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 동아시아

    [역사속 오늘 12.17] 김정일 사망(2011)·’재스민혁명’ 튀니지 부아지지 독재 항거 분신(2010)

    “지난해는…하느님…소리 없이 말없이/행복도 줄었습니다.//그러나…희망 한 가락은/얼어붙지 않게 해주세요./겨울은 추울수록 화려하고/길은 멀어서 갈만하니까요./당신도 아시겠지요만, 하느님,”-정현종(1939년 오늘 태어남) ‘냉정하신 하느님께’ “일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큰 행운보다는 날마다 일어나는 소소한 편안함과 기쁨에서 행복은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벤저민 프랭클린(1706년 오늘 태어난 미국정치가) 668(고구려 보장왕 27년) 고구려 멸망, 신라 삼국통일 1911…

    더 읽기 »
  • 동아시아

    “북한 억양 남았지만 특별한 경험”

    평양서 한국어 배운 中 유학생 인터뷰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 유학생 9만 명 중 70%는 중국인이다. 그러나 중국 학생들은 대한민국 뿐 아니라 북한에 가서도 한국어를 배운다. 똑같은 한국말을 사용하고 거리도 가깝지만 한국에서는 자유롭게 오갈 수 없는 가장 먼 곳, 북한. 북한의 평양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지난해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간 한국어 연수를 마치고 온…

    더 읽기 »
  • 세계

    <김정일 사망> 김정일화(花)에 둘러싸인 김정일 시신

    20일 평양 금수산 기념궁전에 흰색 베개를 베고 붉은 천에 덮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이 김정일화(花)에 둘러싸인 채 안치돼 있다. 김정일화(花)는 김정일을 상징하는 우상 花로서 1988년 2월 김정일의 46회 생일 때부터 소개되기 시작했으며 ‘불멸의 꽃’으로도 불리고 있다. 이 꽃은 일본의 원예학자 가모 모도데루가 남미 원산지인 베고니아 뿌리로 20년간의 연구 끝에 개량해 김정일에…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정일 사망> 조의 표하는 김정은

    김정일의 아들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사진 왼쪽 가운데)이 리영호 인민군 총 참모장(왼쪽),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과 함께 20일 평양 금수산 기념궁전에 안치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 앞에서 조의를 표하고 있다. 흰색 베개를 벤 김정일 위원장의 시신이 붉은 천에 덮인 채 안치돼 있다. (사진 오른쪽) <사진=신화사/조선중앙통신>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정일 사망> 국내 언론의 분석은?

    ?<그래픽=조하늘>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과 관련해 국내 언론은 어떤 시각을 갖고 있을까. 김정일 사망이 알려진 다음날인 20일 국내 주요 신문들의 칼럼과 오피니언 등을 살펴봤다. 조선일보 한승주 전 외무부 장관은 <리더십 공백에 빠진 북한>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김정일 사망은 김일성 사망과는 다르다”는 점을 꼽았다. “김일성은 한국전쟁을 일으킨 사람이기는 하나 노년에 와서…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정일 사망> 김정일 사후, 남북한의 표정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이 전해진 19일 평양과 서울의 대조적인 표정을 한 장의 사진으로 엮었다. 19일 평양 시민들이 평양 김일성 광장의 김일성 동상 주변에 모여 김 위원장을 애도하고 있다. (왼쪽). 같은 날 서울 시내에서 한 시민이 김정일 사망에 관한 호외 기사를 살피고 있다. <사진=신화사>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정일 사망> 김정일 애도, 흐느끼는 평양 시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알려진 19일 평양 전체가 애도에 잠긴 가운데 북한 주민이 김일성 동상 앞에 모여 김정일을 애도하며 흐느끼고 있다. <사진=신화사/Zhang Li>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정일 사망> 흐느끼는 평양 시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알려진 19일 평양 전체가 애도에 잠긴 가운데 북한 주민이 김일성 동상 앞에 모여 김정일을 애도하며 눈물짓고 있다. <사진=신화사/Zhang Li>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정일 사망> 북 충격 “없다” vs “크다” ···아시아 각국 언론인 반응

    아시아엔은 오는 11월11일 창간 3돌을 맞습니다. 그동안 독자들께서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아시아엔은 창간 1년만에 네이버와 검색제휴를 맺었습니다. 하지만 제휴 이전 기사는 검색되지 않고 있어, 그 이전 발행된 아시아엔 콘텐츠 가운데 일부를 다시 내기로 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좋은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편집자> ? 김정일 국방위원장(오른쪽)이 지난 9월9일 평양에서 열린 북한…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정일 사망> 김정일 통치 37년 만에 막 내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7일 오전 8시30분 사망했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은 이같은 사실을 사망 이틀 후인 19일 ‘전체 당원과 인민군 장병과 인민에게 고함’이라는 발표문을 통해 대내외에 알렸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은 겹쌓인 정신육체적 과로로 17일 달리는 야전열차 안에서 중증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되고 심한 심장성 쇼크가 합병돼 서거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김정은 당…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