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석헌
-
사회
[북리뷰] ‘뜻으로 본 한국역사’ 함석헌
[아시아엔=김국헌 전 국방부 정책기획관] 함석헌은 1901년생으로 평북 용천 출생으로, 동경고등사범학교와 동경제국대학에 같이 합격하고서 고등사범학교를 택한 수재였다. 일본에서 무교회주의자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의 영향을 받았고 성직자보다도 신자 본인의 내면의 감동을 중시하는 퀘이커 교도와 관련을 가졌다. 그의 <뜻으로 본 한국사>는 웅대한 역사철학이다. 함석헌이 한국사를 보는 대강은 신채호가 묘청의 실패를 ‘조선일천년래 일대사건’이라고 본 것과 맥락이…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오늘 2.4] 입춘·‘세계 암의 날’···함석헌 별세(1989)·얄타회담(1945)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겨울이 조용히 떠나면서/나에게 인사합니다/’안녕! 다음에 또 만날 수 있기를’//봄이 살그머니 다가와/나에게 인사합니다/’안녕? 또 만나서 반가워요’//딱딱한 생각을 녹일 때/고운 말씨가 필요할 때/나를 이용해보세요//어서 오세요 봄!//나는 와락/봄을 껴안고/나비가 되는 꿈을 꿉니다”-이해인 ‘입춘 일기’ 2월 4일 오늘은 입춘 2월 4일 오늘은 세계 암의 날. 2005년 국제암억제연합(UICC) 제정. UICC에 따르면 매년 1200만…
더 읽기 » -
사회
[김창수 시인의 뜨락] ‘내가 아는 사람은’과 함석헌 선생의 ‘그대 그런 사람을 가졌는가’
[아시아엔=김창수 시인]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는 저서 <니코마쿠스 윤리학>에서 인간의 이성(지식)을 네 가지로 나누었다. 소피아(sophia, 지혜-초이성의 영역을 알고자 하는 이성), 프로네시스(pronesis, 윤리, 도덕적 이성), 에피스테메(episteme, 인식-수학, 과학 논리적 이성), 테크네(techne, 기술, 도구적 이성)가 그것이다. 서양의 근대는 그 중에서 수학적, 과학적, 논리적 이성인 인식론 철학(에피스테몰로지)과 기술과 도구적 이성(테크네)이 주로 발달하였는데, 거기에는 지혜나 윤리도덕이…
더 읽기 »