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⑥ “안철수가 네거티브 선거 하지 않은 이유”

    하지 말자는 네거티브 왜 자꾸 할까? 포지티브 방식의 선거를 해야 한다는 말이 많이 나옵니다. 물론 과거 방식의 네거티브 선거는 문제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지요. 근거 없는 흑색선전도 많았고, 부풀리기도 많았으니까요. 그런 방식의 선거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런데 상대의 약점을 찌르는 방식은 다 네거티브니 하지 말자면 그것이 옳은 주장일까요? 후보가 말한 공약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에드가 노, 이 순간 이 음악] 인(人)이 박이다

    요즘엔 사실 라디오만 듣는다. 누군가와? 말을 하고 싶은 건지 차에 CD 한 장이? 굴러다니길래 틀었다. 오랜만에 차 안에서 말소리가 없어졌다. 이 녀석 나를 기억을 지나 추억으로 데려가네 사실 나도 앨범을 낸 지라 요즘엔 불법 다운로드 안 한다. 꽤 됐다. 대학 다닐 때만 해도 엄청 열심이었다. 공(空)CD를?사다가 다운받고 복사하고 CD 하나에…

    더 읽기 »
  • 동아시아

    [편집장레터]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친 이정희 후보께

    이정희는 당차고 패기있는 정치 신인이었다. 90년대 학번 대학생들에게는 세상을 향한 선배의 당당한 외침이었고 노동자들에게는 시대의 아픔을 치유해줄 수 있을 것 같은 통로였다. 국회의원이 된 이정희는 종종 소리를 지르며 사지가 붙잡혀 끌려나가기도 했다. 의사당 바닥에 뒹굴며 온 몸으로 구국의 열사와 같은 모습도 보여줬다. 열정이 나라를 뜨겁게 위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19대 총선에서…

    더 읽기 »
  • 동아시아

    [삼성 이건희 25년] 스마트 삼성 “인재가 미래다”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한국 최대 기업인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인도 점술가에게 태어난 날짜와 시간, 장소를 내민다면 그는 인생에서 벌어질 일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인도 점술가들은 생년월일에 따른 12개의 행성이 어디에 자리하고 있느냐가 개인의 삶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불교를 창시한 힌두 왕자 고타마 싯다르타(563-483 B.C.)는 “변하지 않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아시아엔 창간 1주년 축하메시지] ‘엄홍길도전상’ 수상, 산악인 김홍빈

    “제가 사고 이후에 참 많은 꿈을 가졌었지만 할 수 없다고 생각했었습니다.?혼자 일어서려 노력을 하다 보니 주위에서 많은 도움을 받게 되고, 가장 힘들던 때는 속옷도 혼자서 입지 못하는?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런 시절에?산이라는 것을 통해서 다시 극복하게 되고 저도 모르게 7대륙 등반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사고 이전의 14좌 꿈을 하나하나 이루어가고 있을 때 저…

    더 읽기 »
  • [안병준의 독도이야기] 국편위 폐지 주장, 어처구니 없는 일부 국회의원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최근 민주당 일각에서 국사편찬위원회와 동북아역사재단을 폐지하라는 주장을 제기한 것이다. 그들은 “두 기관이 여권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다”는 것을 이유로 내세웠다. 이들이 말하고 있는 두 기관은 어떤 곳인가? 국사편찬위는 해방 직후인 1946년 창설되어 사료의 수집 편찬과 국사의 보급을 주관하는 국가기관이다. 그동안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등 방대한 사료를 수집 편찬해 학계에…

    더 읽기 »
  • 동아시아

    네팔 수도 카트만두 사로잡은 ‘삼성 스마트폰 카페’

    삼성 대리점과 전시장, 카트만두 곳곳서 번성 “남들 구매했는데 나도…”?? 아름다운 히말라야의 작은 나라 네팔의 수도인 카트만두에는 삼성 제품, 특히 핸드폰 등을 판매하는 전시장과 매장이 늘고 있다. 카트만두 시내의 ‘뉴로드’나 대형마켓을 지나가다 보면, 파란 글자로 ‘삼성 스마트폰’이라고 적힌?큰 하얀 간판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삼성 모바일 서비스센터나 카페도 눈에 띄게…

    더 읽기 »
  • 동아시아

    [강성현 칼럼] 시진핑 시대, 왜 차이위안페이를 주목하는가?③

    “차이위안페이(蔡元培), 그 놈을 주살(誅殺)해야 한다.” 청일전쟁의 패배에 이어 변법 유신운동의 좌절은 차이위안페이에게 커다란 충격을 안겨 주었다. 유신운동의 주도적 인물이었던 캉여우웨이와 량치차오는 일본으로 망명했고, 탄스퉁(譚嗣同), 양루이(??), 린쉬(林旭), 양선슈(?深秀), 류광디(?光第), 캉여우푸(康有溥, 康有爲의 동생) 등 이른바 ‘무술 육군자(戊戍六君子)’는 처형됐다. 이들은 ‘변법자강’을 통해 쓰러져가는 중국을 구하려 마지막 남은 피 한 방울까지 다 바쳤다. 차이위안페이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정직성이 읽고 밑줄 긋다] 아이가 세 살까지는 죽었다 생각하라고?

    신의진 <현명한 부모는 자신의 행복을 먼저 선택한다> 지금은 국회의원이 된 신의진(새누리당 원내대변인) 육아교육 전문가의 베스트셀러. 어린 자녀를 둔 엄마들 사이에서는 꽤 영향력이 높다. 육아교육과 관련해 20권이 넘는 책을 썼으니 대단하다. 그러나 이 책, <현명한 부모는 자신의 행복을 먼저 선택한다> 중 ‘아이가 0~3세 때는 그냥 죽었다고 생각하라’라는 문단에서 하는 말들, 한편으로는…

    더 읽기 »
  • 동아시아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산에 오르는 피아노 선생님

    피아노 선생 아만다와 캠핑의 추억 ‘Amanda’는 어린 눈망울들과 함께 살아왔습니다. 상처도, 열정도, 사랑도, 생각도, 피아노 자리의 흔적이 되었습니다. 아이들과 같이하는 작은 교실의 하모니···. 그의 그지없는 시간입니다. 그는 아이들의 눈높이로, 살갗으로, 파란 꿈으로 어린이 같습니다. 젊음 떠난 건반 앞에서, ‘마음 빈곳’ 채워줄 여운 그리워, 유려(流麗)했던 추억 홀로 합니다. 앙증맞은 원생들과 눈으로,…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