고추장에 참기름 두 방울 떨어뜨려서 쓱쓱 비볐다. 조금 고급스럽게 계란도 하나 붙여서 올리고 김도 구워서 뿌렸다. 여기에 초가 된 김칫국물을 더하면 일품이다. 다들 숟가락만 들고 달려들었다.…
더 읽기 » -
[김귀룡 칼럼] 그들은 소통이 뭔지 알고 있을까?
소통이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다. 권력 이양기가 되면 싫든 좋든 국민과의 소통은 중심 주제가 된다. 더구나 불통의 이미지를 가진 위정자가 권력을 놓을 때가 되면 반사 심리로서 소통의 중요성은 강조될 수밖에 없다. 올해와 같은 정치 범람의 시기에는 소통이라는 말이 하도 많이 쓰여서 식상할 지경이다. 향후 5년간 절대 지배력을 갖는 국가권력을 쟁취하기…
더 읽기 » -
동아시아
[요리 참 쉽지요] 팔방미인과 ‘두루치기’
“두루치기 구함” 전라도 식당을 지나치면서 문에 붙은 이상한 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무엇을 뜻하는 말인가 보니, 구인광고였다. 특정 일만이 아닌, 여러 가지 일(설거지, 청소, 음식, 서빙 등)을 다 맡아서 할 수 있는 사람을 구한다는 뜻이였다. 거참 두루치기는 참 힘들겠거니 하고 돌아서는데, 문득 어딘가에서 들었던 두루치기의 뜻이 생각났다. ‘한 사람이 여러 방면에…
더 읽기 »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② ‘야단맞으며 공부 잘할 수 있나’
성공이 우리의 삶에서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성공은 행복의 조건이라고 흔히 생각을 합니다. 우리의 삶의 가장 큰 의미는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 목표를 이루었을 때 우리는 행복을 느낀다고 말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성공하려면 행복해야 한다’ 긍정심리학에 관한 책 중 대중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소냐 류버머스키의 <How to be Happy>입니다.…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