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타오

  • 아시아라운드업

    [아시아라운드업 7/3] ‘세월호 닮은꼴’ 인니, 침몰 여객선 인양도 포기

    [아시아엔=김혜원·김혜린 인턴기자] 1. 후진타오 아들 후아이펑, 중국 권력핵심 부상 -중국에서 시진핑 국가 주석 집권 이후 반부패투쟁으로 고위 기득권층을 상징하는 ‘훙얼다이(紅二代)’, ‘관얼다이(官二代)’가 대부분 몰락했지만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 아들이 ‘궈얼다이(國二代)’의 대표주자로 부상하고 있다고 프랑스 국제라디오방송(RFI)이 3일 보도. -‘궈얼다이’는 중국 최고 지도자의 가족 가운데 잠재력을 갖춘 인물을 지칭하는 신조어. 이전까지 ‘궈얼다이’는 장쩌민 전…

    더 읽기 »
  • [3월15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취임

    2003년 후진타오 중국 주석 취임 2003년 3월15일 후진타오(胡錦濤, H? J?nt?o, 1942년 12월21일)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이자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에 취임했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다.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정치 활동을 하지 않아 혁명의 광풍에 휘말리지 않았다. 대학교 졸업 이후 수력발전소에서 노동자로 근무를 시작해 기술관료가 됐고 정치인 생활을 통해 중국 최고권력자가 됐다. 마오쩌둥은 앞서…

    더 읽기 »
  • [김국헌의 직필] ‘정치적 천재’ 달라이 라마와 중국 군관의 ‘호사’

    달라이 라마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원수(元首)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도 태국의 푸미폰 국왕도 그에 못 미친다. 더욱이 아직도 건강하며 영어로 소통이 가능하다. 그가 2년전 미국방문 중에 던진 화두, “중국은 민주주의가 필요하다”는 한마디는 중국의 아킬레스건을 치명적으로 후벼낸 것이다. 미국 방문 때 달라이 라마는 오바마 대통령을 만났다. 21발의 예포도 없고 국빈만찬도…

    더 읽기 »
  • [김국헌의 직필] 중국이 박근혜 주목하는 이유···“자식 양육은 국가대사”

    3류 국가에서나 안철수처럼?갑자기 튀어나와 대통령?나서 박근혜 대통령이 삼일절 기념사를 하면서 시종 ‘저는….’ 하는 것을 보고 오랜만에 감회에 젖었다. 그에 비해 박정희 대통령은 시종 ‘나는…으로 연설을 했다. ‘나는…’ 은 ’꼭 ‘짐(朕)은…’ 으로 들렸다. 박정희는 ‘朕’을 쓰면서 기분은 좋았을지 모르나 듣는 국민들은 거북했던 기억이 난다. 영국여왕은 자신을 가리켜 WE라고 하나 이는 동양의…

    더 읽기 »
  • 사회

    ‘2012 아시아인’에 아웅산 수치, 말랄라 선정

    아시아기자협회·아시아엔 발표…“여성 리더십이 시대정신” 아시아 언론인들은 버마의 야당 지도자 아웅산 수치(Aung San Suu Kyi)와 파키스탄의 15세 소녀 인권운동가 말랄라 유스프자이(Malala Yousafzai)를 ‘2012년의 아시아인’으로 선정했다. 군사독재정권의 억압 속에서도 조국 버마의 민주주의와 개방을 위해 헌신해 마침내 합법적인 지도자가 된 아웅산 수치, 여성의 교육받을 권리를 주장하다 탈레반 무장세력으로부터 총상까지 입은 말랄라는 모두 여성으로,…

    더 읽기 »
  • 세계

    中 후진타오, ‘랴오닝호’ 해군의장대 사열

    25일 중국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에 있는 해군기지에서 중국의 첫 항공모함 ‘랴오닝(遼寧)’호의 취역 행사가 열리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군 최고 권력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기도 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항모 갑판에서 해군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이날 취역식에는 후 주석,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를 포함해 지도부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중국군 최고 권력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기도 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중국인민해방군…

    더 읽기 »
  • 정치

    홍콩 반환 15주년 반응···언론 ‘성공’, 주민 ‘악화’

    1일, 홍콩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지 15주년을 맞아 언론은 현재 홍콩의 상황이 성공적이라고 평가한 반면 주민들은 더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바오는 원후이바오(文??), 다궁바오(大公?) 등 홍콩 현지 언론을 통해 이같이 보도했다.?각 언론은 1일 홍콩에서 열린 홍콩 반환 15주년 행사를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홍콩이 15년간 유지해온 ‘일국양제(一??制)’ 원칙이 성공적이라 평가하고 이날…

    더 읽기 »
  • 세계

    후진타오, 홍콩 주권 회귀 15주년 기념 행사 참석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29일 홍콩 국제공항에 도착해 연설하고 있다. 후 주석은 오는 7월1일 홍콩 주권 회귀 15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홍콩에 도착했으며 이번 홍콩 방문은 지난 2007년 홍콩 주권 회귀 10주년 기념식 이후 5년 만이다. 축하 행사에 참석한 뒤 후 주석은 1일에 있을 렁춘잉 홍콩 신임 행정정관 취임식에 참석한다. <신화사/Xie…

    더 읽기 »
  • 세계

    톈궁 우주비행사, 후진타오와 화상 대화

    톈궁 1호에서 과학 실험을 하고 있는 세 명의 우주비행사들이 26일(현지시각) 중국 베이징의 우주항공통제센터의 과학자들과 화상을 통해 얘기하고 있다. 이날 후진타오 국가주석도 통제센터를 방문해 우주비행사들과 얘기를 나눴다. 최초의?여성 우주비행사를 태운 유인우주선 ‘선저우 9호’는 지난 18일 지상관제를 통한 자동 도킹에 성공했고 이어 24일에는 우주인이 직접 선저우 9호 조종간을 잡은 상태에서 수동 도킹에도…

    더 읽기 »
  • 정치

    단체촬영 후 국기 떼내는 후진타오···중국인 ‘감동’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G20 정상회담 기념 촬영 후 허리 숙여 중국 국기를 떼내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화제다. G20 참석 정상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AP/> 후진타오 국가주석이 단체사진을 찍은 후 허리 숙여 중국 국기를 떼내고 있다. <인민일보> 지난 18일(현지시각) 멕시코 로스카보스에서 열린 주요 20개국 정상회담(G20)에서 각국 정상들이 모여 단체사진을 찍을 때…

    더 읽기 »
  • 세계

    중국 소수민족 예술제 개막

    12일 저녁 중국 베이징 국립 경기장에서 제4회 소수민족 예술제가 열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앞), 원자바오 총리 등이 개막식에서 참가단 대표들과 인사하고 있다. <신화사> 소수민족 예술제 개막 갈라쇼에서 하니족 공연단이 공연하고 있다. 소수민족 예술제 개막 갈라쇼에서 다이족이 공연하고 있다. 소수민족 예술제 개막 갈라쇼에서 공연단이 공연하고 있다. 소수민족 예술제 개막 갈라쇼에서 곡예단이 공연하고…

    더 읽기 »
  • 세계

    티베트 독립 외치던 분신 청년, 끝내 숨져

    지난 26일(이하 현지시각)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인도 방문을 하루 앞두고 티베트 분리 독립을 외치며 분신한 잠펠 예시(Jamphel Yeshi, 27)가 끝내 숨진 가운데 29일 인도 뉴델리의 한 병원에서 그의 시신을 확인한 티베트 망명자들이 오열하고 있다. <AP/>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세계

    티베트 청년, 독립 외치며 분신

    26일(현지시각) 인도 뉴델리에서 티베트 망명지들이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인도 방문을 앞두고 시위를 벌이던 중 한 남성이 분신을 한 채 구호를 외치며 달리고 있다. 잠파 예시(Jampa Yeshi)라는 이름의 이 티베트 망명자는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다 분신을 시도했으며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생명이 위독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델리에는 수천만 명의 티베트 망명자가 살고 있으며…

    더 읽기 »
  • 세계

    손잡은 한·중 정상

    중국을 국빈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왼쪽)이 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 앞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신화사/Rao Aimin>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 세계

    이명박 대통령, 중국 공식 방문

    후진타오 중국 국가 주석의 초청으로 3일간의 중국 공식 방문길에 오르는 이명박 대통령이 9일 오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전용기에 탑승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오늘 오후 중국에 도착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열고 한반도 정세와 한중 FTA 등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또한?해양경찰 살해 사건으로 대두된?중국 어선 불법 조업 문제에 대해?중국…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